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cod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9초

Identification of SNPs Affecting Porcine Carcass Weight with the 60K SNP Chip

  • Kang, Kwon;Seo, Dong-Won;Lee, Jae-Bong;Jung, Eun-Ji;Park, Hee-Bok;Cho, In-Cheol;Lim, Hyun-Tae;Lee, Jun He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4호
    • /
    • pp.231-235
    • /
    • 2013
  • Carcass weight (CW)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traits in pigs, directly affecting the income of farmers. In this study, a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was performed to detect significan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ffecting CW in pigs derived from a $F_2$ intercross between Landrace and Korean native pig (KNP). Using high-density porcine SNP chips, highly significant SNPs were identified on SSC12. Two candidate genes, LOC100523510 and LOC100621652, were subsequently selected within this region and further investigated. Within these candidate genes, five SNPs were identified and genotyped using the VeraCode GoldenGate assay. The results revealed that one SNP in the LOC100621652 gene and four SNPs in the LOC100523510 gene are highly associated with CW. These SNP markers can thus have significant applications for improving CW in KNP. However, the functions of these candidate genes are not fully understood and require further study.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PMU (Performance Monitoring Unit) 기반 동적 XIP (eXecute In Place) 기법 ((PMU (Performance Monitoring Unit)-Based Dynamic XIP(eXecute In Place) Technique for Embedded Systems))

  • 김도훈;박찬익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58-166
    • /
    • 2008
  • These days, mobile embedded systems adopt flash memory capable of XIP feature since they can reduce memory usage, power consumption, and software load time. XIP provides direct access to ROM and flash memory for processors. However, using XIP incurs unnecessary degradation of applications' performance because direct access to ROM and flash memory shows more delay than that to main memo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mory management framework, dynamic XIP, which can resolv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using XIP. Using a constrained RAM cache, dynamic XIP can dynamically change XIP region according to page access pattern to reduce performance degradation in execution time or energy consumption resulting from native XIP problem.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a page profiler gathering applications' memory access pattern using PMU and an XIP manager deciding that a page is accessed whether in main memory or in flash memory. The proposed framework is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Linux kernel. Our evaluation shows that our framework can reduce execution time at most 25% and energy consumption at most 22% compared with using XIP-only case adopted in general mobile embedded systems. Moreover, the evaluation shows that in execution time and energy consumption, our modified LRU algorithm with code page filters can reduce more than at most 90% and 80% respectively compared with applying just existing LRU algorithm to dynamic XIP.

  • PDF

Adaptable I/O System based I/O Reduc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HDFS

  • Park, Jung Kyu;Kim, Jaeho;Koo, Sungmin;Baek, Seungjae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6권6호
    • /
    • pp.880-888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HDFS-AIO framework to enhance HDFS with Adaptive I/O System (ADIOS), which supports many different I/O methods and enables applications to select optimal I/O routines for a particular platform without source-code modification and re-compilation. First, we customize ADIOS into a chunk-based storage system so its API semantics can fit the requirement of HDFS easily; then, we utilize Java Native Interface (JNI) to bridge HDFS and the tailored ADIOS. We use different I/O patterns to compare HDFS-AIO and the original HDF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design feasibility and benefits. We also examine the performance of HDFS-AIO using various I/O techniqu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use ADIOS, however our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in expanding the function of HDFS.

음식모형을 활용한 어린이 식생활 교육 매체 개발 (Development of Food Replicas as Dietary Education Materials for Children)

  • 홍경희;김순미;엄민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34-4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ren-friendly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food replicas for the dietary education of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current dietary problems and dietary education for children, five education themes were chosen: balanced diet, seasonal food, traditional food, noodle culture, and making instant noodles. A total of 304 key food items for food replica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hemes: six basic food groups (113 items), balanced meals (37 items), dietary habits (74 items), spring foods (13 items), summer foods (17 items), autumn foods (16 items), winter foods (11 items), Korean traditional foods (52 items), Korean native noodles (18 items), noodles from foreign countries (19 items), and making instant noodles (46 items). Next, a food replica database was developed consisting of name of the food, picture, size, ingredient, recipe, reference, and attached code. Powerpoint slides and teaching plans for all education themes were developed utilizing the food replicas in order to rais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erving size and intake amount. This research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ood replicas as effective dietary education material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us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school programs, community health centers, or food companies.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Dgat2 Gene and Beef Carcass and Quality Traits in Commercial Feedlot Steers

  • Li, J.;Xu, X.;Zhang, Q.;Wang, X.;Deng, G.;Fang, X.;Gao, X.;Ren, H.;Xu,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943-954
    • /
    • 2009
  •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DGAT) is a key enzyme that catalyzes the final and rate-limiting step of triglyceride synthesis. Both DGAT1 and DGAT2 genes code proteins with DGAT activity. Studies have shown DGAT1 polymorphisms associate with intramuscular fat deposition in beef cattle, but fewer associations between DGAT2 and beef cattle economic traits have been repor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in intron3 of bovine DGAT2 and evaluate the associations of that with carcass, meat quality, and fat yield traits. Test animals were 157 commercial feedlot steers belonging to 3 Chinese native breeds (22 for Luxi, 24 for Jinnan, and 23 for Qinchuan), 3 cross populations (20 for Charolais${\times}$Fuzhou, 18 for Limousin ${\times}$Luxi, and 17 for Simmental${\times}$Jinan) and 1 Taurus pure breed population (16 Angus steers). In the current study, 15 SNP were discovered in intron3 and exon4 of DGAT2 at positions 65, 128, 178, 210, 241, 255, 270, 312, 328, 334, 365, 366, 371, 415, and 437 (named as their positions in PCR amplified fragments). Only 7 of them (128, 178, 241, 270, 312, 328, and 371) were analyzed, because SNP in three groups (65-128-255, 178-210-365 and 241-334-366) were in complete linkage disequilibrium within the group, and SNP 415 was a deletion and 437 was a null mutation. Frequencies for rare alleles in the 3 native breed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3 cross populations for 178 (p = 0.04), 270 (p = 0.001), 312 (p = 0.03) and 371 (p = 0.002). A general linear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either SNP genotypes or allele substitutions and the measured traits. Results showed that SNP 270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at yield associated with kidney, pelvic cavity, heart, intestine, and stomach (KPHISY). Animals with genotype CC and CT for 270 had less (CC: -7.71${\pm}$3.3 kg and CT: -5.34${\pm}$2.5 kg) KPHISY than animals with genotype TT (p = 0.02). Allele C for 270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4.26${\pm}$1.52 kg KPHISY (p = 0.006) and $-0.92{\pm}0.45%$ of retail cuts weight percentage (NMP, Retail cuts weight/slaughter body weight) (p = 0.045); allele G for 312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5.45${\pm}$2.41 kg KPHISY (p = 0.026). An initial conclusion was that associations do exist between DGAT2 gene and carcass fat traits.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ize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further effort is requir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in larger populations.

웹 어셈블리 모듈 안전성 검증을 위한 퍼징 방법 (Fuzzing Method for Web-Assembly Module Safety Validation)

  • 박성현;강상용;김연수;노봉남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275-285
    • /
    • 2019
  • 웹 어셈블리는 웹 브라우저 자바스크립트의 성능 향상을 위해 설계된 새로운 바이너리 표준이다. 웹 어셈블리는 효율적인 실행 및 간결한 표현과 여러 언어를 바탕으로 작성된 코드를 네이티브에 가까운 속도로 구동될 수 있는 새로운 웹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 어셈블리 취약성 검증은 웹 어셈블리 인터프리터 언어에 제한되어 있으며, 웹 어셈블리 바이너리 자체에 대한 취약성 검증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웹 어셈블리의 자체적인 안전성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웹 어셈블리의 구동 방식과 현재 웹 어셈블리의 안전성 검증 방법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기존에 발생하였던 웹 어셈블리 안전성 검증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기존 안전성 검증 방식의 한계점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기존 안전성 검증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웹 어셈블리 API 기반 퍼징 방법을 소개한다. 이는 기존 안전성 검증 도구로 탐지할 수 없었던 크래시를 탐지함으로써 제안하는 퍼징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API call의 단계별 복합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탐지 (Malware Detection Via Hybrid Analysis for API Calls)

  • 강태우;조재익;정만현;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9-98
    • /
    • 2007
  • 최근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화 저변 확대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이를 이용한 악의적인 행위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악의적인 용도를 위해 제작되는 악성코드의 폐해가 날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고, 또한 개인정보 유출, 해킹, 피싱 등의 응용범죄의 기본수단이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효과적이고 단계적으로 분석, 탐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는 악성코드의 은닉도와 악의적 기능 시그너처를 추출함으로서 기존의 악성코드들 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와 변종들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클라우드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마이크로서비스 식별 방법 (Identification of Microservices to Develop Cloud-Native Applications)

  • 최옥주;김유경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1-58
    • /
    • 2021
  • 최근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될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실행 및 배포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보다 유연한 확장과 효율적인 협력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최근 마이크로서비스지향 애플리케이션 환경으로의 전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마이크로서비스의 도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모노리식 아키텍처로 구축된 단일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를 마이크로서비스 단위로 식별하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마이크로서비스 식별의 문제를 알고리즘 기반으로 해결하기 이한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코드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 후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마이크로서비스 후보에 대해 메트릭을 이용하여, 모듈화 품질을 평가한다. 또한 제안된 식별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벤치마크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공개 소프트웨어의 코드를 이용하여 후보 서비스를 도출하고, 메트릭을 이용하여 모듈화 수준을 평가한다. 결과적으로 좀더 작은 단위의 마이크로서비스로 식별해 내면서 모듈품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에 따른 모바일 앱 분포 (Distribution of Mobile Apps Considering Cross-Platform Development Frameworks in Android Environment)

  • 김규식;전소연;조성제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24
    • /
    • 2019
  • 모바일 앱 개발자는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모바일 플랫폼들에 구동되는 앱들을 하나의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공격자들 또한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한번 작성된 악성 코드를 여러 모바일 플랫폼들 상에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ndroZoo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안드로이드 앱들을 대상으로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들로 작성된 정상 앱들과 악성 앱들의 비율을 연도별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들로 작성된 정상 앱들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도에는 전체 정상 앱들에서 45%를 차지한다.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로 작성된 악성 앱들의 비율은 2015년에는 전체 악성 앱들에서 25%를 차지하였으나 이후 그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크로스 플랫폼 앱 개발 시에 직면할 수 있는 여러 선택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도로 밝기 측정 어플리케이션 구현 (A Road Luminance Measurement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 최영환;김홍래;홍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9-55
    • /
    • 2015
  • 최근 5년간의 주 야간별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자동차 교통사고는 주간보다 야간에 더 많이 발생했다. 교통사고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그 중 중요한 요소는 조명 미설치 또는 조명 위치의 부적합으로 운전자의 시야 혼란을 야기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은 부적절한 도로 조명 시설 위치와 미설치 구역을 파악하고 관련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이를 위해 운전자의 위치 정보, 주행 정보, 도로 밝기 정보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도로 밝기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NDK을 이용하여 Native C/C++ 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바나 다른 언어로 작성된 어플리케이션 보다 연산속도를 향상시켰다. 도로 밝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카메라 영상인 RGB 색 공간의 영상을 YCbCr 색 공간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휘도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차선을 검출하고 도로 밝기 검출 영역의 휘도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도로의 영상을 입력 받고 도로의 차선부분에 대한 관심영역을 지정하여 연산 속도를 향상시켰다. 관심영역의 영상은 Grayscale 영상으로 변환하고 Canny 에지 검출기를 사용하여 외곽선을 추출하고 Hough line transform을 적용하여 차선의 후보군을 선별한다. 선별된 후보 차선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양쪽의 차선을 선정한다. 양쪽 차선이 검출되면 차선의 교차점으로부터 아래로 20픽셀의 높이를 가진 삼각형을 도로 밝기 측정범위로 설정한다. 삼각형 부분의 모든 픽셀에 대한 R, G, B값을 추출하여 Y값을 계산하고 픽셀 밝기 값의 평균을 0부터 100사이의 값으로 계산하여 검은색부터 초록색으로 도로의 밝기를 표현하였다. 계산된 60m 전방의 도로 밝기 값은 스마트폰의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운전자의 주행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10분 간격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였다. 향후 수집된 도로 밝기 정보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나 차량 내비게이션을 통해 운전자들에게 조심 운전을 경고하거나 효율적인 도로 조명 관리를 위한 개보수 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