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antiseptic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황기 종자의 천연 항진균성 단백질의 분리정제 및 특성검정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 Antifungal Protein from Astragal Seeds (Astragalus membranaceus L.).)

  • 구본성;류진창;정태영;김교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79-38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물질의 개발 이용을 위해 황기 종자로부터 인체에 무해한 천연 항균 단백질을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및 gel filteration을 이용하여, 순수 분리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황기종자로부터 추출한 천연 항균 단백질은 Aspergillus ocraceus, Penicillium expensum, P. digitatum, Botrytis cineria의 포자 발아 및 효모인 Candida albicans의 생육을 현저하게 저해하였으며 ammonium sulfate 포화도가 0.4일 때 단백질의 침전량이 122.6 $\mu\textrm{g}$/$m\ell$로 가장 많았고 항균력도 15.2 m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강력한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인 Mono-S를 이용하여 FPLC에서 단백질을 분획하였을때 첫번째 peak에서 분획된 단백질군이 항균력을 보였으며 Superose 12HR gel filteration column을 이용하여 2차 분획 하였을 때 분자량이 19 kDa되는 단일 단백질만을 순수분리 할 수 있었다. 전기 영동한 polyacrylamide gel위에 곰팡이 포자를 중층하는 bio autography로 19 kDa 단백질 band의 항균력을 직접 확인하였으며 분리된 항균 단백질의 아미노 말단의 아미 노산 22잔기를 sequencing하고 thaumatin 및 zeamatin 유사 단백질들과 상동성을 측정한 결과 50%내외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분리된 항균 단백질은 곰팡이 균사가 성장하는 선단부위에 가장 먼저 침투하여 channel을 형성함으로 osmolysis를 일으켜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 of Thuja Orientalis cv Aurea Nana Cones against Food-spoilage and Food-borne Pathogens

  • Yang, Xiao Nan;Hwang, Cher-Won;Kwon, Gi-Seok;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9-465
    • /
    • 2011
  • BACKGROUND: Nowadays, Chemical antiseptics have become great problems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so that developing of new substitutes for chemical antiseptics is more and more important. Natural product is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additive that could be used as antiseptic in food industry. Thuja orientalis cv Aurea Nana is a gymnospermous plant of the family Cupressaceae, native to northwestern China and widely naturalised elsewhere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potential of various organic extracts from T. orientalis cones against some food-borne and food-spoilage bacteria. METHODS AND RESULTS: Hexane extract (HE), chloroform extract (CE), ethyl acetate extract (EAE) and methanol extract (ME) were obtained from female cones of T. orientali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were tested by standard agar diffusion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gainst five gram-positive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Cell viability and morphology change of L. monocytogenes ATCC 10943 treated with hexane extract were also observed. The various extracts displayed remarkable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all the gram-positive bacteria but did not show any effect against the gram-negative bacteria. Hexane extract has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cell viability of L. monocytogenes ATCC 10943. SEM observation also demonstrated the damaging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n the morphology of L. monocytogenes ATCC 10943 a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tested gram-positive bacteri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organic extracts of T. orientalis cone. Hexane extract was the most potent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0943, as evidenced by the lowest MIC level and the complete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within shortest exposure time, along with SEM observation.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균 활성 비교 및 천연방부제로써의 효능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s Natural Antiseptics)

  • 김혜진;배정윤;장하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8-3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고, challenge test를 통해 화장품방부제인 메틸 파라벤과 감초 추출물의 방부력을 비교하였다. 1.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수득률의 경우 50% 에탄올 추출물의 수득률은 한국 감초(19.24%), 중국 감초(18.34%). 우즈베키스탄 감초(17.33%)이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수득률은 한국 감초(2.22%), 중국 감초(2.43%), 우즈베키스탄 감초(2.07%)이었다. 2.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 보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하였으며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 균을 저해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C) 측정을 통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 B. subtili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한국(625 ${\mu}g/ml$), 중국(625 ${\mu}g/ml$), 우즈베키스탄(625 ${\mu}g/ml$)로 동일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P. acne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한국(156 ${\mu}g/ml$), 중국 (625 ${\mu}g/ml$), 우즈베키스탄(2,500 ${\mu}g/ml$)로 한국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중국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보다는 약 4배, 우즈베키스탄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보다는 약 16배 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E. coli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한국(5,000 ${\mu}g/ml$), 중국(10,000 ${\mu}g/ml$), 우즈베키스탄(10,000 ${\mu}g/ml$)로 한국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중국, 우즈베키스탄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보다 E. coli에 대해서 2배 좋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 aeruginosa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한국(78 ${\mu}g/ml$), 중국(156 ${\mu}g/ml$), 우즈베키스탄(5,000 ${\mu}g/ml$)로, 한국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활성이 중국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보다 2배, 우즈베키스탄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보다는 약 64배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국 감초 추출물이 중국, 우즈베키스탄 감초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균활성을 보이며, 화장품방부제로 쓰이는 파라벤류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한 challenge test를 통해 메틸 파라벤 보다 한국 감초 추출물이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부터 한국 감초추출물이 중국, 우즈베키스탄 감초 추출물보다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국 감초 추출물이 여드름균인 P.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한국 감초 추출물이 여드름치료제의 기능성원료로서 이용가능성과 화장품방부제로 쓰이는 파라벤류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방부제로써 응용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진균류의 원형질막 단백질 변화에 미치는 식품보존제의 영향 (Effects of Antiseptics on the Protein Change of Plasma Membrane in various Fungal Cells)

  • 이학미;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51-561
    • /
    • 1998
  • S.B, P.S, C.P를 각각 처리한 배지에 배양된 진균류(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에서 원형질막을 분리하였다. 원형질막 단백질의 함량과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A. phoenicis의 생장은 S.B 처리구에서 평균 64.0%가 감소하였다. R. acidus의 생장은 P.S 처리구에서 평균 69.0%가 감소하였다. 또한 C. albicans의 생장도 S.B 처리구에서 평균 59.5%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여러 진균세포 원형질막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S.B 처리구에서 평균 41.0%, 41.7%, 59.5%가 각각 억제되었다. A. phoenicis의 원형질막 단백질의 변화 양상은 처리구에서는 배양 1일째, 2일째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양 1일째 $116\;KD{\sim}97\;KD$ 밴드는 거의 사라졌고 $45\;KD{\sim}29\;KD$ 밴드는 희미하게 관찰되었다. R. acidus는 S.B 처리구에서 배양 중간기부터 $116\;KD{\sim}97\;KD$ 밴드가 소실되었으며, P.S 처리구와 C.P 처리구는 배양초에 소실되기 시작하여 배양 36시간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C. albicans에서는 $116\;KD{\sim}97\;KD$ 밴드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배양초에 소실되기 시작하였고 $66\;KD{\sim}45\;KD$밴드는 배양 96시간에 희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C.P 처리구에서는 배양 96시간에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

천연 치자 색소의 연구개발 동향 (A Tren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ural Gardenia Pigments)

  • 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71-277
    • /
    • 2007
  •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는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이리도이드 (iridoid)계 꼭두서니과의 수목으로서 그 열매인 치자는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식용 색소 및 한방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치자에 함유된 주요성분으로는 치자 과실에 이리도이드 배당체인 제니핀 (genipin: $C_{11}H_{14}O_5$)과 제니포사이드 (geniposide: $C_{17}H_{24}O_{10}$) 및 겐티오비오시드 (gentiobioside), 크로신 (crocin), 노나코산, 기르네노시드, 만니톨 등이 있고 잎에는 가데오시드 (gardeoside)가 포함되어 있다. 치자색소중 가장 대표적인 치자황색소는 매염처리에 따라 색상이 거의 변하지 않는 단색성 염료이면서 매염처리를 하지 않고도 면직물 등의 식물섬유에 염색이 되는 직접 염료로서 그 시장가치가 높다. 현재 치자황색소는 가격경쟁의 격화에 따라 금액 기준으로 약간 감소하고 있으나 수요 그 자체는 라면 등 식품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치자청색소는 치자추출물을 효소반응이나 미생물 배양을 통한 가수분해에 의해 다량의 제니핀으로 전환하여 여러 아미노산과 함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치자청색소는 단백질 섬유에 염색한 결과 매염제 없이도 우수한 착색을 보였으며, 견뢰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냉과류의 합성착색료 대체품으로 신장하고 있는 스피룰리나 청색소와 가격경쟁력이 있어서 앞으로의 수요는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자적색소는 520-540 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이는 청색소와 마찬가지로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효소 및 미생물로 가수분해한 구성물과 일차 아미노 그룹을 포함한 기질과 함께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치자 색소는 식품 뿐만 아니라 섬유의 염색에도 우수한 천연색소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식품에 있어서 천연색소로의 대체가 당면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식용색소로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천연색소의 안정성 문제는 식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섬유 염색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제약이 되므로 추후 천연염료 (특히 치자 염료)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품질 개발과 생산 코스트 다운을 위한 연구는 전체 천연색소 시장의 성장에 필수불가결하다.

관중의 항균작용 및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Effects and Cytotoxicity of Crassirhizomae Rhizoma)

  • 김승남;구영;류인철;함병도;배기환;한수부;정종평;최상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65-7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rassirhzimae rhizoma and its possible use as an oral antiseptics for prevention of periodontitis. 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eriodontopathic microorganisms including Actinobacillus actiomycetem - comitans, Capnocytophaga ochracea, Streptococcus mu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Actinomyces viscosus, Fusobacterium nucleatumwas evaluated via modified stab culture method. The cytotoxicity against gingival fibroblasts and rat osteoblasts was investigated via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cellular activity was investigated via MTT assay. Chlorhexidine was used as control group. Crassirhizomae rhizoma was prepared at concentrations of 0.2, 0.15, 0.1, 0.05%. Chlorhexidine was also prepared at the same concentration. Crassirhizomae rhizoma showed lower antimicrobial antivity against these microorganism than chlorhexidine,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nd, Crassirhzomae rhizoma showed more cellular activity and less cytotoxicity than chlorhexidine on human gingival fibrablast and rat osteoblast. This study suggests that Crassirhzomae rhizoma might be a candidate for a safe oral antiseptic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 PDF

임플란트주위염의 삭제형 골수술 후 골재생 증례보고: 6년 추적관찰 (Unusual bone regeneration following resective surgery and decontamination of peri-implantitis: a 6-year follow-up)

  • 김현주;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3호
    • /
    • pp.171-177
    • /
    • 2022
  • 임플란트주위염은 임플란트의 주변 치조골의 상실을 동반한 치주조직의 염증성 병소이다. 임플란트주위염의 치료 목표는 자연치에서 발생되는 치주염의 치료와 유사하게, 염증을 해결하여 임플란트 주위 치주조직의 건강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치료 방법으로는 염증의 진행 정도에 따라 구강위생교육과 국소적 또는 전신적 방부제(antiseptics)와 항생제 처치를 동반한 지대주(fixture)의 mechanical cleansing, 삭제형 또는 재생형 골수술 등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표면처리(decontamination)와 삭제형골수술 이후, 특이한 골재생 증례의 6년 추적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