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sized $CoS_2$ particl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Preparation of [C60]Fullerene-CoS2 Nanocomposites and Kinetics Study fo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ganic Dyes

  • Kim, Jae Jin;Ko, Weon Ba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1호
    • /
    • pp.49-55
    • /
    • 2016
  • Nanosized cobalt disulfide ($CoS_2$) particles were synthesized with 0.08 M cobalt chloride hexahydrate ($CoCl_2{\cdot}6H_2O$) and 0.2 M sodium thiosulfate pentahydrate ($Na_2S_2O_3{\cdot}5H_2O$)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under microwave irradiation. $[C_{60}]Fullerene-CoS_2$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with nanosized $CoS_2$ particles and [$C_{60}$]fullerene as heated by $700^{\circ}C$ for 2 h in an electric furnace.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dentified the heated $[C_{60}]fullerene-CoS_2$ nanocomposites. Heated $[C_{60}]fullerene-CoS_2$ nano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photocatalytic degradation as a catalyst in various organic dyes like acid yellow 23, methylene blue, methyl orange, and rhodamine B with ultraviolet light at 254 nm by UV-vis spectrophotometer.

반회분식 반응을 이용한 단분산 ZnO 나노 입자의 제조 및 입자의 크기와 입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HPC의 작용 (Synthesis of Monodisperse ZnO Nanoparticles Using Semi-batch Reactor and Effects of HPC Affecting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 노승윤;김기도;송건용;김희택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274-279
    • /
    • 2006
  • 해중합 촉매인 zinc acetate ($C_{4}H_{6}O_{4}Zn{\cdot}2H_{2}O{\cdot}0.2\;mol$)와 lithuium hydroxide $H_{2}O$ ($LiOH{\cdot}H_{2}O{\cdot}0.14\;mol$)를 용매인 ethyl alcohol (99.9%)에 용해시킨 후 분산제인 hydroxypropyl cellulose (HPC)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ZnO (산화아연) 콜로이드 용액을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ZnO 입자들의 크기와 모양은 분산제인 HPC에 의해 결정되었다. 또한 나노 크기의 ZnO 입자들은 zinc-2-ethylhexagonate를 기초로 한 침천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ZnO 분말을 DLS, XRD, FE-SEM, 그리고 UV-Vis를 통하여 특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산화아연 분말은 자기조립 반응으로 균일하고 육방정계 모양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평균 입자 크기는 거의 40 nm이고 균일하게 분산되었다.

혼합 POSS를 함유한 에폭시 접착제 특성 연구 (Development of Epoxy Adhesives Containing Mixed POSSs for Stone Conservation)

  • 윤일녕;강덕기;민정식;원종옥;김민영;김정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4
    • /
    • 2010
  • 석조 문화재 보존을 위해 황변현상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에폭시 주제로 bis phenol-A 계열의 에폭시 수지가 갖는 불포화 결합을 수소화시킨 hydrogenated-bisphenol-A (HBA)계 에폭시 수지로, 경화제로는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한 isophorone-diamine (IPDA)를 선정하였다. HBA-IPDA 접착제는 불포화 결합이 없어 시간에 따른 황변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특성을 갖는 단점이 있어 나노소재인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을 첨가하여 향상시켰다. 첨가제로 선정한 POSS로는 HBA와 상용성이 있는 EP0408과 EP0409를 선택하였다. 다양한 혼합 비율(1:2 1:1 2:1)의 EP0408와 EP0409 혼합물을 HBA에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경화제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FT-IR 측정으로 경화 시간을 확인하였으며, 인장강도, 압축강도, 굽힘강도, 화강암에 적용한 압축전단강도를 측정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색안정성이 있는 POSS를 함유한 HBA-IPDA 에폭시 접착제는 석재 내부로 침투가 용이한 낮은 점도와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