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ctar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과실 통조림의 주석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in Content for Fruit Tinplated Can)

  • 허윤행;김옥경;김정헌
    • 환경위생공학
    • /
    • 제8권2호
    • /
    • pp.149-154
    • /
    • 1993
  • Authors investigated on the content of tin metals in 108 samples of tinplated canned fruit commercial. 1.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in in 11 kinds of samples of canned fruit that is, apricot nectar was 114ppm and lowest of that 2.5∼3ppm. 2. There was 48.6ppm of tin content in orange nectar A that of pineapple nectar 56.6ppm in higher remarkably and that of the other samples was no appearance difference. 3. There was 114ppm(number 10), 5.3∼56.6ppm(number 8) and 8.7∼48.6ppm(number 3) of tin content in minimum between maximum concentration for difference remarkably and that of others there was no difference considerably,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detection frequency of content range was 8∼ 14ppm in 41. 7% and 2.5"6.6ppm in 36.1% and that of concentration was lower for comparison the others. 5. There was lower contration of tin in all samples for law of food hygiene in limitation 150ppm.

  • PDF

봉선화 꽃외화밀 생산에 곤충 초식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ect herbivory on extrafloral nectar production of Impatiens balsamina)

  • 남기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1-135
    • /
    • 2018
  • 식물이 생산하는 꽃외화밀(extrafloral nectar)은 주로 단당류, 이당류로 구성되어 있는 액체로서, 개미나 기생벌 등 초식 곤충의 천적을 유인하는 식물의 간접 방어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봉선화를 이용하여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곤충의 초식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실험은 곤충 초식 방식 두 가지 (잎을 씹어먹는 타입과 체관 액체를 빨아먹는 타입)를 인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 봉선화 잎을 기계적으로 손상시키는 방법 (simulated herbivory), 2) 봉선화 잎을 기계적으로 손상시킨 후 자스몬산 그리고 나방 애벌레 타액이 섞인 토사물(regurgitate)의 두가지 유도물질(elicitor)을 잎에 처리하는 방법 (simulated herbivory + elicitor application), 3) 초식곤충인 진딧물을 봉선화 잎에 인위적으로 감염시키는 방법 (aphid feeding)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식물을 처리하고, 이후 나타나는 봉선화의 꽃외화밀 생산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은 기계적 손상, 기계적 손상+유도물질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나비나 나방 애벌레 등 잎을 씹어먹는 방식으로 섭식하는 곤충의 초식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진딧물 섭식에 의해서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진딧물 등의 체관 내용물을 빨아먹는 방식으로 섭식하는 곤충의 초식에는 봉선화 꽃외화밀의 생산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진딧물의 밀도와 꽃외화밀의 생산량 감소와는 상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봉선화 잎의 꽃외화밀 생산에 미치는 진딧물의 영향이 광합성 산물의 일부가 진딧물에 의해 소모되기 때문에 생기는 결과라는 증거는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두 Nectar의 퇴색(褪色)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Factors Affecting Color Loss in Plum Nectar)

  • 조성환;김명찬;이만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7-122
    • /
    • 1985
  • 자두넥타의 가공(加工) 저장시(貯藏時) 색깔을 안정화(安定化) 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마련하기 위(爲)한 기초실험(基礎實驗)으로 자두넥타로부터 색소(色素)를 추출(抽出) 정제(精製)하여 그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anthocyanin 0.62 mg/g fruit, total phenolics 4.69 mg/g fruit을 얻었고 이 색소(色素)는 525nm 부근(附近)에서 최대흡광도(最大吸光度)를 가졌다. 자두넥타의 퇴색(褪色)에 가장 중요(重要)한 영향인자(影響因子)가 되는 것은 온도(溫度)이며, 실온(室溫)에서 500 시간(時間)에 half life를 가지던 자두색소(色素)는 $80^{\circ}C$에서는 $20{\sim}30$시간(時間)으로 격감(激減)하였다. color loss는 pH 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고 산도(酸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색소(色素)의 안정도(安定度)가 증가(增加)하였다. Ascorbic acid, Cu 또는 Fe과 같은 금속이온의 첨가농도(添加濃度)가 증가(增加) 할수록 색소(色素)의 half life가 감소(減少)하며 열처리(熱處理)로 손상(損傷)된 자두넥타의 혼입량(混入量)이 증가(增加) 할수록 퇴색속도(褪色速度)가 증가(增加)하고 탄수화물(炭水化物), 분해대사물(分解代謝物)인 hydroxymethyl furfural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될수록 색소손실율(色素損失率)이 증대(增大)되었다. 발효균주(醱酵菌株)의 배양(培養)에 따라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되는 동안 색소손실량(色素損失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추출색소(抽出色素)의 spectrum도 상이(相異)한 결과(結果)를 보여 주었다.

  • PDF

과일통조림 중에 함유된 중금속의 함량변화 (Changes of Heavy Metal Contents of Commercial Canned Fruits)

  • 위성언;김순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6-280
    • /
    • 1993
  • Analytic data on the content of Pb and Sn from twenty five samples of fruit canned In the open market is as follows. The content of Pb and Sn from twenty five samples of fruit canned In the open market was less than Korean laws of food hygiene. The content of Pb and Sn increased In the long time of self life. In comparison with fruit flesh and nectar, nectar showed a tendency to less content.

  • PDF

Effects of Titratable Acidity and Organic Acids on Enamel Erosion In Vitro

  • Kim, Eun-Jeong;Jin, Bo-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9
  • Background: Erosion is a gradual process that occurs fairly quickly, and the full extent of the erosive effects of acidic beverages is not yet clear.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erosive potentials among four naturally acidic fruit nectars within the same range of titratable acidity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components of organic acids on tooth erosion. Methods: Diluted fruit nectars (mandarin 1:1.1, orange 1:1.7, lemon 1:15, grapefruit 1:20) with the same range of titratable acidity (7.9 ml) and their corresponding organic acids (0.05%, 0.1%, 0.3%, and 0.5% citric acid, malic acid, and a citric and malic acid mixture [pH 2.8], respectively) were used. Specimens were placed in conical tubes with 50 ml of each of the test solutions for 1 hour. A microhardness te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to measure enamel erosion. Acid separation was carried out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each test solution. Results: Similar decreases in the Vickers hardness number (VHN)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treated with the following diluted fruit nectars: diluted mandarin nectar ($75.9{\Delta}VHN$), diluted lemon nectar ($89.1{\Delta}VHN$), diluted grapefruit nectar ($91.7{\Delta}VHN$), and diluted orange nectar ($92.5{\Delta}VH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namel surface hardness after erosion (p>0.05). Citric and malic acids were the major organic acids in the test fruits. The lemon and orange groups had the highest malic acid concentrations, and the mandarin group had the lowest malic acid concentration. Conclusion: The titratable acidity and the citric and malic acid contents of the fruits could be crucial factors responsible for enamel erosion. Therefore, fruit-based drinks should be regarded as potentially erosive.

피막제(皮膜劑) 처리에 의한 과실(果實) 가공품(加工品)의 저장(貯藏)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orage of Processed Fruits by Coating Agent Treatment)

  • 윤정의;이상건;허윤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8
    • /
    • 1983
  • 사과를 당저림과 넥타 겔로 가공한 후 피막제를 처리하여 저장 조건에 따른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고 갈변 현상, 곰팡이의 발생을 실험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체에 무해하고 중량 감소, 갈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피막제의 구성은 sucrose, D-sorbitol, corn syrup, gelatin, arabia gum, citric acid, sodium citrate, sodium ascorbate가 효과적이었다. 2. 사과 당저림은 피막제 처리한 것을 포장하여 냉장고에서 저장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3. 사과 넥타 겔은 피막제 처리한 것을 이중(二重) 포장하여 냉동하는 것이 중량 감소에 의한 수축, 갈변 현상,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 PDF

도심 벽면녹화식물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K. Schum)의 화분 형태 및 세포독성에 근거한 유해성평가 (Hazard Assessment of Green-Wall Plant Campsis grandiflora K. Schum in Urban Areas based on Pollen Morphology and Cytotoxicity)

  • 김현준;소순구;신창호;노혜지;나천수;이유미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56-261
    • /
    • 2015
  • 본 연구는 능소화를 대상으로 화분형태 및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화분 형태를 확인해 본 결과, 화분립 형태는 장구형이고 발아구의 형태는 3공구형이며 화분 표벽 (extine)은 망상의 형태이고 외부로 돌출된 돌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능소화 70% MeOH 부위별 (꽃, 잎, 줄기) 추출물 및 화밀을 24, 48시간 동안 농도별 (10, 20, 50, $100{\mu}g\;mL^{-1}$)로 RAW264.7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능소화 추출물 및 화밀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모든 농도에서 9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8시간 처리하였을 때 꽃, 잎, 줄기 추출물은 $50{\mu}g\;mL^{-1}$농도 이하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화밀의 경우 저농도인 $10{\mu}g\;mL^{-1}$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비와 흡밀식물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조경설계에의 활용방안 연구 - 서울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 (Analyzing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Nectar Plants and Butterflies for Landscape Design - Focusing on World Cup Park, Seoul -)

  • 김지석;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21
    • /
    • 2011
  • 본 연구는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였던 월드컵공원내 하늘공원과 노을공원에 서식하는 나비 출현종 및 흡밀식물 현황, 흡밀식물과 나비와의 상호관계를 구명하여 나비 서식지 조성시 식재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비는 총 5과 23종 1,129개체가 출현하였으며,나비의 주요 행동은 흡밀 행동이 전체의 36%로 연구대상지가 나비에게 흡밀공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월드컵공원에서 나비와 흡밀식물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나비와 흡밀식물의 꽃색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나비를 유인하기 위한 식재시 특별하게 꽃색을 고려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나비가 선호하는 흡밀식물은 대부분 귀화식물로 나비 서식지를 조성함에 있어 흡밀하는 식물로 자생종이나 귀화종을 구분하여 나비를 유인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자생식물을 활용할 필요가 있는 지역의 경우에는 낭아초, 싸리, 벌개미취와 같은 종이 나비 유입을 위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밀나비 개체수와 흡밀식물 종 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곡선추정 회귀분석 대수모형 곡선에서 일반종과 특이종으로 구분한 결과,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줄점팔랑나비는 일반종으로 구분되었고, 범부전나비, 큰줄흰나비, 남방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는 특이종으로 구분되었다. 특이종 중 범부전나비는 낮은 산이나 숲을 선호하는 종으로, 초지를 선호하는 3종(큰줄흰나비, 남방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과 서식지 차이가 있어 초본식생지에서 목본식생지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쓰레기 매립지의 식생현황에서 보전가치가 더 높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나비서식지 조성시 목표종을 선정할 때, 식물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특이성이 높은 종을 고려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이종은 경우에 따라 대상지내의 목표종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163-204
    • /
    • 2010
  •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서 수륙화라고도 부른다. 중국 명나라 때의 보녕사 수륙화는 모두 139개의 족자에 장면들을 나누어서 그려 놓았다. 그러나 한국의 감로탱은 하나의 커다란 탱화에 모든 장면을 함께 그려 놓았다. 감로탱의 구성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바로 하단에 그려진 육도 윤회상이다. 육도윤회의 업을 반복해야 하는 미혹한 세계의 실상을 묘사하고 있는 하단은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만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죽은 영혼들의 생전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이들이 바로 수륙재를 통해 천도되어야 할 대상이다. 감로탱의 하단부는 사회생활, 현실생활을 묘사한 내용으로서 그 주제가 인생의 고통, 재난, 인생무상을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에 귀의하고 해탈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만, 오히려 당시의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감로탱의 하단부에 묘사된 다양한 유랑예인집단과 그들의 연희도 현실생활의 일부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결과이다. 감로탱의 하단부에는 외줄타기, 쌍줄타기, 솟대타기, 쌍줄백이(솟대타기의 일종), 땅재주, 방울 쳐올리기, 탈춤, 접시돌리기, 인형극, 사당춤, 검무 등 전통연희의 공연장면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 중에는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방울 쳐올리기, 검무(풍각쟁이패 연희)처럼 이제는 사라져버린 연희종목들도 있다. 감로탱에 묘사된 연희집단은 사당패, 남사당패, 솟대쟁이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 서커스단 등 모두 유랑예인집단이다. 이 유랑광대들은 각지를 떠돌다가 죽은 후에 무주고혼(無主孤魂)이 된다. 감로탱에 묘사된 각종 연희 장면의 연희자들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내용 가운데 일부로서 수륙재의 천도대상이다. 이 중 솟대쟁이패 사당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로탱을 통해서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 여러 연희종목들의 내용, 그리고 이미 사라져버린 유랑예인집단들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산 피나무속 식물의 개화와정과 수분기작 (Flowering Process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Genus Tilia in Korea)

  • Chung, Yung 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3호
    • /
    • pp.107-127
    • /
    • 1984
  • An anthecological study of Tilia in Korea was undertaken for six native and one introduced species. Flowers are protoandrous with anther and stigma opening during the day-time in section(sect) Anastraea and the night-time in sect Astrophilyra. Nectar production was coincided with anther and stigma opening. It is revealed that the primary role of floral bracts was attracting pollinators especially in sect Astrophilyra. The peak of stamen and stigma function, and the production of nectar and odor were closely related with pollinator attraction. Forthy-three species of insects in 30 families were identified for the pollination studies; bees were the most commonly observed visitors in sect Anastraea, while moths were the primary visitors in sect Astrophilyra. Pollination study indicate that it is section specific. But within a section, pollination is not species specific thus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ccu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