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propamid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환경조건 차이에 따른 밭 토양중 제초제 Napropamide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Residue of Herbicide Napropamide and Change of Microorganism in Upland Soil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한성수;정재훈;최찬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8-313
    • /
    • 1994
  • 잔효기간이 긴 것으로 알려진 토양처리형 제초제 napropamide를 밭토양중 여러 환경조전하에 처리하여 이 약제의 토양중 분해성을 검토하고, 이 제초제가 토양미생물 상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토양과 비살균토양에서의 napropamide의 분해반감기는 각각 28.3, 14.6 일이었다.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 속도는 60% > 80% ${\geq}$ 40% 순이였으며 napropamide의 처리와 무처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유의성이 없었고, 처리구내의 60% 수분함량구가 40% 수분함량구에서보다 세균수와 총균수가 많았다. pH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pH가 낮을수록 빨랐으며, napropamide처리구내 총균수는 pH5.5에서 경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27^{\circ}C$ > $37^{\circ}C$ > $17^{\circ}C$의 순으로 빨랐으며, 각 온도에 있어서 napropamide 무처리구와 처리구간의 미생물수는 $17^{\circ}C$에선 방선균이, $27^{\circ}C$, $37^{\circ}C$에선 세균이 무처리구보다 처리구에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Napropamide의 반감기는 10ppm과 20ppm처리에서 각각 16.6일과 21.1일이었고, 미생물 발생수는 20ppm처리구에서보다 10ppm처리구에서 많았다. 식양토와 미사질 양토에서 napropamide의 반감기는 27.7일, 17일이었으며,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차이가 없었다. 포장 및 실내조건에서의 napropamide의 반감기는 각각 5.4일과 19.1일로 포장에서가 실내에서 보다 분해속도가 3.5배 빨랐다.

  • PDF

제초제(除草劑) Napropamide의 분해미생물(分解微生物)의 분리(分離) 및 분해특성(分解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il Microorganisms Degrading Herbicide Napropamide)

  • 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3-72
    • /
    • 1995
  • 제초제(除草劑) Napropamide의 분해능(分解能)이 뛰어난 균주(菌株)를 선발(選拔)하고 그의 분해특성(分解特性)을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농약(農藥) 무처리토양(無處理土壤)으로부터 세균(細菌)을 분리(分離)한 후(後) 이들 균(菌)을 Napropamide 함유(含有) NB배지(培地)에 접종(接種)하여 생존력(生存力)과 Napropamide 분해능(分解能)을 조사(調査)하였으며, 분해능(分解能)이 우수(優秀)한 세균(細菌)에 대해 Napropamide를 탄소원(炭素源) 혹은 질소원(窒素源)으로서의 이용여부(利用與否)와 반복처리(反覆處理)에 의한 세균(細菌)의 Napropamide 분해양상(分解樣相)을 조사(調査)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토양(供試土壤)인 식양토(埴壤土)에서 분리(分離)한 세균(細菌)은 그람양성균(陽性菌) 및 그람음성균(陰性園)이 각각(各各) 4속(屬) 10균주(菌株)씩이었고, 이들 세균(細菌)의 Napropamide에 대한 생존력시험(生存力試驗)에서 공시균주(供試菌株) 모두 100ppm에서는 활발(活撥)하게 증식(增植)되었고 1500ppm까지 생존력(生存力)이 뛰어난 균주(菌株)는 Staphylococcus속(屬) 2균주(菌株), Corynebacterium속(屬) III, 기타(其他) 속(屬) II이었다. 공시균주중(供試菌株中) 20%이상(以上) Napropamide 분해능(分解能)을 가진 세균(細菌)은 Staphylococcus속(屬) II와 Actinobacillus속(屬) I이었고, 이들 두 균주(菌株)는 Napropamide를 단일(單一) 질소원(窒素源)으로서는 이용(利用)하지 못하였으나, Staphylococcus속(屬) II가 Napropamide를 단일(單一) 탄소원(炭素源)으로 이용(利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propamide의 반응처리(反覆處理)에 따른 Staphylococcus속(屬) II의 공시약제(供試藥劑)의 분해(分解)는 1회처리(回處理)에서 급속(急速)히 분해(分解)되었고 2회연용처리(回連用處理) 후(後)에는 분해(分解)가 지연(遲延)되었으나 3회연용처리(回連用處理)에서는 다시 급속(急速)한 분해(分解)가 일어났다.

  • PDF

토양중 제초제 Napropamide의 흡착 및 분해 특성 (Adsorption and Degradation of Herbicide Napropamide in soils)

  • 문영희;김영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7-261
    • /
    • 1998
  • 실내 실험을 통하여 토양중 napropamide의 흡착 및 분해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였다. 3 토양중 napropamide의 흡착 분배 계수 값(kd)은 5.38 - 11.39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이 많은 토양에서 Kd값이 높았다. 토양중 napropamide는 일정 기간의 lag time 후에 분해가 진행되었다. 처리량의 50%가 소실되는 기간은 $10^{\circ}C$에서 약 65 일, $20^{\circ}C$에서 약 45일, $30^{\circ}C$에서 30일 정도 이었으며, 90%까지 분해 소실되는 되는 $10^{\circ}C$에서 약 90일 $20^{\circ}C$ 에서 약 60일 $30^{\circ}C$에서 약 45일정도 소요되었다. Napropamide를 처리한 전력이 있는 토양중 napropamide의 분해는 lag period가 없이 진행되었으며 분해속도도 매우 빨라졌다. 이는 napropamide의 반복처리에 의하여 그 분해속도가 촉진됨을 입증해주는 결과라 하겠다.

  • PDF

고추에서 Napropamide 및 Pendimethalin에 대한 약해요인(藥害要因) 구명(究明) (Deter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Injury of Pepper Cultivars to Napropamide and Pendimethalin)

  • 김만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1-328
    • /
    • 1987
  • 토양처리(土壤處理) 제초제(除草劑)인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을 고추재배(栽培)에 사용(使用)할 때 약해(藥害) 발생요인(發生要因)을 구명(究明)하여 약해(藥害)를 감소(減少)시키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조사(調査)하고자 근부침지(根部浸漬)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생장반응(生長反應)과 토성(土性),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파종심도(播種深度)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약해정도(藥害程度)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Napropamide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최상위엽(最上位葉) 생장(生長)이 크게 억제(抑制)되지 않았다. 2. Pendimethalin은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최상위엽(最上位葉) 억제(抑制)가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 현저히 심했다. 3.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사토(砂土)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피만계통(系統) 품종(品種)에서 더욱 심하였고 양통(壤土)에서 약해(藥害)는 적었다. 4.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는 그 경향(傾向)이 현저하였다. 5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으면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다소(多少)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고농도(高濃度)에서 그 경향(傾向)은 더욱 뚜렷하였다.

  • PDF

잔디밭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선택성(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Selective Heribicide for Control of Weeds in Turf)

  • 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6-199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잔디밭 잡초방제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행하기 위한 선택성(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의 개발과 약제제초방법(藥劑除草方法)을 추구할 목적으로 신규(新規)제초제와 기존(旣存) 제초제의 단제(單劑), 혼합(混合) 또는 조합(組合)하여 21종의 제초제에 대하여 한지형(寒地型) 잔디 2 종과 난지형(暖地型) 잔디 1종 그리고 잔디밭 우점초종(優占草種) 18 종을 대상으로 잔디 이식후 4 일 후 및 25 일 후 잡초발아전 처리를 행하였고 또한 잡초 발생 후 경엽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봄, 가을 및 잔디 휴면기(休眠期)에 제초제룰 처리하였고 아울러 포장적응성 실험을 행하여 잔디에 대한 생육 혹은 약해와 제초효과를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디 이식 후 4 일 후 및 25 일 후 처리에서 한국잔디와 2 종의 벤트그래스에 안정성이 인정되는 약제 및 약량은 napropamide 200 - 400 g /10 a prod., napropamide + triclopyr 100 + 200 g, 150 + 150g 및 200 + 100g, triclopyr 300 - 500 g, benefin 1500 - 2500 g 이었다. Simazine, lenacil, bentazon은 벤트그래스에는 다소(多少)의 생육 감소가 있었으나 한국잔디에는 안전하였다. 2. Simazine, benefin, napropamid + simazine의 토양겸(土壤兼) 경엽처리(莖葉處理)에 의한 제초효과는 바랭이, 방동사니, 명아주, 쇠비름, 중대가리풀 등 공시 초종 모두에 대해서 우수하였다. Lenacil은 명아주에 대해서 전혀 효과가 없었고, napropamide는 광엽에 대해서, triclopyr는 방동사니와 쇠비름에 대해서, bentazon은 바랭이에 대해서 약간의 잔초(殘草)가 있었고 각 약제 모두 가타 공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는 우수하였다. Napropamide 또는 triclopyr에 simazine을 조합처리(組合處理)했을 때 제초효과는 상승되었다. 3.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 중 mecoprop, bentazon, benefin + dicamba, benefin + mecoprop는 벤트그래스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었다. 한국잔디에 대한 생육억제는 simazine + atrazine을 제외한 공시경엽처리제 모두 인정할 수 없었다. 4.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 중 피에 대한 효과는 mecoprop과 triclopyr를 제외한 공시약제 모두 85~100%의 높은 방제율이었다. 바랭이에 대해서는 공시약제 모두 60 - 85% 범위의 방제율을 나타내고, 방동산이에 대해서는 bentazon만 100%의 방제율을 보였다. 매듭풀에 대해서는 benefin + mecoprop가 저조(低調)한 효과를 나타냈을 뿐 기타 약제 모두 90-100%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5. 봄철 토양겸(土壤兼) 경엽처리(莖葉處理)를 한 잔디의 생육은 simazine, lenacil, napropamide + simazine 처리에서 벤트그래스가 감소되었고 기타 처리에서는 공시잔디 3 종 모두 좋은 생육율을 나타냈다. 제초효과는 lenacil과 bentazon이 피에 대해서, bensulide가 망초에 대해서, napropamide와 bentazon이 매듭풀에 대해서 각각 저조(低調)하였을 뿐 기타 처리에서는 85~100%의 우수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6. 가을철 토양겸 경엽처리에서의 잔디생육은 봄에 처리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제초효과는 triclopyr가 피에 대해서, bentazon 과 pendimethalin이 새포아풀에 대해서 다소 떨어진 결과였다. 광엽(廣葉)의 제초효과는 냉 이가 napropamide, benefin, bensulide에 대해서 매우 내성(耐性)을 보였고 별꽃에 대해서 napropamide, bentazon, napropamide + triclopyr, benefin의 효과가 낮았다. 벼룩나물과 점 나도나물은 공시약제 모두에 80 - 100%가 방제되었다. 7. 한국잔디 휴면기(休眠期) 처리(處理)에서 paraquat나 glyphosate의 잔디에 대한 약해는 없었다. 一年生인 새포아풀의 방제효과는 우수하였으나 다년생(多年生)은 토끼풀>억새>메꽃${\geq}$쑥의 순으로 다소(多少)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8. 공시약제 19 종 모두 한국잔디 포장에서의 약해는 없었다. 잡초 발아전 토양겸 경엽처리제 10 종 모두 다년생에 대해서는 효과가 거의 없거나 미약(微弱)하였으나 1년생 잡초에는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잡초 발생 후 2 - 3 엽기 처리에서 공시약제 모두 광엽잡초에 대하여 우수한 살초효과를 나타냈고 기타 다년생 및 일년생 화본과와 방동사니에 대한 살초효과는 미약(微弱)하거나 거의 없었다.

  • PDF

활성탄(活性炭)의 토양처리(土壤處理)가 채소(菜蔬)에 대(對)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경감(藥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ctivated Carbon on Reducing Herbicide Injury to Vegetables)

  • 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27-32
    • /
    • 1980
  • 활성탄(活性炭)을 처리(處理)하여 제초제(除草劑)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공시채소(供試菜蔬) 배추, 고추 및 토마토를 파종(播種)한 후(後)에 활성탄(活性炭) 0, 5, 10kg/10a을 파종직후(播種直後) 토양전면(土壤全面)에 처리(處理)하였다. 제초제(除草劑)는 Linuron 50, 75g/10a와 Napropamide 150, 225g/10a을 각각(各各) 처리(處理)하였고 출현율(出現率)과 건물중(乾物重)을 조사(調査)하였다. 1. Linuron 50, 75g/10a을 배추에 처리(處理)하였을 때 배추는 심(甚)한 약해(藥害)로 인하여 전부(全部) 고사(枯死)되었지만 활성탄(活性炭) 처리(處理)에 의하여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었다. 그러나 Napropamide을 처리(處理)한 경우에는 약해(藥害)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활성탄(活性炭)의 효과(效果)도 크게 기대(期待)할 수 없었다. 2. Linuron을 고추에 처리(處理)했을 때 심(甚)한 약해(藥害)를 보였으나 활성탄(活性炭) 처리(處理)에 의하여 약해(藥害)는 경감(輕減)되어 출현율(出現率)이나 건물중(乾物重)이 무처리구(無處理區)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Napropamide 처리구(處理區)에서 고추는 약해(藥害)가 적게 나타났지만 활성탄(活性炭) 처리(處理)로 인하여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었다. 3. 토마토도 Linuron에 대하여 심(甚한) 약해(藥害)를 보였으나 활성탄(活性炭)에 의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현저했다. 그러나 토마토는 Napropamide에 의하여 약간의 약해(藥害)를 받았으며 활성탄(活性炭)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도 미흡(未洽)하였다.

  • PDF

토양내 제초제의 흡착·탈착 특성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Herbicides in Soils)

  • 라덕관;박상숙;정재성;김영규;오태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45-1053
    • /
    • 2000
  • 제초제로 사용되는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토양내 흡착 탈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탕시간, 유기물함량, pH, 온도 등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Sandy loam, silty clay, loam 토양에 대하여 napropamide 및 pendimethalin이 흡착 탈착 평형에 도달되기 위한 진탕시간은 각각 12시간 및 6시간으로 나타났다. 평형흡착 탈착에 도달되었을 때 각 토양에 대한 napropamide의 흡착율 및 탈착율은 각각 23.35%, 31.57%, 25.95% 및 18.42%, 13.42%, 15.89%, pendimethalin은 각각 59.61%, 77.26%, 64.02% 및 3.23%, 2.93%, 3.07%이었다. 등온흡착은 Langmuir식보다는 Freundlich식에 적합하였다. 유기물함량이 2.0% 이상에서의 흡착은 유기물의 영향을 받고, 그 이하에서는 점토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기물함량 0.95~7.45(%)의 범위에서 흡착계수($K_{fa}$) 및 탈착 계수($K_{fd}$)는 napropamide의 경우 1.17~2.50 및 5.33~34.06, pendimethalin은 4.74~16.08 및 24.25~134.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기물은 농약과 흡착친화력이 높기 때문에 유기물함량이 증가하면 흡착율은 증가하고, 탈착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은 비이온성 농약이기 때문에 pH 변화로 인한 흡착 탈착경향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제초제의 흡착율은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탈착율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것은 실험에 사용된 제초제가 낮은 온도에서는 용해도가 낮지만, 높은 온도에서 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 PDF

지황과 황기의 화학적 잡초 방제 (Chemical Weed Control in Rehmannia glutinosa and Astragalus membranaceus)

  • 김영국;방진기;유홍섭;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1-226
    • /
    • 1998
  • 지황과 황기의 적합한 제초제를 선발하여 제초의 생력화를 향상코자 지황에 5약제를 처리 하고 황기에 7약제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황의 약효시험에서 경엽처리제인 Paraquat는 다년생 잡초의 방제가가 매우 높았다. 2. 정식후 토양처리형 제초제인 Napropamide와 Linuron도 약해 피해 없이 제초 효과가 있었다. 3. 지황 수량은 손제초구의 509kg/10a에 비해 Paraquat 처리구(524kg)에서 3% 증가하였으며, Napropamide, Linuron 처리구는 101%, 94% 수준이었다. 4. 황기는 파종후 토양처리형 제초제인 Nafropamide구에서 약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년생 잡초의 제초효과는 87%이었다. 5. Ethalfluralin과 Metolachlor은 제초효과는 높았지만 발아후 초기 생육시 생육지연 현상이 나타났다. 6. 황기 수량은 약해가 발생하지 않은 Napropamide 처리구가 양호하여 대비구의 129kg/10a 대비 98% 수준이었다.

  • PDF

주요채소용제초제(主要菜蔬用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 잔효와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제(第)4보(報) : 제초제(除草劑) Nitralin과 Napropamide의 잔류량조사(殘留量調査)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Soil-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Vegetable Fields;4. Residual Amount of Herbicides Nitralin and Napropamide)

  • 양환승;문영희;최은석;장문수;이진하;장영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3-118
    • /
    • 1991
  • 월동작물(越冬作物)에 처리(處理)한 두 제초제(除草劑)의 토양중잔류량(土壤中殘留量)을 화학분석(化學分析)에 의하여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nitralin은 150일 경과후에서 200일 경과후까지는 비교적 고약량(高藥量)이 검출(檢出)되었고, 22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도 토성(土性)에 관계없이 75g a.i./l0a 처리구(處理區)에서 $0.053{\sim}0.141ppm$ 범위(範圍)로, 150g처리구(處理區)에서는 $0.134{\sim}0.308ppm$로 검출(檢出)되었다. 2. napropamide의 75g처리구(處理區)중 15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0.006{\sim}0.072ppm$이 검출(檢出)되었고, 20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검출한계이하(檢出限界以下)(ND)였다. 또 150g처리구(處理區)중 15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N. D-0.04ppm이 검출(檢出)되었으며 220일 경과후 토양(土壤)에서는 토성(土性)에 관계없이 검출한계이하(檢出限界以下)로 나타났다. 3. 두 제초제(除草劑) 모두 화학적(化學的)일 잔류량조사결과(殘留量調査結果)는 한천배지실험(寒天培地實驗) 및 포장(圃場)에서의 생물검정실험(生物檢定實驗)의 결과(結果)와 합치(合致)된 결과(結果)임이 확인(確認)되었다.

  • PDF

안개에 기인하는 배추(Brassica pekinensis)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Chinese Cabbage(Brassica pekinensis)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박태동;천상욱;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0-277
    • /
    • 1995
  • 본 연구는 안개제조 장치가 설치된(Auto foggy system: SAE KI RTN Co.) 온실내 tray 시험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개조건하에서 배추의 엽수와 지상부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장은 더 증가하였다. 2. 안개조건하에서 40일과 60일 경합처리로 초장이 감소되었으나 엽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지상부 생체중은 전 경합기간의 안개조건하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40일(日) 경합구에서 감소정도가 큰 경향이었다. 3. Pendimethalin과 Napropamide 처리로 지상부 생체중은 안개조건하에서 감소하였고, 엽수는 Pendimethalin 처리에서만 이식후 60일에 감소하였다. 4. Pendimethalin, Napropamide 및 Alachlor 처리에서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방제효과상의 차이가 없었고 Trifluralin에서는 처리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바랭이 유묘출현하게 되므로써 안개조건하에서 방제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