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s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26초

제주도(濟州道)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조림지(造林地)의 영양환경(營養環境)에 관한 연구(硏究) II. 지위(地位)에 따른 토양(土壤) 및 임목(林木)의 양분(養分) 특성(特性) (Nutrient Environments of Japanese Cedar(Cryptomeria japonica) Forests in Cheju Island II. Nutri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ite Quality)

  • 진현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5-262
    • /
    • 1992
  • 원야조림(原野造林)에 의해 성립(成立)된 제주도(濟州島)의 삼나무 임분(林分)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지위(地位)의 차이(差異)에 따른 양분특성(養分特性)을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조사(調査)를 행(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의 판단기준(判斷基準)으로서 중요(重要)한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은 치환성(置換性) Ca과 Mg이며, 여기에 치환성(置換性) Na이 관여(關與)하여 이들의 균형(均衡)에 의해 임목(林木)의 생장(生長)이 좌우(左右)되는 것으로 추찰(推察)되었다. 또 엽중양분(葉中養分)에서는 N, K 및 Ca 농도(濃度)가 주요인자(主要因子)이며, 특히 Ca 농도(濃度)가 N 농도(濃度)와 거의 같은 높은 값을 나타낸 것과, 또 Ca 농도(濃度)와 지위(地位)와의 사이에 뚜렷한 관계가 인정(認定)된 결과(結果)는 사례(事例)가 극히 드문 것으로, 상기(上記)의 치환성(置換性) Na과 함께 제주도(濟州道) 삼나무 임분(林分)의 양분(養分) 특성(特性)을 대표(代表)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금후(今後), 토양중(土壞中)의 이러한 치환성(置換性) Na 특성을 고려(考慮)한 염기간(鹽基間) 균형(均衝)의 동태(動態)와 엽중(葉中) Ca 양분(養分)의 흡수(吸收)에 의한 임목생장(林木生長)의 증가기능(增加機能)을 밝히는 것은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을 유지(維持)하며, 향상(向上)시키는데 매우 중요(重要)한 과제(課題)라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Long-term Exposure to Black Carbon Particles on Growth and Gas Exchange Rates of Fagus crenata, Castanopsis sieboldii, Larix kaempferi and Cryptomeria japonica Seedlings

  • Yamaguchi, Masahiro;Otani, Yoko;Takeda, Kenta;Lenggoro, I. Wuled;Ishida, Atsushi;Yazaki, Kenichi;Noguchi, Kyotaro;Sase, Hiroyuki;Murao, Naoto;Nakaba, Satoshi;Yamane, Kenichi;Kuroda, Katsushi;Sano, Yuzou;Funada, Ryo;Izuta, Takeshi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4호
    • /
    • pp.259-267
    • /
    • 2012
  • To clarify the effects of black carbon (BC) particles on growth and gas exchange rates of Asian forest tree species, the seedlings of Fagus crenata, Castanopsis sieboldii, Larix kaempferi and Cryptomeria japonica were exposed to BC particles with sub-micron size for two growing seasons from 1 June 2009 to 11 November 2010. The BC particles deposited after the exposure to BC were observed on the foliar surface of the 4 tree specie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BC accumulated on the foliar surface after the exposure to BC aerosols were 0.13, 0.69, 0.32 and 0.58 mg C $m^{-2}$ total leaf area in F. crenata, C. sieboldii, L. kaempferi and C. japonica seedlings, respectively. In August 2010, the exposure to BC particl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net photosynthetic rate under any light intensity, stomatal diffusive conductance to water vapour ($g_s$), stomatal limitation of photosynthesis, response of $g_s$ to increase in vapour pressure deficit and leaf temperature under light saturated condition in the leaves or needles of the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C particles deposited on the foliar surface did not reduce net photosynthesis by shading, did not increase leaf temperature by absorption of irradiation light, and did not induce plugging of stomata in the leaves or needles of the seedling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BC particles on the increments of plant height and stem base diamete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whole-plant dry mas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osure to BC particles with sub-micron size for two growing seas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owth and leaf or needle gas exchange rates of F. crenata, C. sieboldii, L. kaempferi and C. japonica seedlings.

독일가문비(Picea abies Karsten) 잎 추출성분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ives from the Needles of Picea abies Karsten)

  • 이상극;배영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29-434
    • /
    • 2006
  • 독일가문비(Picea ahies Karsten)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1.5 kg을 acetone-$H_2O$(7:3, v/v)로 추출하고 핵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가용부로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와 EtOH-n-hexane 혼합액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셀룰로오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고 FAB 및 El-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독일가문비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에는 (+)-catechin(화합물 I), (-)-epicatechin(화합물 II), kaempferol-3-O-${\beta}$-D-glucopyranoside(화합물 III), 4-hydroxyacetophenone(화합물 IV)가 분리되었으며 물 가용부에서는 (+)-catechin(화합물 I)과 protocatechuic acid(화합물 V)가 분리되었다. 각 분획물 및 단리된 화합물들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분획물중에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 그리고 화합물중에는 (T)-catechin과 (-)-epicatechin에서 기준물질과 유사한 우수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 임상시험 논문에 적용한 Sham Acupuncture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the Sham Acupuncture for Acupuncture Clinical Trials)

  • 정찬영;장민기;조재용;김은정;박인식;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77-93
    • /
    • 2008
  • Objectives : Though there were many clinical studies of acupuncture effects they didn't have appropriate control group or use another therapy for control group. So, we didn't say it was true acupuncture effect, though subjects in clinical study improved. Recently several sham needles for control group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his study aimed at summarizing the validation studies of these needles and evaluating the control group of the acupuncture clinical study. Methods : Computerized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using 'acupuncture' and 'placebo or sham' with a limitation of the results to RCTs in Pubmed, Sciencedirect, NDSL, KISS, RISS. Data were extracted regarding study design, sample size, acupuncture point, stimulation form, credibility testing. And We have examined 106 acupuncture clinical studies published by Pubmed from January 1, 2005 to April 30, 2008. Data were extracted author's country, subject of study, type of study groups, type of control groups, type of blinding,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in the control groups. Results : Streitberger's placebo needle, Fink's sham needle, Park sham needle, Kim sham needle were developed. They were validated at domestic and abroad. But the results were deviation depending on the each of the researcher. They has shown that sample, acupuncture points, experiences or knowledge of acupuncture dependent on the results. Recent three years, acupuncture clinical trial had differen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emerged from using other therapy or non-treatment for control group. Many study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using sham acupuncture for control groups. Conclusions : Acupuncture clinical studies need to meet several requirements. First of all, they require the basics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studies such as blinding and the accurate implementation and description of randomization. And also need to research the unique circumstances of these stud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ham acupuncture and blinding method which differs from other clinical trials.

  • PDF

침엽(針葉)의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에 의(依)한 우리나라 소나무의 이입교잡현상(移入交雜現象) 연구(研究) (Introgressive Hybridization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by the Position of Resin duct in Needle)

  • 류장발;홍성호;정헌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19-27
    • /
    • 1985
  • 우리나라 소나무의 이입교잡현상(移入交雜現象)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67 개(個) 지역(地域) 4,992 본(本)의 침엽(針葉)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를 조사(調査)하였다. 침엽(針葉)의 수지구(樹脂溝)가 모두 외위(外位)인 것은 소나무, 모두 중위(中位)인 것은 곰솔, 외위(外位)와 중위(中位)가 하나라도 섞여있는 것을 잡종(雜種)으로 판정(判定)하면, 전(全) 조사지역(調査地域)에서 잡종(雜種)이 발견(發見)되어 순수(純粹)한 소나무만 있는 지역(地域)은 한곳도 없었다. 개체내(個體內)에서 침엽별(針葉別)로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에 변이(變異)가 있었으므로, 잡종성판정(雜種性判定)에는 표본수(標本數)의 영향이 컸다. 따라서 잡종성판정(雜種性判定)은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에만 의존(依存)하는 것보다 여러 형질(形質)로 종합(綜合) 판정(判定)을 하여야 될 것이다. 소나무와 곰솔 간의 인공교배(人工交配)는 생산성(生産性)이 낮고 잡종(雜種)의 우수성(優秀性)이 크게 기대(期待)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조림(造林)을 위한 잡종종자(雜種種子)의 대량생산(大量生産)은 실용적(實用的) 가치(價値)가 없다고 판단(判斷)된다.

  • PDF

Pinus thunbergii×P. massoniana F1 교잡종(交雜種) 유묘(幼苗)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P. massoniana F1 Hybrid Seedlings)

  • 박문한;전계상;윤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51-55
    • /
    • 1985
  • Pinus thunbergii를 교배모수(交配母樹)로 하고 대만(台灣)으로부터 도입(導入)된 P. massoniana 화분(花粉)으로 인공교배(人工交配)한 교잡종(交雜種)과 그의 모수(母樹) 풍매차대(風媒次代)들에 대(對)한 충실종자생산(充實種子生産), 생장(生長),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 및 Phenol 물질함량(物質含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과당(毬果當) 충실종자(充實種子) 생산량(生産量)은 교잡종(交雜種)이 평균(平均) 2.3립(粒)으로 풍매(風媒) 26립(粒)에 비(比)하여 저조(低調)하였다. 2) 유묘시(幼苗時) 묘고생장(苗高生長)은 교잡종(交雜種)이 풍매차대(風媒次代)에 비(比)해 평균(平均) 151%로 우수(優秀)하였으며 120~208%의 변이(變異)를 나타냈다. 3) 침엽(針葉)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은 교잡종(交雜種)이 풍매차대묘(風媒次代苗)에 비(比)하여 침엽(針葉)이 부드럽고, 연(軟)하고, 길며, 연록색(軟綠色)을 나타내고 해부형태(解剖形態)에 있어서는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가 P. thunbergii 풍매차대(風媒次代)는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교잡종(交雜種)들은 중위(中位)와 외위(外位)가 동시(同時)에 나타났다. 4) Phenol 물질분석(物質分析)에 있어서는 교잡종(交雜種)과 P. thunbergii 풍매차대간(風媒次代間)에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Unknown 4와 6의 물질(物質)이 교잡종(交雜種)에만 나타난 사실(事實)은 특이(特異)하나 이것이 화분수(花粉樹)에서 유래(由來)된 것인지의 여부(與否)는 좀 더 구명(究明)되어야 할 과제(課題)이다.

  • PDF

광주지방(光州地方)의 리기다소나무 및 리기테다소나무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에 관(關)한 연구(研究)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Pinus rigida and Pinus rigida×taeda Plantation in Kwangju District)

  • 이경재;김갑덕;김재생;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28-35
    • /
    • 1985
  • 전남(全南) 광주(光州)에 소재(所在)하는 22년생(年生)의 리기다 및 리기테다소나무임분(林分)에 $200m^2$의 표준지(標準地)를 설정(設定)하고,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및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을 분석(分析) 추정(推定)하였다. 각(各) 표준지(標準地)에 직경급별(直徑級別)로 안배한 9 주(株)의 표본목(標本木)을 벌채(伐採)하여 1m의 계층(階層)으로 절단(切斷)하고 간(幹)(Ws), 지(枝)(Wb), 엽(葉)(Wl) 부위(部位)로 나누어 건중량(乾重量)을 계산(計算), $D^2H$와의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이용(利用)하여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생산구조면(生産構造面)에서 광합성부(光合成部)가 리기다소나무는 지상(地上) 6.2m, 리기테다소나무는 지상(地上) 9.2m 높이에서 시작되었고, 수관(樹冠)의 최대광합성층(最太光合成層)은 각각(各各) 11.2m, 12.2m 높이에서 나타났다.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은 리기다소나무가 71.61 t/ha, 리기테다소나무가 142.32 t/ha이었고,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각각(各各) 10.81 t/ha/yr, 10.46 t/ha/yr이었다. 현존량밀도(現存量密度)는 리기다소나무가 $0.56kg/m^3$, 리기테다소나무가 $0.96kg/m^3$ 이었다.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을 추정(推定)한 바 NAR은 리기다소나무가 1.32 kg/kg/yr, 리기테다소나무가 1.00 kg/kg/yr이었고, 잎의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각각(各各) 0.97 kg/kg/yr, 0.81 kg/kg/yr 이었다.

  • PDF

잣나무엽(葉)의 초기(初期) 분해과정(分解過程)에 있어서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 및 CO2 방출속도(放出速度)의 변화(變化) (Changes of Inorganic Nitrogen and CO2 Evolution Rate o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Korean White Pine Needles)

  • 이명종;한상섭;김정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13-18
    • /
    • 1985
  • 잣나무의 녹엽(綠葉), 낙엽(落葉), F층(層)의 엽(葉)과 떡갈 및 굴참나무의 녹엽(綠葉)을 각각 토양(土壤)에 혼합(混合)하여 53일간 $30^{\circ}C({\pm}1)$로 항온배양(恒温培養)하는 동안 토양중(土壤中)의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 및 $CO_2$ 방출속도(放出速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배양초기(培養初期)에는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의 유기화(有機化)로 무기태(無機態) 질소량(窒素量)의 감소(減少)가 강(強)하게 일어났고,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 하였다. 2) 혼합(混合)한 엽중(葉中)의 유기태(有機態) 질소(窒素)의 유기화속도(有機化速度)는 잣나무의 엽중(葉中) 녹엽(綠葉)에서 가장 컸으나, 굴참 및 떡갈나무의 녹엽(綠葉)보다는 작았다. 3) $CO_2$ 방출속도(放出速度)의 크기는 굴참나무녹엽(綠葉), 떡갈나무녹엽(綠葉), 잣나무녹엽(綠葉), 잣나무 낙엽(落葉), F층(層)의 잣나무엽(葉)을 혼합(混合)한 토양(土壤)의 순(順)이었고, 시간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감소했다. 4) 질산태(窒酸態) 질소량(窒素量)은 점차 증가(增加)하여 배양(培養) 53일 후에, 암모니아태(態應) 질소량(窒素量)을 상회(上迴)하였다.

  • PDF

정신기능과 관련된 경혈에 대한 침 자극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on Acupoints Related to Mind)

  • 이승기;최우진;심성윤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5-99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cupuncture on the human body by comparing changes within human bodies before and after people in normal health are treated with acupuncture at the acupoints HT7 and PC9, which are related to mental functions. Methods :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anuary 3, 2008 to March 5, 2008 on 60 healthy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HRV, EEG, skin conductance response, respiration and peripheral skin temperature were measured for 5 minutes before acupuncture simulation was applied to the acupoints HT7 and PC9. During 20 minutes of acupuncture treatment, the same items were continuously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had been any changes, and they were then measured for 5 minutes after the removal of the acupuncture needles in order to implement a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 1. The HRV measurement showed that in the course of before, during and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heart rate, HF and HF norm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t HT7. LF, LF norm, and LF/HF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hile heart rate, HF and HF norm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t PC9. 2. Skin conductance respons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t PC9 during and after the acupuncture simulation periods, compared with the pre acupuncture period. 3. the peripheral skin temperatu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oth at HT7 and PC9 in the course of before, during and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4. Compared with the pre-acupuncture period, respiration rate increased both at HT7 and at PC9 during and after the acupuncture simulation periods, but no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5. In the EEG measurement, when compared with the pre-acupuncture period at HT7, mid ${\beta}$ wav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during acupuncture treatment.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s during acupuncture treatment at PC9, low ${\beta}$ wav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fter the acupuncture needles were removed. Conclusions : When acupuncture treatment is applied at the acupoints HT7 and PC9, the activation of parasympathetic nerves decreases and the activation of sympathetic nerves increases in the HRV measurement. It was determined that PC9 makes the sympathetic nerves become highly activated in a skin conduction response. The effect of stability in the brain wave seemed to bo shown at HT7 than PC9.

  • PDF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Growth by Plants in vitro)

  • 정원화;변명섭;전선옥;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136-144
    • /
    • 2000
  • 팔당호 주변에서 자생하는 식물체를 이용하여 실험실 내에서 배양된 남조류에 투여하여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조사하였다. 조류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 육상식물을 이용하는 경우 조류 밀도가 10$^{4}$ cells/ml 범위에서의 0.5g/l 투여량은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던 반면, 2.5 g/l 투여량에서는 95%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조류 밀도가 10$^{6}$ cells/ml 범위에서의 육상식물 투여량은 2.5 g/l 이상이 필요했다. 조류성장 억제에 육상식물은 잣잎, 수생식물은 애기마름이 큰 효과를 보였다. 애기마름 투여조는 조류 밀도가 10$^{6}$ cells/ml 범위에서도 2.5 g/l 투여량으로 50%의 억제 효율이 나타났다. 식물을 이용한 조류 증식 억제 효과는 식물 투여 후 7일째 후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체, 건체, 추출물 비교시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육상식물 투여조의 경우 1.25 g/l 투여량에 비해 2.5 g/l 투여량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고, 애기마름은 1.25 g/l 투여량에서도 99%의 효과를 보였다. 건체식물은 습체식물에 비해 초기에도 높은 효과를 보였다. 조류의 비증식속도로 보았을 때도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고 다음으로 건체, 습체식물 투여순으로 조류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