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 of Pinus densiflora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 phytogenic blend containing Schisandra chinensis, Pinus densiflora, and Allium tuberosum on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health parameters in laying hens

  • Moon, Seung-Gyu;Lee, Sung-Kwang;Lee, Woo-Do;Niu, Kai-Min;Hwang, Won-Uk;Oh, Jong-Seok;Kothari, Damini;Kim, Soo-K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85-294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ary effect of a phytogenic blend (SPA: a mixture containing fermented Schisandra chinensis pomace, fermented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Allium tuberosum powder in the ratio of 2:2:1)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blood constituents, and visceral organs in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135 Hy-line brown laying hens (48-wk-old)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with 5 replicates of 9 hens. The control group (CON) was fed a basal diet (no exogenous SPA addi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the basal diet containing SPA at the level of 0.1% and 0.3% for 6 weeks. Results: The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SPA supplemen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However, egg production, daily egg mass,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p>0.05). For egg quality traits, only Haugh unit (HU)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SPA (0.3%) (p<0.05)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 However, HU was not affected during 4-wk of storage at 18℃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p>0.05). Furthermore, SPA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except for the phosphate content,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A groups than the CON group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ceral organ characteristics and immune indicators (immunoglobulin A [IgA], IgG, and IgM) in SPA or CON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SPA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feed intak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Soil Carbon Cycling and Soil CO2 Efflux in a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

  • Kim, Choon-Si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23-2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est carbon cycling and soil $CO_2$ efflux rates in a 42-year-old pine (Pinus densiflora) stand located in Hamyang-gun, Korea. Aboveground and soil organic carbon storage, litterfall, litter decomposition, and soil $CO_2$ efflux rates were measured for one year. Estimated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rage and increment in this stand were $3,250gC/m^2\;and\;156gC\;m^{-2}yr^{-1}$, respectively. Soil organic carbon storage at the depth of 30 cm was $10,260gC/m^2$ Mean organic carbon inputs by needle and total litterfall were $176gC\;m^{-2}yr^{-1}\;and\;235gC\;m^{-2}yr^{-1}$, respectively. Litter decomposition rates were faster in nne roots less than 2 mm diameter size ($<220\;g\;kg^{-1}yr^{-1}$) than in needle litter ($<120\;g\;kg^{-1}yr^{-1}$). Annual mean and total soil respiration rates were $0.37g\;CO_2m^{-2}h^{-1}$ and $2,732g\;CO_2m^{-2}yr^{-1}$ during the study perio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soil $CO_2$ efflux and soil temperature (r=0.8149), while soil $CO_2$ efflux responded negatively to soil pH (r=-0.3582).

홍도(紅島)의 적송집단(赤松集團) (Pinus densiflora S. et Z. Population in Hong-do Island in Korea)

  • 임경빈;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1
    • /
    • 1974
  • 전남(全南) 신안군(新安郡) 흑산면(黑山面) 홍도리(紅島里)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홍도(紅島)의 적송집단(赤松集團)을 대상(對象)으르 개체(個體)의 수형(樹型), 분지각(分枝角), 수피색(樹皮色), 추재율(秋材率) 침엽장(針葉長), 수지도(樹脂道)의 위치(位置)와 수(數) 등이 조사(調査)되었다. 홍도(紅島)에 자라는 송류(松類)는 적송(赤松)이 대부분(大部分)으로 필자(筆者)는 조사(調査)도중 단일주(單一株)의 해송치수(海松稚樹)를 발견(發見)하였을 뿐이다. 20년생(年生) 이상의 적송(赤松) 14개체(個體)의 침엽(針葉)을 검경(檢鏡)한바 어느 정도(程度)의 해송인자(海松因子)가 혼입(混入)되어 있었다. 밀엽형개체(密葉型個體)와 소엽형개체(疎葉型個體)를 볼 때 부수지도(副樹脂道)의 수(數)가 현저하게 적은 것이 특징(特徵)이며 특히 소엽형(疎葉型)의 경우 부수지도(副樹脂道)의 수(數)가 1.3 이라는 평균치(平均値)를 보였다. 현 단계로서는 과거부터 홍도(紅島)에 해송(海松)이 있었던 것으로 보기 어렵고 해안일대(海岸一帶)에 분포(分布)하는 해송(海松)으로부터 화분(花粉) 비산공여(飛散供與)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1)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Needle of Several Conifers(1))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1992
  • 인위적으로 산도를 조절한 인공산성우처리가 4수종의 종자발아와 생장, 잎의 피해,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t에 종자를 파종하고,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 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를 처리하면서 종자발아율, 엽피해율, 토양산도 및 묘목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곰솔은 PH 4.0 처리구에서, 독일가문비는 pH 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고, 소나무와 젓나무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소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곰솔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처리산성우의 pH값이 작아질수로 피해엽수 및 피해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산도는 대체로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

흰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송엽 추출물(PNE)의 영향 II. 뇌세포막의 산소라디칼 및 제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NE의 투여효과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SD Rats II. Feeding Effect of PN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tm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 최진호;김정화;김동우;김경석;이종수;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96
    • /
    • 1998
  •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is one of rhe popular plant drugs which has been used as a medicine in Asi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brain membranes of Sprague- Dawley (SD), make SD rats were fed basic diets(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PNE group) with 0.5 and 1.0% of PNE 6 weeks. Mitochondrial hydroxyl radical levels in brain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o 30% and 25%, respectively, and microsomal hydrogen peroxide levels in brain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o 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ytosolic superoxide rdical levels in 1.0%-PNE group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to 20%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peroxide(LPO) levels in brain mitochondria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25% and 35%) than that in control group. Mn-superoxide disumtase (SOD) activities in brain of 0.5%-PNE and 1.0%-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18% and 12%) than those in control groups, but Cu,Zn-SOD activities in brain of 0.5%-PNE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to 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ctivities in brain of 1.5%-PNE and 1.0% PN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14% and 12%) than those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beneficial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oxygen radicals and lipid peroxide(LPO). and oncreases of scavenger enzym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may be effectively modulated by administration of pine needle extract (PNE)

  • PDF

石灰巖地域 소나무림과 측백나무림의 落葉生産, 分解 및 窒素와 燐의 動態 (Litterfall, decomposition, and nutrient dynamics of litter in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chinese thuja (thuja orientalis) stands in the limestone area)

  • Mun, Hyeong-Tae;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147-155
    • /
    • 1992
  • Litterfall, decomposition, and dynamics of n and p in decomposing litter were investigated for 2 years in red pine ( pinus densiflora) and chinese thuja( thuja orientalis)stands in the limestone area. Average litterfall in red pine and chinese thuja stands were 4, 535kgDM ha-1 yr-1 and 5, 010 kgDM ha-1 yr-1, respectively. Seasonal litterfall in red pine and chinese thuja stands showed peaks in November. concentrations of N and P in the needle litter were lowest in the winter when the greast litterfall occurred, and highest in the summer when the least litterfall occurred. However, those in chinese thuja scale leaf litter showed litter seasonal variation.amount of N and P returned to the forest floor through litterfall were 29.02kgN ha-1 yr-1 , 2.81 kg P ha-1 yr-1 for red pine stand, and 31.06 kg N ha-1 yr-1 , 2.86kgP ha-1 yr-1 for chinese thuja stand, respectively. After 21 mounts elapsed, needle and chinese thuja scale leaf litterbags lost 34.8% and 32.5% of the initial weight, respectively. N concentrations in the docomposing needle and chines thuja scale leaf litter decreased by 19% and 30%, respectively, after 1 month elapsed,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exceed the initial concentration after 9 months elapsed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exceed the initial concentration after 9 months elapsed in both of them, P in needle and chines thuja scale leaf litter decreased by 54% and 57%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fter 1 month elapsed. unlike N, P concentration in the decomposing litter did not exceed that of initial ones. Neyt immobilization period of N and P in decomposing litter did not occur over the study period.

  • PDF

강원도(江原道) 배양군(裴陽郡) 소나무림 내의 딱정벌레 상(相) - 솔잎혹파리의 피해(被害)와 관련(關連)하여 - (Ground Beetle Fauna in Pinus densiflora Forests in Yangyang-gun, Kangwon Provinc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Outbreaks of the Pine Needl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 ;김종국;이찬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32-642
    • /
    • 2001
  • 강원도 양양군에서 소나무 단순림 5개소(個所)와 침엽수(針葉樹)와 관엽수(關葉樹)가 혼효(混淆)되어 있는 천연림(天然林) 내(內)의 지표동물, 특히 딱정벌레(Carabidae)를 대상으로 조사, 비교하였다. 소나무림 내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상(相)은 장소별 차이가 적게 나타났으며 토양동물군집(土讓動物群集)의 생물다양도(生物多樣度)도 낮았다. 딱정벌레 가운데 Synuchus 속(屬)의 종개체수(種個體數)는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의 피해솔(被害率)이 높은 장소 일 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나타났으며, 이 속(屬)에 속하는 종류(種類)는 솔잎혹파리를 섭식하는 주요한 보식자(補食者)로 파악되었다. 또한 침 활엽수가 혼효된 천연림(天然林)에 비하여 소나무림에는 상위(上位) 분류군(分類群)에 속하는 산림동물의 종수(種數) 및 딱정벌레과(科)의 속수(屬數) 종수(種數)가 모두 적었고, 특히 비상능력(飛翔能力)이 없는 대형 딱정벌레류의 대부분은 천연림(天然林)에서만 채집되었다. 따라서 해발고(海拔高)가 낮은 지역에 조성된 소나무림에서는 이전(以前)에 산림파괴(山林破壞)로 손실된 많은 종(種)이 아직도 회부(回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소나무, 해송(海松) 및 리기다소나무에 있어서 건전엽(健全葉)과 솔잎혹파리 피해엽(被害葉)의 생화학적(生化學的) 물질비교(物質比較) (Biochemical Substances from Normal Needles and Infested Needles Attacked by Thecodiplosis japonensis in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Pinus rigida)

  • 한상억;이돈구;전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9-55
    • /
    • 1980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에 대(對)한 솔잎혹파리 피해엽(被害葉)과 건전엽(健全葉)에서 monoterpene조성, phenoanl물질(物質), 생장(生長) 물질(物質), 전질소함량등을 비교(比較)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onoterpene성분중(成分中) 소나무에 많이 나타난 성분(成分)은 ${\beta}$-phellandrene, ${\alpha}$-pinene이며, 리기다소나무에 많이 나타난 성분(成分)은 ${\beta}$-pinene, ${\alpha}$-pinene 이었다. 그리고 저항성수종인 리기다소나무의 솔잎혹파리 피해엽(被害葉)은 건전엽(健全葉)에 비(比)하여 ${\alpha}$-pinene, ${\beta}$-pinene과 myrcene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이 많았고, camphene, limonene과 ${\beta}$-phellandrene은 적었다. 2. 저항성 수종인 리기다소나무에서는 감수성수종인 소나무에서 나타나지 않은 Phenol물질(物質)인 salicylic acid와 하나의 미지물(未知物)이 더 검출되었다. 3. IAA의 선구물질인 tryptophan이 충영부위와 유충(幼虫)에서 모두 검출되므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에 생장물질(生長物質)이 관여한다는 것을 보였다. 4. 침엽(針葉)의 단위무게당 질소함량은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간에 또한 피해엽(被害葉)과 건전엽간(健全葉間)에 모두 유의차가 없었다.

  • PDF

우리나라 자생 소나무의 지역에 따른 침엽특성 변이 (Geographic Variation in Needle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 신창호;김규식;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6-341
    • /
    • 2007
  • 우리나라의 대표적 향토수종인 소나무 침엽의 지리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위도와 경도를 30' 간격으로 교차되는 35집단을 선정하고 침엽을 채취하여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엽길이, 침엽폭, 기공열수, 기공밀도, 거치수, 수지구수가 집단간, 개체간에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개체간의 차이가 집단간의 차이보다 더 컸다. 기공밀도는 남부지역의 집단들 보다는 북부지역의 집단들이 더 높았으며, 표고가 낮은 지역의 집단들 보다는 표고가 높은 지역의 집단들이 기공밀도가 더 높았다. 거치수는 북부지역의 집단들보다는 남부지역의 집단들이 더 많았으며, 표고가 높은지역의 집단들보다는 표고가 낮은 지역의 집단들이 더 많았다. 수지구 수는 해안에서 거리가 먼 내륙의 집단들 보다는 해안에서 거리가 가까운 집단들이 더 많았다. 그리고 수지구 지수는 동부지역의 집단들 보다는 서부지역의 집단들이 더 높았다. 침엽의 형태적 특성으로 유집분석 결과 3개 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제III군은 I, II군에 비하여 거치수는 적고, 기공 밀도가 높은 태백산맥 주위의 집단들이었다.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研究)(II) - 소나무의 피해(被害) -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II) - Growth impact on red pine -)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87-95
    • /
    • 1983
  • 솔잎혹파리가 소나무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그 발생경과년수(發生經過年數)가 서로 다른 충청남도(忠清南道) 서천군(舒川郡), 보령군(保寧郡), 홍성군내(洪城郡內) 9개(個) 지역(地域)에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이 조사(調査)는 피해허용한계(被害許容限界)를 알기 위한 첫 단계(段階)로 소나무피해(被害)의 개황(槪況)을 본 것으로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솔잎혹파리가 발생(發生)된 소나무의 피해(被害)는 4~5년간(年間) 지속(持續)되는데 2~3년차(年次)에 가장 심(甚)하였다. 2) 솔잎혹파리의 충영형성(蟲廮形成)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径生長)과 수고생장(樹高生長)의 저해(沮害)를 동시(同時)에 일으킨다. 3)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径生長)과 수고생장간(樹高生長間)에는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솔잎혹파리 피해(被害)에도 불구하고 이 관계(關係)는 교란되지 않았다. 따라서, 주신초(主新梢)의 생장저해(生長沮害) 상황(狀況)을 가지고 직경생장(直径生長)의 저해정도(沮害程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이다. 4) 솔잎혹파리의 충영율(蟲廮率)은 북향(北向)에서 월등(越等)하게 높아 소나무의 고사(枯死)도 북향(北向)에서 높았다. 5)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13년생(年生) 소나무의 재적생장손실(材積生長損失)은 수확표와 비교(比較)할 때 75~85% 이상(以上)이 되고 이 피해(被害)는 정상적(正常的)인 생장(生長)을 되찾아도 복구(復舊)되기 어려울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