• 제목/요약/키워드: neem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3초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이용한 눈 시료의 이온성분 측정자료의 불확도 산출 (Uncertainties of ionic species in snowpit samples determined with ion chromatography system)

  • 홍상범;허순도;김선미;홍성민;정지웅;강남구;강창희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350-363
    • /
    • 2012
  •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시스템을 이용하여 눈 시료의 이온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IC 시스템의 성능평가, 시료 병의 세척법, 필터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온성분 측정자료의 불확도 산출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IC 시스템 검출한계는 양이온의 경우 0.01~0.26 ${\mu}g/L$, 음이온 성분들은 0.02~0.26 ${\mu}g/L$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재현성을 나타내는 변동계수는 각각 0.4-17.4%, 0.1-27.6%로 조사되었다. BCR$^{(R)}$-408을 이용한 측정자료의 정확도 조사 결과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대오차는 각각 4.5-12.0%, 1.3-5.6%로 나타났다. 시료 병에 대한 실험실 바탕시험 결과 유기음이온을 포함한 일부 성분들($CH_3CO_2{^-}$, $HCO_2{^-}$, $NH_4{^+}$)의 경우 다른 성분들에 비해 오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NO_3{^-}$ 성분의 바탕시험 결과는 시료 병 세척과정에 사용된 $HNO_3$의 잔류에 따른 오염영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눈 시료 용융액의 불용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사용할 경우 일부 이온 성분들은 필터로부터 직접 용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용 전에 증류수(~ 6 mL)로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고 지역별로 눈 시료의 농도 특성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그린란드 북서부 내륙의 NEEM 캠프의 풍상 지역에서 채취한 눈 시료의 이온성분 측정 자료의 불확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온 성분 가운데 $F^-$ 측정 자료에 대해 불확도를 결정하였다.

매실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대한 유기농업자재 선정 및 방제적기 (Eco-friendly Materials Selection and Control timing to Eurytoma maslovskii in Japanese Apricot)

  • 조영식;송장훈;최진호;최장전;김명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30
    • /
    • 2016
  • 실내에서 복숭아씨살이좀벌 성충 침적법으로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2014년에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가 84.7%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Extracts of Neem II' 등 5개 자재는 100%의 살충률을 보였고, 2015년에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와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가 각각 100, 94.6%의 보정살충율을 보였는데, 광양 다압 지역에서의 방제효과가 2014년과 2015년 4년 4월 21일에 살포시 방제효과가 좋아 실내와 포장에서 처리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도 2015년에 실내와 포장에서의 살충효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유기농업자재 살포시기에 따른 방제효과는 대체로 광양 다압 농가에서는 4월 하순 살포가, 순천 황전 농가에서는 4월 하순~5월 상순에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광양 다압에서 2015년에 4월 21일과 27일 각각 1회씩 살포한 것과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효과 차이는 없었으나 순전 황전 지역의 농가에서는 2회 살포한 시험수에서 방제 효과가 더 좋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매실에서 살충효과가 있는 유기농업자재의 사용은 4월 중하순에 2회 이상 방제가 필요하고, 피해 양상이나 주변의 여건에 맞추어 방제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멀구슬과 고삼을 원료로 한 식물추출물의 주요해충과 천적에 대한 독성평가 (Evaluation of Toxicity of Plant Extract Made by Neem and Matrine against Main Pests and Natural Enemies)

  • 황인천;김진;김형민;김도익;김선곤;김상수;장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7-94
    • /
    • 2009
  • 멀구슬나무와 고삼 식물추출물을 활용한 KNI3126의 주요 해충 6종에 대한 살충효과와 천적류에 대한 영향평가를 하였다. 벼멸구에 대한 KNI3126의 살충효과는 약제처리 후 5일째에 95% 이상이었으며, 목화진딧물은 처리 후 3일째에 95% 이상을 나타냈지만, 5일째에는 다소 살충효과가 떨어졌다. 오이총채벌레에서는 68.1%로 일반 살충제처럼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배추좀나방의 경우는 95% 이상의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어 친환경자재로서 난방제 해충의 밀도 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점박이응애에서는 살포 1일째부터 80% 정도의 살비율을 보여 5일째에는 90% 이상의 높은 살비율을 나타냈다. 포식성 천적인 이리응애류에 대한 영향평가 결과 국제생물방제협회(IOBC)의 생존율 40%이하인 선택독성이 중간정도로 판정되었으며, 기생성 천적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벼멸구에 대한 기피효과는 약한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급성경구, 급성경피, 어독성에서 저독성으로, 피부자극성과 안점막자극성시험에서는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 유기농 시설재배에서 올레산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가루이류 방제 효과 (Studies on the Eco-friendly Management of Whiteflies on Organic Tomatoes with Oleic Acid)

  • 이문행;김성은;김영식;이희경;이환구;지형진;김용기;심창기;김민정;홍성준;이윤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04
    • /
    • 2013
  • 본 연구는 토마토 유기재배 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해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했다. 특히 담배가루이는 토마토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황화잎말림바이러스의 매개충이다. 가루이류는 바이러스의 매개충일 뿐 아니라 토마토를 흡즙하게 되면 생육이 저조해지며 감로분비에 의한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현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황색점착트랩, 황온점벌, 지중해이리응애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사용적기를 놓치거나 하우스 환경이 천적에 적합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곤충들에 페르몬의 역할을 하는 올레산을 1,000ppm, 2,000ppm, 4,000ppm 고압분무기를 활용하여 3회 처리한 결과 2,000ppm 76%, 4,000ppm 84%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며 2,000ppm처리와 4,000ppm 처리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가루이 방제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님오일 1,500ppm과 dinotefuran 50ppm을 비교 시험한 결과 올레산 2,000ppm의 가루이 방제가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님오일 1500ppm과 dinotefuran 50ppm은 각각 75%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유의성은 없었다. 경제적 측면으로 보게 되면 10a 1회 방제시 님오일은 20,150원이 소요되는 반면 올레산은 3,180원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는 올레산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방제시험으로 토마토 유기농재배에서 올레산을 이용한 경제적인 가루이 방제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식물정유의 굼벵이에 대한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against Whitegrub)

  • 이동곤;정영학;최대홍;최성환;추호렬;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9-134
    • /
    • 2015
  • 굼벵이는 각종 작물과 나무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특히 골프장 잔디에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8종의 식물정유(anise oil, camphor, castor, cinnamon, clove oil, citronella,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rosemary, tea-tree, thyme, turpentine)를 이용하여 굼벵이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Cap vial실험에서 홈줄풍뎅이 3령충에 효과가 높은 정유는 anise (88.9%)와 linseed oil (100%) 및 tea-tree oil (88.9%)이었다. 온실 pot에서 왜콩풍뎅이 3령충에 대한 anise와 linseed oil의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야외에서 anise와 linseed 및 tea-tree oil의 효과도 대상 굼벵이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둥무늬차색풍뎅이 번데기에 대해서는 tea-tree oil 처리에서만 32.6%의 보정사충율을 보였으나 등얼룩풍뎅이 3령충에 대해서는 anise와 linseed, tea-tree oil이 각각 54.8%, 51.6%, 56.5%의 보정사충율을 보였다.

친환경 자재가 배 과원의 병해충 방제 효과 및 과실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Insect and Disease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in Pear Orchards)

  • 최현석;오수옥;김월수;이 연;최병민;국용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5-416
    • /
    • 2011
  • 본 실험은 '신고' 배 과원에 친환경 자재인 키틴분해미생물 배양액에 님오일, 은나노, 그리고 보르도액을 혼용하였을 경우, 그리고 위 친환경 자재에 합성농약을 살포했을 때 흑성병과 가루까지벌레 방제율, 과실품질 그리고 항산화 물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친환경 자재를 이용한 무농약 처리구인 키틴분해미생물+님오일은 잎과 과실의 흑성병 감염율을 30% 이하로 감소 시켰으나 키틴분해미생물에 은나노나 보르도액 혼용은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친환경 자재에 합성농약 처리구는 흑성병 감염율을 20% 이하로 감소시켰다. 키틴분해미생물+보르도액 무농약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가루깍지 벌레 발생율을 모두 10% 이하로 감소시켰다. 과실품질 특성은 처리구간에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적색을 나타내는 Hunter value a값은 병해충 발생율이 높았던 키틴분해미생물에 은나노나 보르도액을 혼용한 무농약 처리구에서 합성농약 처리구보다 더 높게 관찰되었다. 친환경 자재에 무농약 처리구 과실이 합성농약 과실 보다 과피의 페놀함량을 제외하고 과피와 과육에서 높은 총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Nutritional Disorders, Analytical Diagnosis and Nutrient Guide for Mulberry, Morus indica L.

  • Singhal, B.K.;Chakraborti, S.;Rajan, Mala V.;Thippeswamy, T.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1-15
    • /
    • 2004
  • Due to recent scientific innovations in mulberry cultivation, leaf yield has been increased manifold. However, with successive leaf harvest, a quantum drop in leaf yield and quality has been noted. This inturn has affected the silkworm rearing and farmers suffered by the frequent crop failures. This is mainly due to nutrient deficiencies in mulberry leaf. Moreover, no complete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hunger signs of nutritional disorders, analytical diagnosis and critical levels of nutrients required. The present paper, thus, may serve as an important nutrient guide for identification of hunger signs, leaf nutrients status under deficiency and critical levels of the elements namely N, P, K, Ca, Mg, S, B, Cu, Fe, Mn and Zn requirements for higher leaf yield and quality. The leaf nutrient status provided may help chemist for correcting the soil status. Besides, an integration of mulberry intercropping with legumes and applications of neem and castor oil cakes, VA-mycorrhizal inoculation, biofertilizer and vermicompost are suggested as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for sustainable sericulture industry. Based on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is paper, a model needs to be framed for maintaining continuous supply of nutrients to obtain desired quantity and quality of mulberry leaf for successful silkworm cocoon crop and increasing overall silk productivity.

Screening of Fungicides and Natural Plant Products and Their Efficacy on Control of Aspergillosis in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G.P.;Sharma, S.D.;Selvakumar, T.;Nataraju, B.;Datta, R.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5-11
    • /
    • 2002
  • Seven fungicides viz., salcylic acid, bacistin (Carbandazim 50% WP), bayleton (Triadimefon 25% WP), Dithane M-45 (Mancozeb 75% WP), captan (Captaf 50% WP) formaldehyde and benzoic acid at three concentrations (0.50,0.75 and 1.0%) and ten plant products viz., Hena leaf, garlic bulb, tomato leaf, mango bark, cotton leaf, turmeric powder, onion, tulsi leaf, neem leaf and ginger at 1.0,2.0 and 3.0% concentrations were screened against Aspergillus flavus and A. tamarii in vitro. Among fungicides, salcylic acid and bavistin and among plants Hena and Mango bark powder were found to be very effective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Based on in vitro screening, only selected six fungicides at 1.0, 1.5 and 2.(0% and six plants at 2.0,4.0 and 6.0% concentrations were tested in vivo for controlling Aspergillosis in silkworm. Salcylic acid and bavistin fungicides and Hena leaf powder and Mango bark powder have shown considerable effect in controlling Aspergillus infection in silkworm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Carbon Material from Natural Sources as an Anode in Lithium Secondary Battery

  • Bhardwaj, Sunil;Sharon, Maheshwar;Ishihara, T.;Jayabhaye, Sandesh;Afre, Rakesh;Soga, T.;Sharon, Madhuri
    • Carbon letters
    • /
    • 제8권4호
    • /
    • pp.285-291
    • /
    • 2007
  • Carbon materials of various morphologies were synthesized by pyrolysis of Soap-nut seeds (Sapindus mukorossi), Jack Fruit seeds (Artocarpus heterophyllus), Date-seeds (Phoenix dactylifera), Neem seeds (Azadirachta indica), Tea leaves (Ehretia microphylla), Bamboo stem (Bambusa bambus) and Coconut fiber (Cocos nucifera), without using any catalyst. Carbon materials thus formed were characterized by SEM XRD and Raman. Carbon thus synthesized varied in size (in ${\mu}m$) but all showed highly porous morphology. These carbon materials were utilized as the anode in Lithium secondary battery. Amongst the various precursors, carbon fibers obtained from Soap-nut seeds (Sapindus mukorossi) and Bamboo stem (Bambusa bambus), even after $100^{th}$ cycles, showed the highest capacity of 130.29 mAh/g and 92.74 mAh/g respectively. Morphology, surface areas and porosity of carbon materials obtained from these precursors were analyzed to provide interpretation for their capacity to intercalate lithium. From the Raman studies it is concluded that graphitic nature of carbon materials assist in the intercalation of lithium. Size of cavity (or pore size of channels type structure) present in carbon materials were found to facilitate the intercalation of lithium.

Development of Supercapacitors Using Porous Carbon Materials Synthesized from Plant Derived Precursors

  • Khairnar, Vilas;Jaybhaye, Sandesh;Hu, Chi-Chang;Afre, Rakesh;Soga, Tetsu;Sharon, Madhuri;Sharon, Maheshwar
    • Carbon letters
    • /
    • 제9권3호
    • /
    • pp.188-194
    • /
    • 2008
  • Porous carbon materials synthesized from various plant derived precursors i.e. seeds of [Castor (Ricinus communis), Soap nut (Sapindus sp.), Cashew-nut (Semecarpus anacardium), Jack 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Ambadi (Crotolaria juncea), Neem (Azadirachta indica), Bitter Almond (Prunus amygdalus), Sesamum (Sisamum indicum), Date-palm (Phoenix dactylifera),Canola (Brassica napus), Sunflower (Helianthus annulus)] and fibrous materials from [Corn stem- (Zea mays), Rice straw (Oryza sativa), Bamboo (Bombax bambusa) and Coconut fibers (Cocos nucifera)] were screened to make supercapacitor in 5M KOH solution. Carbon material obtained from Jack fruit seeds (92.0 F/g), Rice straw (83.0 F/g), Soap nut seeds (54.0 F/g), Castor seeds (44.34 F/g) and Bamboo (40.0 F/g) gave high capacitance value as compared to others. The magnitude of capacitance value was fou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can rate of measurement. It is suggested that carbon material should possess large surface area and small pore size to get better value of capacitor. Moreover, the structure of carbon materials should be such that majority of pores are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of electrode and surface is fluffy like cotton b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