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seeding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5초

The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Snowfall Enhancement Used by Orographic Cloud Seeding in a Mountainous Area

  • Yang, Ha-Young;Ryu, Chan-Su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14-218
    • /
    • 201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nfluence factors of snowfall enhancement by glaciogenic seeding in a mountainous area. Twenty-five seeding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o April 2010. To use two rates seeding experiments (SR1: $1.04g\;min^{-1}$, SR2: $2.08g\;min^{-1}$) have been tested to get an appropriate ratio for snowfall enhancement at Daegwallyeong area. The conditions of seeding are able as followings: surface temperature <$0^{\circ}C$, wind speed <5 m/s, wind direction between 0 and $130^{\circ}$.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SR1 was more effective than SR2. The number of small ice particles below 1.0 mm was increased during seeding period measured by PARSIVEL disdrometer near generator. Most of snowfall enhancement by seeding was observed the inflow of the easterly wind blew in toward Gangwon regions from the East Sea and the supersaturated supercooled liquid water due to orographic effect.

고대 혼파(混播)원리와 응용기술로서의 가설(假說) 연구 (A Study on Principle of Ancient Mix Seeding and Hypothesis by Practical Technology)

  • 구자옥;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4-400
    • /
    • 2011
  • 중국에서 발상되어 우리나라에서 일반화하였던 고대 농법 혼파는 재해대책의 하나로서 최소한의 식량곡물을 확보하는 수단이었다. 이들 기술에 대한 역사적 흐름도를 중국농서인 "제민요술"(5세기 전후)와 "왕정농서"(1313)부터 우리나라 고대농서인 "농사직설"(1429)"한정록"(1610) "색경"(1676) "증보산림경제"(1766) "과농소초"(1799) "임원경제지"(1843)로부터 인용 제시하였다. 이들 혼파원리를 응용하는 무비 무농약 벼 이품종 혼파법은 아졸라 투입 무경운 벼 다품종 직산파를 전제로 하여 새로운 생력친환경 농법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기존 연구결과들을 인용하여 현실적 타당성을 제시하여 평가하였다.

사초용 호맥 (Secale cereale L.) 과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의 혼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xed Cropping with Forage Rye (Secale cereale L.) and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 전병태;이상무;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9-207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 and seeding ratio in mixed cropping of forage rye and red clover on dry matter yield, nutritional yield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he main treatment was two seeding methods(drilling and broadcasting) and the sub treatment was six seeding ratios between rye and red clover(T1; 150kg : 0 kg/ha, T2; 120 : 3, T3; 90 : 6, T4; 60 : 9, T5; 30 : 12, T6; 0 : 15).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 of Kon-Kuk University in Chungju in 199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but content of NDF and ADF were decreased. 2. The seeding method did not affects significantly the dry matter yield, but broadcasting showed higher dry matter yield than drilling in the same seeding ratio. Especially, T3 of broadcasting was the highest yield of 13, 172 kg/ha The T3 of broadcasting and T4 of drilling showed hlghly crude protein yield of 1, 268 kgha and 1, 252 kg/ha, respectively. 3. Comparing the each seeding ratio of two seeding method, total nitrogen yield of shoot and root of drilling were higher than broadcasting. Especially, T2 and T4 of drilling were the highest in total nitrogen yield. 4. There were mor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but decrease in K, Ca of soil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than soil before experiment. In the seeding methods, broadcasting was an effect of soil improvement.

  • PDF

자운영 지속재배시 입모, 월동 및 생육 특성 (Seedling Establishment, Overwintering Ability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s)

  • 김상열;오성환;이종희;조준현;한상익;정진일;정국현;최경진;박성태;김정일;이지윤;송유천;여운상;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8-13
    • /
    • 2010
  •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 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혼파시기가 헤어리벳치와 가을무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seeding Date on Growth of Hairy Vetch (Vicia viilosa) and Radish, and on Weed Occurrence)

  • 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76-182
    • /
    • 2007
  • 중부지방에서 월동 1년생 두과 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를 이용한 유기재배를 확대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헤어리벳치-옥수수 작부체계의 후작물로서 가을무를 헤어리벳치와 혼파시기를 달리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섭식성 해충에 의한 무의 생육저해가 증대하였다. 2.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여름형 잡초의 종류와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3. 헤어리벳치는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 전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4. 가을무도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생육량 및 최종 수량이 증대하였다. 따라서 헤어리벳치와 가을무를 혼파 할 경우 혼파 시기는 관행의 파종적기인 8월 중순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태적 숲관리와 조림 문제1-조림지와 천연림에서 가래나무의 직경생장 비교-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and Reforestation Problem -Comparison of Diameter Increment of Juglans mandshurica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forest-)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9-315
    • /
    • 2004
  • 이 연구는 가래나무의 조림에 대한 성적평가와 개선대책을 마련하고자, 강원도 홍천군 내면지역에 1979-1982년에 대규모의 활엽수 조림단지를 조성했던 지역의 가래나무 조림지와 천연림으로 비교적 생장이 양호한 평창군 진부면 지역의 물푸레나무와 가래나무가 많은 활엽수림에 대한 임분구조 및 직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림 후 9년까지의 직경생장에 가래나무 임분기원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천연림의 가래나무의 연평균직경성장량은 7.31mm/year로 최대값이었으며, 다음으로 맹아림에서는 6.93mm/year, 조림지 에서는 5.28mm/year로 최소값을 보였다. 조림한 가래나무의 초기의 직경생장이 맹아갱신된 나무나 천연생의 나무보다 지극히 낮다는 것은 가래나무 나근묘의 식재는 성적이 매우 불량함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래나무림 갱신에서는 맹아, 천연하종, 직파조림 등의 다른 갱신법들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파종방법을 달리한 수원 및 이천 지역 소규모 수도포장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Small Rice Field associated with Different Planting Methods in Suwon and Incheon)

  • 이준호;김광호;임언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6
    • /
    • 1997
  • 파종방법을 달리한 논생태계내 절지동물의 군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담수직파, 건답직파, 이앙구의 3포장과 이천에 위치한 담수직파, 이앙구 2포장을 선정하여 1994년도에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총 15목 45과가 채집되었다. 절지동물군집을 기능군(길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파종 방법에 관계없이 밀도가 '천적군>해충군>비해충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충군에는 멸구과(Delphacidae)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와 매미충과(Cicadelidae)의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이 우점종들이었고 전체 해충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파종방식에 따른 해충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천적군에서는 거미류가 전체 천적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배회성 거미(hunting spider)와 50% 이상이었고 늑대거미과(Lycosidae)의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os. et St.)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조망성 거미류(webbing spider)에서는 갈거미과 (Tetragnathidae)의 턱거미(Pachygnatha clerki Sundevall)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파종방식에 따른 거미군 집구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비해충군은 본답 초기에 깔따구류 등의 파리류가 주종을 이루었고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파리류의 발생은 기계이앙구보다 직파구에서 많았으며 특시 건답직파구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