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 fascicle numb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파종상(播種床)에서 피음(被陰) 처리(處理)한 유묘(幼苗)의 단근영향(斷根影響) - (Effect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n Pinus koraiensis Seedlings (II) - The Influence of Root cuttings on the Growth of Seedlings Grown on the Transplanting Bed -)

  • 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1호
    • /
    • pp.1-10
    • /
    • 1987
  • 잣나무의 유묘기(幼苗期) 생육(生育)에 있어 광(光)과 단근(斷根) 처리(處理)에 따른 이식후(移植後) 생장(生長)에 미치는 몇 가지 영향(影響)에 대하여 조사(調査), 비교(比較) 하였다. 기(其) 결과(結果) 묘목(苗木)의 활착율(活着率)은 상대광도(相對光度)가 낮은 19%구(區)가 가장 높았고, 단근량(斷根量)은 1/2 이상(以上)이 되면 50% 이상(以上)이 감소(減少)되었다.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및 묘경생장(苗徑生長)은 상대광도(相對光度) 100%에서, 그리고 단근(斷根) 1/4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또한 엽속수(葉束數) 및 엽면적(葉面積)은 상대광도(相對光度) 63%구(區)가, 그리고 단근(斷根) 1/4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잣나무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미치는 광도(光度)의 영향(影響)은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나 단근량(斷根量)의 효과(效果)는 극(極)히 적게 나타났다.

  • PDF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 - 파종상(播種床)에 있어서의 피음처리(被陰處理) 영향(影響) - (Effect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I) - The Influence of Shading on the Growth of Seedlings Grown on the Seed Bed -)

  • 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43-54
    • /
    • 1986
  • 파종상(播種床)에서 피음처리(被陰處理)를 행(行)한 잣나무 유묘(幼苗)의 상대광도별(相對光度別) 생장관계(生長關係)를 분석(分析)하였던 바 기(其)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장생장(伸長生長)에 있어서 지상부(地上部)는 상대광도(相對光度) 37% 구(區)에서, 그리고 기외(其外)의 기관(器官)은 100% 구(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광도(光度)가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묘장(苗長),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기여율(寄與率) 93%, 26.2%, 21.4%. 48.7%였다. 2) 엽령(葉令)에 따라 엽속(葉束) 및 엽장(葉長)의 변화(變化)는 크게 나타났다. 엽속(葉束)은 1년생(年生)의 경우 광도(光度)가 높을수록, 그리고 2년생(年生)은 상대광도(相對光度) 37% 구(區)에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엽장(葉長)은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이때 광도(光度)가 미치는 엽속(葉束) 및 엽령(葉令)에 대(對)한 기여율(寄與率)은 각각(各各) 39%, 27.8% 였고 엽장(葉長)은 2.5%였다. 3) 중량생장(重量生長)은 상대광도(相對光度) 100% 구(區)에서 가장 컸으나 점차 광도(光度)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광도(光度)가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생중량(生重量) 및 건중량(乾重量)의 경우 38%와 7.6%였고, 엽건중량(葉乾重量)은 13.18%로 나타났다. 4) T/R 율(率)은 상대광도(相對光度)가 점차 낮아 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이때 광도(光度)가 T/R율(率)에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7.0%였다. 5) 엽건중량(葉乾重量)과 타기관(他器官)의 생장량간(生長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고 이들간에는 직선회귀(直線回歸) 관계(關係)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