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groundwater level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2초

MODFLOW-Farm Process Modeling for Determining Effects of Agricultural Activities on Groundwater Levels and Groundwater Recharge

  • Bushira, Kedir Mohammed;Hernandez, Jorge Ramirez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4권5호
    • /
    • pp.17-30
    • /
    • 2019
  • Intensive agricultural development in Mexicali valley, Baja-California, Mexico, has induced tremendous strain on the limited water resources. Agricultural water consumption in the valley mainly relies on diversions of the Colorado River, but their water supply is far less than the demand. Hence, the use of groundwater for irrigation purposes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To account for these change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conditions based on historical water us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agricultural activities on groundwater levels and groundwater recharge in the Mexicali valley (in irrigation unit 16) by a comprehensive MODFLOW Farm process (MF-FMP) numerical modeling. The MF-FMP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table in the study area is drawn downed, more in eastern areas. The inflow-outflow analysis demonstrated that recharge to the aquifer occurs in response to agricultural supplies. In general, the model provides MF-FMP simulation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components of the hydrologic cycle, the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supply and demand in the study area.

원주지역 지하수의 자연방사성물질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 특성과 수리지화학 (Hydrogeochemistry and Occurrences of Natural Radionuclides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Wonju Area)

  • 이병대;조병욱;문희선;황재홍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495-508
    • /
    • 2019
  • 원주지역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및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40개 관정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EC는 최소 73에서 최대 400 μS/cm (평균 212 μS/cm)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EC의 증가와 더불어 주요 용존 양이온과 음이온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우라늄 농도는 0.06~50.5 ㎍/L (중앙값 1.55 ㎍/L)로 넓은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라돈은 67~8,410 pCi/L (중앙값 1,915 pCi/L)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우라늄 농도에서 미국 EPA MCL 30 ㎍/L를 초과한 곳은 3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7.5%에 해당된다. 라돈의 경우, 미국 EPA AMCL(Alternative Mximum Contaminant Level) 4,000 pCi/L를 초과한 곳은 9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22.5%이다. 이중 핀란드의 음용 제안치인 8,100 pCi/L를 초과하는 시료는 1개소이다. 연구지역에서 지질별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농도는 흑운모화강암 지역의 지하수에서 가장 높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함량은 유사한 지질을 가지는 외국에 비하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지하수 관정의 특성상 케이싱 및 그라우팅이 미비한 관정이 많으므로 천부 지하수의 공내 유입을 의심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정의 특성으로 인하여 실제 함량보다 낮게 검출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하수위와 GRACE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지하수 함양량 변화 연구 (Study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Change by Using Groundwater Level and GRACE Data in Korea)

  • 전항탁;함세영;조영헌;김진수;박소영;정재열
    • 지질공학
    • /
    • 제29권3호
    • /
    • pp.265-277
    • /
    • 2019
  •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강수량, 강우 강도, 빈도 그리고 강우 유형의 변화는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위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 세계적인 총 저수량 변화를 파악하는데, GRACE의 월 중력값 이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위의 공간적인 분포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GRACE자료와 지하수위 자료를 정량적으로 연관시키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국지적인 보간법(크리깅, 역 거리 가중값 및 자연 인접)을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6년 까지 국내 지하수 함양 변화량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월평균 지하수 함양 변화량과 GRACE의 월별 지하수 저장량 변화값을 비교하였다. GRACE자료와 실측 지하수자료의 함양량 변동값은 미약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구기간 동안에 지하수 함양 변화량의 평균값은 -0.01 cm/month, 중앙값은 -0.02 cm/month로 산정되었다.

수문 및 지형특성과 인구분포를 고려한 지반침하 발생 평가인자 분석 (Analysis of Land Subsidence Risk Factors Considering Hydrological Properties, Geomorphological Parameters, and Population Distribution)

  • 이예영;이다해;배은지;이충모;최한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6호
    • /
    • pp.45-57
    • /
    • 2023
  • To assess land subsidence estimation and preparedness in the Geum River basin, this study applied GIS techniques and identified six key areas. The Geum River basin has experienced an increase in heavy rainfall since late 2010, and four study areas have shown an increase in groundwater levels. Land subsidence primarily occurred from June to September, with higher rainfall years in 2020 and 2023. Approximately 83.6% of land subsidence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occurred in Cheongju-si, mainly attributed to aging sewage pipes. The regions experiencing population growth have likely led to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s and sewer pip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sewage pipe leaks, precipitation, slope gradient, low drainage density, and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have contributed to land subsidence. Improving land subsidence estimation involves incorporating additional natural factors and human activities.

지하수 조사에서 환경추적자로서의 $SF_6$의 적용

  • 고동찬;;;김용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73-76
    • /
    • 2003
  • SF$_{6}$ (Sulfur Hexafluoride) is a gaseous compound whose use is being greatly increased recently. The compound has a negligible background concentration from natural sources and is stable in most of groundwater environments. Therefore, SF$_{6}$ has potential for a dating tool for young groundwater. It has many advantages over chlorofluorocarbons (CFCs) for groundwater investigation that sampling procedure is much simpler than CFCs and its growth is continued up to at least near future in the atmosphere. However, solubility of SF$^{6}$ is so low that excess air causes large uncertainties in recharge date of groundwater.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N_2$/Ar method can be employed to estimate excess air content. A groundwater study is currently carrying out in Jeju Island using SF$_{6}$ as an environmental tracer, Well waters and spring waters were sampled for SF$_{6}$ and $N_2$/Ar. To establish SF$_{6}$ input history in the study area, air sampling is being conducted in the area near the center of the island on a monthly and weekly basis. Based on the present data, the level of SF$_{6}$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of the Island is corresponding to the trend of the Northern Hemisphere.

  • PDF

원유로 오염된 갯벌 지역의 자연정화 기능 향상 기술의 개발 (Enhanced Natural Purification of Crude Oil Contaminated Tidal Flat)

  • 김영아;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24-30
    • /
    • 2011
  • Tidal flats which are ecologically sensitive, are hard to remediate once they are contaminated by oil spill accidents. Traditional oil remediation measures focus on removal efficiency, and their improper implementation can adversely affect crude oil contaminated coastal areas and greatly disrupt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crude oil contaminated tidal flats. In this study, the oil degrad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remediation measures naturally enhanced using air and natural oil sorbents was evaluated in the lower strata of tidal flats. The effects of air and natural oil sorbents on oil degradation for two concentration levels (< 500 ppm and > 500 ppm) were tested at artificially contaminated tidal flats. Fifty days after these treatments, the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 showed the lowest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concentration ($4.46{\pm}1.47%$) at the low concentration level, whereas both air and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s showed high degradation efficiencies at the high concentration level ($29.30{\pm}4.39%$). Although the phosphatase activity decreased for all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creases for the different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B-glucosidase activities were high for both air and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s. Although degradation efficiencie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ir provision and natural oil sorbent treatment could be an effective ecological restoration measure for oil contaminated tidal flats while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remediation efforts.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 주변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round Uncontrolled Closed Valley Landfill)

  • 박정구;김태동;최동혁;이진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3호
    • /
    • pp.75-8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W시에 있는 비위생매립지 주변의 지하수질 약 2년간 관측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주요관심 인자는 산화환원조건에 민감한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산화환원전위, 용존 유기탄소, 암모니아, 질산성질소 및 황산이온 등이다. 본 매립지는 생활쓰레기 매립지로 매립종료 약 10년이 경과하였다. 매립지 침출수는 COD 136${\sim}$263 mg/L, T-N 121${\sim}$186 mg/L, NH3-N 14${\sim}$369 mg/L이며, 계절적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매립지 직하부 지하수는 약산성을 띄나 전기전도도가 매우 높아 침출수 누출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염소이온의 경우 200 mg/L 이상으로 높으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는데 확산 및 희석 등의 자연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매립지 내부에서는 산화 환원전위가 음의 값을 보이나 하부에서는 350 mV까지 증가하여 혐기성환경에서 산화환경으로의 전이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는 가장 우려되는 지하수질 인자인데 대부분의 관측정에서 크게 부화되어 있으며, 먹는물 수질기준을 상회하였다. 본 매립지 하부의 오염지하수질은 시공간적으로 자연저감 현상이 뚜렷하나 지속적인 수질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북지역의 먹는 물에서 우라늄 검출 특성 (Uranium in Drinking Water of Kyungpook Area in Korea)

  • 이해근;차상덕;김정진;김영훈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5-242
    • /
    • 2014
  • 우라늄은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에 의해 오염이 가능하지만 국내 지하수 토양환경에서는 자연적 원인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 우라늄은 방사성 독성과 화학적 독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먹는 물에 포함될 경우 그 위해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의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지하수, 샘물 및 먹는 샘물, 먹는 물 공동시설, 지하수 측정망, 민방위비상급수 등의 시료를 대상으로 우라늄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국내외 수질 기준과 비교하여 오염 정도를 평가하였다. 총 803개의 시료 중 미국의 먹는 물 권고기준 또는 우리나라의 권고기준인 $30{\mu}g/{\ell}$를 초과하는 시료의 수는 6개이며 전체시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7%이다. 모암의 특성에 따른 우라늄의 농도는 흑운모화강섬록암, 흑운모화강암, 편마상화강암 등과 같은 화강암질 암석이 분포한 지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서울 시내 궁궐 수원의 수질과 유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Flow of Water Resources at Palaces in Seoul Metropolitan)

  • ;이재민;우남칠;김연태;이강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2호
    • /
    • pp.61-76
    • /
    • 2011
  • This study was object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restor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wells in Palaces as well as their water qualities. Water resources in the five Palaces in Seoul Metropolitan, including Gyeongbokgung, Changdeokgung, Changgyeonggung, Jongmyo Shrine, and Deoksugung, were surveyed for their physical flows and chemical compositions from April to July in 2010. Ground waters in most wells were found at depths within 5 m from the ground surface, showing typical water-table aquifer systems. Hydraulic gradients indicate water resources in Gyeongbokgung,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flowing toward south, and toward east in Deoksugung area. Especially, water-level fluctuation data at S-10 in Deoksugung implied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discharge facility. In Jongmyo Shrine, water was not detected in wells, indicating the water level was lower than the well depth. Based on the water chemistry and stable isotope analyses, water resources and their qualities appeared to be formed by the water-rock interaction along the groundwater paths. S-10 (Deoksugung) and S-14 (Changgyeonggung)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nitrate ($NO_3$) in levels of higher than Korean drinking water standard, 10 mg/L as $NO_3$-N, but once in four sampling campaigns. In the situation that water resources in Palaces still maintain natural characteristics, the materials that will be used for the resto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alace water supplie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not to disturb the natural integrity. In addition, because the well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metropolitan area, a systematic monitoring should be applied to detect and to manage the potential impacts of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various pollution sources.

낙동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 양정석;이재범;김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2호
    • /
    • pp.815-825
    • /
    • 2017
  • TOPSIS (Techniques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를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21개 시 군을 대상으로 지하수위관리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낙동강 유역 21개 시 군을 대상으로 자연, 인문, 사회적 자료를 수집하여 10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를 스케일 재조정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하고,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반영하여 각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가중치 산정 설문 결과 연평균 지하수위 지표가 0.157으로 가장 큰 가중치를 받았으며, 연평균 강수량 지표가 0.154, 연도별 지하수함양량 지표가 0.152로 얻어졌다. 가장 적은 가중치를 얻은 지표는 인구 밀도로 0.043 의 가중치를 얻었다. 최종적으로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결과, 상주가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 연평균 지하수 이용량 지표에서 높은 순위의 취약성을 보여 낙동강 유역 21개 시 군 단위 행정구역 중 가장 취약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그 뒤로 예천군, 함안군의 순으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한국의 5대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는 전국 지하수위 관리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