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arest neighbor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6초

수정된 적응 최근접 방법을 활용한 판별분류방법에 대한 연구 (On the Use of Modified Adaptive Nearest Neighbors for Classification)

  • 맹진우;방성완;전명식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93-1102
    • /
    • 2010
  • 비모수적 판별분류방법인 k-Nearest Neighbors Classification(KNNC) 방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정된 이웃의 개수를 사용하며 또한 집단변수의 정보를 활용하지 않음으로서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Adaptive Nearest Neighbors Classification(ANNC) 방법과 Modified k-Nearest Neighbors Classification(MKNNC) 방법은 각각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ANNC 방법과 MKNNC 방법의 장점을 결합한 Modified Adaptive Nearest Neighbors Classification(MANNC) 방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제안된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실제자료에 대한 분석과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가중 적응 최근접 이웃을 이용한 결측치 대치 (On the use of weighted adaptive nearest neighbors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 염윤진;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4호
    • /
    • pp.507-516
    • /
    • 2018
  • 결측치를 대치하는 여러가지 단일대치법 중에서 다변량 정규성 등의 모수적 모형이 만족되지 않을 때에도 강건성(robustness)을 지니는 k-최근접 이웃 대치법(k-nearest neighbors; KNN)이 널리 활용된다. KNN대치법에서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반영한 적응 최근접 이웃(adaptive nearest neighbors; ANN) 대치법과 k개의 최근접 이웃들 중 극단값이나 이상값이 있는 경우 이들의 영향에 덜 민감한 가중 k-최근접 이웃(weighted KNN; WKNN) 대치법의 장점을 결합한 가중 적응 최근접 이웃(weighted ANN; WANN) 대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들과 제안한 방법을 비교하였다.

Adaptive Nearest Neighbors를 활용한 결측치 대치

  • 전명식;정형철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85-190
    • /
    • 2004
  • 비모수적 결측치 대치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k-nearest neighbors(KNN) 방법은 자료의 국소적(local)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자료에 대해 균일한 이웃의 개수 k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KNN의 대안으로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고려하는 adaptive nearest neighbors(ANN) 방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microarray 자료의 경우에 대하여 결측치 대치를 통해 KNN과 ANN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Adaptive Nearest Neighbors를 활용한 판별분류방법 (Adaptive Nearest Neighbors for Classification)

  • 전명식;최인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3호
    • /
    • pp.479-488
    • /
    • 2009
  • 비모수적 판별분류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kappa}$-Nearest Neighbors Classification(KNNC) 방법은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자료에 대해 고정된 이웃의 개수 ${\kappa}$를 사용하여 개체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KNNC의 대안으로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고려하는 Adaptive Nearest Neighbors Classificaion(ANNC)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과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순차 적응 최근접 이웃을 활용한 결측값 대치법 (On the Use of 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s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 박소현;방성완;전명식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6호
    • /
    • pp.1249-1257
    • /
    • 2011
  • 비모수적 결측치 대치법인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KNN) 대치법을 개선한 적응 최근접 이웃(Adaptive Nearest Neighbor; ANN) 대치법과 순차 k-최근접 이웃(Sequential k-Nearest Neighbor; SKNN) 대치법의 장점들을 결합한 순차 적응 최근접 이웃(Sequential Adaptive Nearest Neighbor; SANN) 대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ANN 대치법의 장점인 자료의 국소적 특징을 반영할 뿐 아니라, SKNN 대치법과 같이 결측값 대치가 이루어진 개체를 다음 결측값을 대치할 때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에 개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ighted k-Nearest Neighbors를 이용한 결측치 대치 (On the Use of Weighted k-Nearest Neighbors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 임찬희;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1호
    • /
    • pp.23-31
    • /
    • 2015
  • 통계적 분석을 할 때 결측치가 발생하는 것은 매우 통상적이다. 이러한 결측치를 대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단일대치법으로 k-nearest neighbor(KNN) 방법이 있다. 하지만 KNN 방법은 k개의 최근접 이웃들 중 극단치나 이상치가 있을 때 편의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KNN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중 k-최근접이웃(Weighted k-Nearest Neighbors; WKNN) 대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시간경로 유전자 발현자료에서 패턴일치지수와 적응 최근접 이웃을 활용한 결측값 대치법 (Missing values imputation for time course gene expression data using the pattern consistency index adaptive nearest neighbors)

  • 신혜서;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3호
    • /
    • pp.269-280
    • /
    • 2020
  • 시간경로 유전자 발현 자료는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을 시간에 따라 관측한 대용량의 자료로 유전자 발현 수준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실험 과정이 복잡하여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결측값이 자주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경로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한 결측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패턴 적응 최근접 이웃(pattern consistency index adaptive nearest neighbors; PANN)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국소적 특징을 반영하는 적응 최근접 이웃(adaptive nearest neighbors; ANN) 방법과 관측 시점간 유전자 발현의 일치 정도를 고려하는 패턴일치지수를 결합시킨 것이다. 제안한 PANN 방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실제 시간경로 자료들을 사용하여 몬테카를로 모의실험(Monte Carlo simulation study)을 시행하였다.

Stacked Autoencoder를 이용한 특징 추출 기반 Fuzzy k-Nearest Neighbors 패턴 분류기 설계 (Design of Fuzzy k-Nearest Neighbors Classifiers based on Feature Extraction by using Stacked Autoencoder)

  • 노석범;오성권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1호
    • /
    • pp.113-120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stacked autoencoders which consist of restricted Boltzmann machines. The stacked autoencoders is a sort of deep networks. Restricted Boltzmann machines (RBMs) are probabilistic graphical models that can be interpreted as stochastic neural networks. In terms of pattern classification problem, the feature extraction is a key issue. We use the stacked autoencoders networks to extract new features which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After feature extraction, fuzzy k-nearest neighbors algorithm is used for a classifier which classifies the new extracted data set.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ability of the proposed pattern classifier, we make some experiments with several machine learning data sets.

Robust Similarity Measure for Spectral Clustering Based on Shared Neighbors

  • Ye, Xiucai;Sakurai, Tetsuya
    • ETRI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540-550
    • /
    • 2016
  • Spectral clustering is a powerful tool for exploratory data analysis. Many existing spectral clustering algorithms typically measure the similarity by using a Gaussian kernel function or an undirected k-nearest neighbor (kNN) graph, which cannot reveal the real clusters when the data are not well separated.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spectral clustering, we consider a robust similarity measure based on the shared nearest neighbors in a directed kNN graph. We propose two novel algorithms for spectral clustering: one based on the number of shared nearest neighbors, and one based on their closeness. The proposed algorithms are able to explore the underlying similarity relationships between data points, and are robust to datasets that are not well separated. Moreover, the proposed algorithms have only one parameter, k. We evaluated the proposed algorithms using synthetic and real-world dataset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not only achieve a good level of performance, they also outperform the traditional spectral clustering algorithms.

Magnetic Property of Oxide with the Perovskite Structure, $A_2Fe(III)BO_6$ (A = Ca, Sr, Ba and B = Sb, Bi)

  • 이성옥;조태연;변송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1호
    • /
    • pp.91-97
    • /
    • 1997
  • In the course of magnetic study on several perovskite-type oxides, A2Fe(Ⅲ)BO6 (A = Ca, Sr, Ba and B = Sb, Bi), we have observed a strong irreversibility in their dc-magnetizations. When the structural data and the Mossbauer spectra are considered, such an irreversibility is to be associated with some competitions between the nearest-neighbors (nn) and the next-nearest-neighbors (nnn) in their magnetic sublattices. Particularly, the Mossbauer spectra indicate that Sr2FeBiO6 of cubic perovskite-structure is apparently well ordered crystalline compound. Nontheless this antiferromagnet shows a magnetic property which resembles that of a spin-glass. The strong history dependence is observed below 91 K and the irreversible magnetic behavior is also observed from the measurement of hysteresis loops at 10 K after zero-field-cooled (zfc) and field-cooled (fc) processes. Considering the nn and the nnn superexchanges of almost same order in ordered perovskite, it is proposed that there exists a competition and cancellation of antiferromagnetic and ferromagnetic superexchange between the nearest-neighbors and the next-nearest-neighbors, thus introducing a certain degree of fru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