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bee-hone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2초

토종꿀의 가공과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during processing and preservation of Korean native-bee honey at different temperature)

  • 김은선;은종방;이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93-301
    • /
    • 1995
  • Quality changes of Korean native-bee honey were investigated during processing and preser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 There were no changes of HMF(Hydroxy methyl furfural) and proline contents, color and diastase activity in Korean native-bee honey, when the honey separated from honey combs at 20$^{\circ}C$ and 40$^{\circ}C$. However, at 50 and 80$^{\circ}C$, browning of Korean native-bee honey was shown, HMF content was increased rapidly and proline content and diastase activity were decreased. There were no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in Korean native-bee honey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6 months. But color was darken and HMF content was increased slowly in Korean native-bee honey during storage at 20$^{\circ}C$. During storage at 30$^{\circ}C$ and 40$^{\circ}C$, HMF content was increased highly, proline content, diastase activity and total acidity was decreased rapidly.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native-bee honey is separated from honey comb and purified at less than 40$^{\circ}C$ and stored at 4$^{\circ}C$ through 20$^{\circ}C$.

  • PDF

K/Na Ratio를 이용한 토종꿀과 양봉꿀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Native-Bee Honey and Foreign-Bee Honey by K/Na Ratio)

  • 김은선;이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2-679
    • /
    • 1996
  • 토종꿀파 양봉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벌꿀에 함유되 어 있는 무기성분 중 K/Na ratio를 이용하여 토종꿀의 판별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벌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일반성분 중에서 가장 차이가 두드러진 항목이 회분과 조 단백질이었는데 토종꿀의 함량은 평균 0.31% 및 0.28%, 양봉꿀의 평균 함량은 0.11%및 0.13%로서 토종꿀이 휠씬 높게 나타났다. 벌꿀 중의 proline과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평균 13.6mg%, 31.7unit, 양봉꿀은 평균 16.4mg%, 17.0unit로서 proline 함랑은 양봉꿀이 높았으며,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더 높았다. 무기성분은 토종꿀이 양봉꿀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었는데, 주요 무기성 분은 Ca, Mg, Na, K, Cl 등으로 토종꿀에서는 K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양봉꿀에서는 C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분석하였던 무기성분 중 K와 Na의 조성비를 이용하였더니 토종꿀과 양봉꿀의 특성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토종꿀의 K/Na ratio는 실험 에 사용하였던 6점 모두 10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양봉꿀은 3점 모두 1.5 이하로 나타나 토종꿀을 판별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Ash and Trace Metals in Korean Native Bee Honey

  • Kim, Seok-Chang;Lee, Jong-Tae;Park, Chae-Kyu;Shim, Sang-Kwon;Han, Sang-Bae;Kwak, Yi-Seong;Whang, Mi-Sun;Won, Jun-Y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154-156
    • /
    • 2006
  • Trace metals in honey have an influence on the taste of honey along with pollens. Western bee honeys, which are mostly collected from acacia, have less than 0.1% of ash. Savor of Korean native-bee honey is thought to b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contents of trace metals. Korean native-bee honeys collected from Jirisan District, which is the greatest producing area of native-bee honey in Korea, showed high contents of ash. Korean native-bee honeys from the districts other than Jirisan District also showed similar results($0.44{\sim}0.83%$ of ash) to those from Jirisan District. Potassium was found to be the principal factor of high content of ash with over 85% of trace metals in ash.

경북 죽장지역 토종꿀의 고품질화를 위한 특성 비교 (Preliminary Quality Analysis between Native Bee Honeys Produced from JukJang Area)

  • 이현진;박철홍;손형우;남동윤;이시림;박경화;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07-310
    • /
    • 2010
  • 화분의 수와 종류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K/Na 비율이 3.9-27.9 배로 토종꿀에서 증가한 반면, Fe, Zn, Al은 토종꿀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토종꿀과 양봉꿀은 각각의 구성성분에 있어서 미시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토종꿀 특이적인 단백질의 전기영동적인 판별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화분의 종류, K/Na ratio, 및 Fe, Zn, Al의 검출여부 등으로 판별을 확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와 같은 예비적인 특성 비교는 지역의 토종꿀의 고품질화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강원도산 잡화벌꿀의 유기산 및 지방산 특성에 관한 연구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of 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 김복남;김택제;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58
    • /
    • 1991
  •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native bee-honey and foreign bee-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were studied with the emphasis on the honey which was collected form wild flowers nd mixed flowers sources for honey nectars.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considered as acetic acid formic acid and valeric acid in volatile acids and gluconic acid maleic acid malic acid quinic acid and citric acid in non-volatile fraction in both of native bee-honey and foreigr bee-honey. Some naturally occuring fatty acids({{{{ { C}_14{ } }}}}-{{{{ {C }_{20 } }}}}) were observed with the principal fatty acids of myristic aic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and palmitic acid in the various honey, The characteristics of moisture content pH viscosity free acidity lactone and total acidity were also analyzed and discussed.

  • PDF

Capillary GC를 이용한 토종꿀중의 Disaccharides 와 Trisaccharides의 분석 (Analysis and Quantitation of Di- and Trisaccharides in Native-bee Honeys Using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 김은선;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05-611
    • /
    • 1995
  • 호남지방에서 생산된 6점의 토종꿀을 대상으로 disaccharides와 trisaccharides를 분취한 다음 GC와 HPLC를 이용하여 각 oligosaccharides를 분리, 정량하였다. disaccharides는 토종꿀 중에 $5.9{\sim}8.4%$ 범위로 함유되어 있었는데 GC로 분석한 결과 sucrose, nigerose, maltose, laminaribiose, turanose, kojibiose, palatinose 및 isomaltose 등 8개의 당류가 분리되었으며, 그 중 maltose가 평균 2.2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turanose가 평균 1.57%의 함량을 나타냈다. trisaccharides는 토종꿀 중에 $1.4{\sim}5.4%$ 범위로 함유되어 있었는데 isopanose, erlose, theanderose, maltotriose, panose 등 5개의 당류가 분리되었으며, 그 중 erlose가 평균 2.83%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토종꿀중에 함유되어 있는 전체 oligosaccharides의 조성을 살펴보면 erlos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maltose, turanose, sucrose, isomaltose의 순서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다양한 꿀에 함유된 무기물 조성, Hydroxy Methyl Furfural 함량 및 꿀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 비교 (Comparision of Mineral, Hydroxy Methyl Furfural Content and SDS-PAGE Pattern of Proteins in Different Honeys)

  • 정미애;김천제;백현동;오재욱;이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1-249
    • /
    • 2011
  • 밀원을 달리한 다양한 꿀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아카시아꿀 7개, 잡화꿀 9개, 밤꿀 5개, 토종꿀 5개의 시료를 이용하여, 회분 함량, 무기물 조성과 HMF(hydroxy methyl furfural)함량 및 꿀 단백질의 SDS-PAGE에 의한 단백질 분자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분 함량은 아카시아꿀이 0.046-0.119%이었으며, 밤꿀은 0.565-1.318%, 잡화꿀 0.06-0.582%, 토종꿀 0.237-0.893% 이었다. 무기물 분석에서 K함량은 밤꿀>토종꿀>잡화꿀>아카시아꿀 순으로 높았으며, Ca함량은 아카시아꿀과 잡화꿀에서 가장 높았다. 아카시아꿀의 Na/K ratio는 0.92-1.97, 밤꿀은 0.02-1.59, 잡화꿀은 0.02-5.30, 토종꿀은 0.22-0.51이었다. 또한 HMF 함량은 밀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나, 아카시아꿀이 9.60-12.85 mg/kg, 밤꿀은 10.15-25.75 mg/kg, 토종꿀은 9.7-33.5 mg/kg, 잡화꿀은 6.25-21.5 mg/kg 이었으며, 토종꿀에서 가장 높았다. SDS-PAGE에 의한 단백질 band의 분자량 분석에서 양봉꿀의 특이적인 59 kDa 단백질이 모든 시료에서 나타났다. 밤꿀과 토종꿀에서 양봉꿀의 특이성을 나타내는 59.0 kDa의 단백질 band 이외에 31.9-33.5 kDa 단백질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72 kDa의 단백질 band도 몇 종의 밤꿀(71.8, 71.9 kDa)에서 확인되었다.

강원도산 잡화 벌꿀의 아미노산, 당류 및 효소활성 (Free Amino Acid, SUgar and Enzyme Activity of 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 김복남;김택제;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80-685
    • /
    • 1994
  • Total nitrogen content, proline, free amino acids, sugars, invertase and diastase activities in native bee-honey (NBH) and foregin bee-honey (FBH) harvested from our different areas of Kangwon , Korea were determined. The total nitrogen contents of NBH and FBH were 0.077$\pm$0.033mg% and 0.055$\pm$0.022mg%, respectively. Proline content in NBH was 42$\pm$10mg% and waqs found to be much lower than that in FHB. Phenylalanine and proline were major free amino acids both in NBH and FBH .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in FBH were twice as much as that in NBH , however isomaltose content in NBH were almost two times more than that in FBH. Other sugars including fructose, glucos , sucrose and maltose were also analyzed.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NBH and FBH in invertase activities, but comparing to these of FBH ,lower values of diastase activity in NBH were observed.

  • PDF

Detection of Korean Native Honey and European Honey by Using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 Kim, Chang-Kyu;Lee, Deug-Chan;Choi, Suk-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99-605
    • /
    • 2017
  • Korean native honey (KNH) is much more expensive than European honey (EH) in Korea, because KNH is a favored honey which is produced less than EH. Food fraud of KNH has drawn atten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concerned, which is in need of a method to differentiate between KNH and EH which are produced by the Asiatic honeybee, Apis cerana and the European honeybee, Apis mellifera, respectively. A method to discriminate KNH and EH was established by using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is study. Immunochromatographic assay (IC) was examined to analyze the duplex PCR product. The DNA sequences of primers for the duplex PCR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cytochrome C oxidase genes of the two honey bee species. Chelex resin method was more efficient in extracting genomic DNA from honey than the other two procedures of commercial kits. The duplex PCR amplifying DNA of 133 bp were more sensitive than that amplifying DNA of 206 bp in detecting EH in the honey mixture of KNH and EH.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IC detected the DNA of 133 bp at the ratios of down to 1% and 5% EH in the honey mixture, respectively and also revealed that several KNH products distributed by internet shopping sites were actually EH. In conclusion, the duplex PCR with subsequent IC could also discriminate between KNH and EH and save time and labor.

강원도산 토종꿀의 식품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Native-Bee Honey Harvested in Kangwon-area)

  • 이득찬;이상영;차상훈;최용순;이해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82-1088
    • /
    • 1997
  • 토종꿀과 양봉꿀의 판별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강원도 내의 8개 지역 및 지리산에서 생산되는 토종꿀과 강원도 춘천에서 생산한 양봉꿀 및 외국산 꿀을 다량 수집하여 수분함량과 당조성, pH, HMF함량, 그리고 화분수 분포를 조사하였다. 벌꿀의 수분함량은 토종꿀이 $16.4{\sim}23.0%$이었고, 양봉꿀이 $15.8{\sim}21.0%$로 나타났다. 당조성 분석결과 벌꿀에 함유된 당은 fructose, glucose, maltose, isomaltose 등으로 나타났다. pH는 토종꿀이 $3.3{\sim}4.2$, 양봉꿀은 $3.2{\sim}4.1$로 모두 산성으로 나타났으며 토종꿀과 양봉꿀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MF함량 분석 결과 토종꿀의 HMF함량은 $0.0{\sim}20.4\;mg/kg$이었고 양봉꿀의 HMF 함량은 $0.0{\sim}85.8\;mg/kg$로 저장상태와 저장기간에 따라 HMF의 생성이 가속화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화분수 분포는 토종꿀이 $0.4{\sim}88.3{\times}10^4/g$로 나타났고 양봉꿀은 $0.0{\sim}0.4{\times}10^4/g$로 화분수 분포 차이는 뚜렷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당조성이나 pH, HMF함량 등으로 토종꿀과 양봉꿀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