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nem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초

기생성 천적 쌍꼬리진디벌(Binodoxys communis Gahan)의 발육 특성 및 기주선호성 (Developmantal Characteristics and Host Preference of Parasitic Natural Enemy, Binodoxys communis (Gahan) (Hymenoptera: Braconidae))

  • 박부용;이상계;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77-28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생성 천적 쌍꼬리진디벌(Binodoxys communis)에 대한 분류·동정과 성비, 수명 등 생물학적 특성과 기주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조사한 온도 조건(17.5℃ ~ 35.0℃) 중 35.0℃를 제외한 모든 온도 조건에서 발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 온도 조건별로는 17.5℃에서 발육 기간이 21.7일로 가장 길었고, 32.5℃에서 6.4일로 나타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육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수 성비는 25.0℃ ~ 30.0℃의 온도범위 내에서 암컷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암컷의 발육영점온도는 10.87℃,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였고, 수컷은 발육영점온도는 10.74℃,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로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등 4종의 농작물 주요 진딧물을 대상으로 한 기주 선호성은 상대적으로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콩진딧물에 대해서도 높은 편이었지만, 복숭아혹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하여는 선호도가 낮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원에서 초생관리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조합처리가 귤응애와 천적의 발생양상에 미치는 단기효과 (Effects of Ground Vegetation and Pyrethroid Spra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and Natural Enemies in Citrus Orchard: A Short-term Effect)

  • 현승용;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55-2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귤원에서 초생재배 유무(초생재배 W, 제초제 살포 NW)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유무(살포 P, 무살포 NP)에 따른 귤응애의 개체군 동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두 가지 기본적인 가설로 1) 초생재배는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천적의 정착을 높이므로 귤응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2) 합성피레스로이드계는 천적을 제거하여 귤응애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관측된 천적 개체군(주로 이리응애류와 마름응애류)의 발생은 가정에 근거한 기대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1년의 경우 NW+NP 처리구와 W+NP 처리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2012년 실험에서는 기대치와 관측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약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시 천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잡초효과는 엇갈리는 결과를 보였는데, 봄-유래 여름 개체군 대비 가을 개체군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초생재배를 하는 경우 천적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다만,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구에서 귤응애가 감소하는 비이상적인 결과는 귤응애의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에 대한 강한 기피성을 전제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경기도 반월지역에서의 농업용수 수질에 따른 수도포장내 절지동물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the Rice Fields with Different Irrigating Water Quality in Banwol, Kyonggi-do)

  • 박홍현;이준호;배윤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75-384
    • /
    • 1997
  •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irrigating water qualities(clean water, life sewage and animal sewage) on the pattern of arthropod communities in the rice fields were investigated at Banwol, Kyonggi-do, mid-western part of Korea from 1994 to 1996. The total density of arthropod was highest in the rice field which was irrigated with clean water(clean water field), and the arthropod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aphids and collembolans. Each functional group was found in the order of 'pests>non-pests>natural enemies' in its density. The dominant taxa in the pest group were aphids, planthoppers(Delphacidae), leafhoppers(Cicadelidae) and rice water weevil(L. oryzophilus). In the non-pest group collembolans, non-biting midges and dipterans were main arthropods, and in the natural enemy group Araneae was the dominant taxon. In the early growth stage of rice plant the dominant functional group was pests, and in the mid growth stage both the pest and the natural enemy group became dominant. But in the late growth stage none of the functional group was dominant over the other functional groups. The densities of spiders were much more higher in the clean water field than in the other fields. And through all the growth stages of rice plants the density of spiders in clean water field kept increase in contrast to the others. The species composition of spiders in the life sewage field was similar to that in the animal sewage field, but in the clean water field it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two fields.

  • PDF

낙엽송잎벌 천적인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dasys liaoningensi (Hymenoptera: Ichneumonidae), as a Parasitoid of Pachynematus itoi (Hymenoptera: Tenthredinidae))

  • 이총규;이상길;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53-556
    • /
    • 2009
  • 낙엽송의 새로운 해충인 낙엽송잎벌의 천적 종류, 발생량 및 생활사를 강원도 철원과 태백에서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조사하였다. 주요 천적으로는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로 동정되었다.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의 1화기 낙엽송잎벌에의 기생률은 우화상 조사에서 42%로 높은 기생률을 보였다. 출현 시기는 5월부터 9월 사이였으며, 최성기는 5월 21일부터 6월 20일 사이였다. 낙엽송잎벌살이뾰족맵시벌의 발생 수와 시기는 기주인 낙엽송잎벌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토마토 유기농 시설재배에서 천적활용 증진을 위한 동반식물 투입효과 (Effectiveness of Companion Plant Input to Improve Natural Enemy Utilization in Organic Tomato Production)

  • 공민재;한은정;정승민;이욱재;이병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73-978
    • /
    • 2023
  • This study determined the mechanisms of selection of companion plants that will increase natural enemie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pest density and changes in pest and natural enemy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iming to select suitable companion plants to control major pests that are problematic in organic tomato facility cultiv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nion plant selection, 13.5 days were identified in the area with daily flowers among five species of flowering plants. In the experiment to determine the timing of natural enemies, the best results were found in the treatment group introduced two weeks before the pes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actual package test, farmers could see that the density of greenhouse pollen decreased significantly (100-500% for adults and 11-67% for larvae compared to no treatment) in the treatment with companion pl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ecological pest management using companion plants that attract natural enemies will help to increase biodiversity through vegetation management, secure the safe production of organic products and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Thunberg)]의 온도발육모형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Predatory Natural Enemy, Propylea japonica Thunberg (Coleoptera: Coccinellidae))

  • 이상구;박부용;전성욱;정인홍;박세근;김정환;지창우;이상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61-873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ropylea japonica Thunberg (Coleoptera : Coccinellidae), a predator of aphid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he development times of the egg and immature stages of Propylea japonica were investigated at ten constant temperatures(15, 17.5, 20, 22.5, 25, 27.5, 30, 32.5, 35 and $38{\pm}1^{\circ}C$; 14L:10D; $60{\pm}5%$ RH). Development time was longest at $17.5^{\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P. japonica from the time of egg oviposited to adult emergence was 36.9 days at $17.5^{\circ}C$, and it decreased ash temperature increasing. Threshold temperature of development and degree days of the P. japonica from egg to adult were $11.9^{\circ}C$ and 196.0 respectively. The Briere 2 and Lactin 2 modes were best fitted for all development stages. The distribution of completion of each development stage was explain relatively well that 2-parameter, 3-parameter and Logistic model except egg and pupal stage.

수도(水稻)의 멸구 매미충(蟲) 천적(天敵)의 종류(種類) 및 이들의 기주선택성(寄主選擇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atural Enemy Complex of Plant-leafhoppers and Their Host Relationship in Rice Paddy)

  • 장영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53-259
    • /
    • 1985
  • 수도(水稻)의 주요해충(主要害蟲)인 멸구매미충류의 천적(天敵)과 이들의 기주범위(寄主範圍)에 대한 선호성(選好性)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멸구매미충류에 기생(寄生)하는 주요천적(主要天敵)으로서 Anagus nr. flaveolus, Gonatocerus sp., Haplogonatopus atratus, Elenchus japonicus, Eudorylas, sp.등이었는데 이들은 대부분(大部分)의 멸구매미충에 모두 기생(寄生)하고 있었으며 특히 A.nr. flaveolus는 난기생봉(卵寄生蜂)으로서, Haplogonatopus atratus는 약충(若蟲) 기생천적(寄生天敵)으로서 애멸구의 주요천적(主要天敵)으로서 밝혀졌으며, Gonatocerus sp.는 끝동매미충의 중요(重要)한 난기생천적(卵寄生天敵)으로서, Eudorylas sp.는 반듯이 끝동매미충의 약충(若蟲)이나 성충(成蟲)에만 기생(寄生)하는 종(種)임을 알 수 있었다. 2. 포식성(捕食性) 천적(天敵)으로는 Nabis ferus, Cytorhinus lividipennis와 Mortonagrion selenion을 비롯한 실잠자리류(類) 그리고 Pirata subpiraticus 와 G-nathonarium dentatum 둥의 거미들이 있으며 N. ferus는 애멸구 약충(若蟲)에 C. lividipennis는 벼멸구의 포식천적(捕食天敵)으로서 유력(有力)한 종(種)이며 M. selenion과 p subpiraticus와 G. dentatum은 여러종류의 멸구매미충을 골고루 포식(捕食)하고 있었다. 3. 곤충(昆蟲) 병원균(病原菌)으로서 Entomophthora sp.는 각종 멸구매미충(蟲)에서 쉽게 볼 수 있었으며 Agamermis unka는 벼멸구에 기생(寄生)하는 녹충(綠蟲)으로서 지역(地域)이나 해에 따라서 많은 차이(差異)를 볼 수 있었다. 4. 멸구매미충류(蟲類)의 포식(捕食)논거미 중(中)에서 Pirata subpiraticus가 가장 유력(有力)한 종(種)으로서 알려졌으며 애멸구를 가장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펀 약충(若蟲)과 성충(成蟲)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먹이 선택성(選擇性) 실험결과(實驗結果) 성충(成蟲)보다는 약충(若蟲)을 뎌욱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수원 지역 사과원에서 사과응애와 점박이응애 개체군의 역사적 변천과정 및 해석 (Historical Change of Population Abundances of Panonychus ulmi and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in Selected Apple Orchards in Suwon and Its Hypothetical Explanation)

  • 김동순;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5-123
    • /
    • 2005
  •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원예연구소의 사과원에서 조사한 1958년부터 1998년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사과응애와 점박이응애의 역사적 발생변동 과정을 추적하였다. 1970년까지는 사과응애가 우점하였고 1980년 이후에는 점박이응애로 우점종이 바뀌었으며, 그 변화는 1970년 중반을 전후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3가지 가정, 즉 첫째, 두 종의 경쟁에서 점박이응애가 승리한다. 둘째, 과원의 초생은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즉 초생이 파괴되었을 때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촉진된다. 셋째, 과원생태계가 교란되지 않을 때 응애류는 천적에 의하여 개체군 밀도가 조절된다 하에 약제살포(고독성 비선택적 약제 처리 및 선택적 저독성 약제처리)와 초생관리(초생재배 및 청경재배=제초제 살포)에 따른 두 종의 장기적 상호작용 결과를 추정하였다. 고독성 농약/초생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제한되어 사과응애는 경쟁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천적상이 파괴되기 때문에 전 생육기간 동안 사과응애가 우점한다. 고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에서는 계절초기부터 점박이응애가 수상으로 이동하여 사과응애를 경쟁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점박이응애가 우점한다. 저독성 농약/초생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제한되어 사과응애가 우점하지만 천적의 작용으로 높은 밀도를 형성하지 못한다. 저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가 수상으로 이동하여 사과응애와 경쟁하지만 천적의 작용으로 밀도가 낮아져서 경쟁압력이 낮아지므로 생육후기 사과응애의 발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계절초기 사과응애, 계절후기 점박이응애가 우점하는 형태로 공존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서 제시한 점박이응애 우점화 현상은 부분적으로 고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 상태에서 두 종의 장기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었다.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내 진딧물류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에 관한 연구 (Biological Control Against Aphids Using Natural Enemies in Tropical Plants Resources Research Center of Korea National Arboretum)

  • 진혜영;안태현;송정화;이준석;최하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3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of Korea National Arboretum to assess the effects of natural enemy attack on aphid population feeding on tropical plants. We measured the density of leaf-feeding aphids, Myzus persicae and Aphis gossypii, cohabiting with 5 types of tropical plants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 weeks after introducing their natural enemy, Aphidius colemani. The density of aphids cohabiting with 4 types of tropical plants-Sanchezia parvibracteata, Hibiscus rosa-chinensis, Ficus kurzii, and Aloysia triphylla-started decreasing after 2 weeks of observation and was completely in control after 4 weeks of observation; however, the density of aphids cohabiting with the tropical plant, Hamelia patens, increased during 22 weeks of observation but decreased after the $23^{rd}$ week of observation. We suggest that a banker plant i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A. colemani in tropical greenhouses, and monitoring studies on H. patens, which was weakest against the aphids, should be performed. Our results indicate that biological pest management strategies using their natural enemies were formulated for the construction of new tropical greenhouses.

Flower Habitat Supplementation can Conserve Pollinators and Natural Enem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Case Study in the Pepper Field

  • Lee, Changyeol;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1-147
    • /
    • 2019
  • Pollinators play important roles for crop production as well as maintenance of wild plants' reproduction. Pollinator dependency in Korean agriculture have increased, but the degradation of habitat quality pose significant threats to pollination in agroecosystem. Provisioning flower habitat is one of the major activities to increase pollinator abundance and richness. We tested the effect of flower habitat supplementation on the pollinator, pest and natural enemy abundance in pepper field. Results showed that Hymenopteran pollinators were more abundant in the pepper plots close to the flower habitat. Among natural enemies, the similar pattern from pollinators was observed to parasitoids in the family of Eulophidae, but not to those of Ichneumonida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sect pests like aphids and thrips, as well as pepper production among plots in the pepper field. Even limited spatial scale, this study showed supplementing the flowering plant habitat to the agricultural landscape could conserve and boost pollinators and natural enemies, and possibly resulting better fruit production by pollination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