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erin strea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8초

자운천 유역 내 환경특성과 탁류발생의 관계성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urbidity Generation in Jaun Watershed)

  • 함광준;배선학;김준현;박성빈;김성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4호
    • /
    • pp.259-2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land use status in watersheds and stream turbidity. Major water quality components (flow rate, turbidity, SS, BOD, TN, TP, etc.) of two streams (Jaun and Naerin) and the land use status for each correspondent watershed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e field sampling and the geographical overlaying of land use and watershed map. The detailed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urbidity has been increased rapidly from 1.9 to 13.0 NTU for Jaun Stream, 0.4 to 0.7 NTU for Naerin Stream, due to the increased flow rate during the period of June.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Jaun watershed was $13.5km^2$ (10.1% of the overall watershed), comparing to $2.0km^2$(1.4%) of upper watershed of Naerin stream. The forest was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30m buffering zone from the center of Naerin stream, which comprised 64.14% of the whole watershed area. But in case of the Jaun, the ratio of forest was 17.84%, while the ratio of farming field was 30.33%.

내린천수계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유출량조사 (A Study on Water Quality and Amount of Flowing at Nonpoint Source of Nairin Stream)

  • 허인량;박성빈;오흥석;김영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0-225
    • /
    • 2009
  • This study evaluates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near the alpine farmland in the upper Naerin stream, which is a typical stream of the upper Bukhan River with muddy water generation, by the flow examination, it aims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flowing out from the investigated area and figure out effective methods to reduce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water quality examination, the average BOD of the area not affected by the cultivated land among the areas of the upper Naerin River was 0.47mg/l, and total phosphorous was 0.007mg/l; thus, it maintained the cleanliness level of Ia. The average BOD of the area with the alpine farmland was 0.52mg/l, which was similar to the one of the non-cultivated land. But total phosphorous concentration was 0.023mg/l, which wa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e area belonging to level II due to the effect of fertilizer ingredients discharged from the cultivated land. About the loadings of the investigated area generated from each of the pollution sources, BOD was 878.5kg/day and total phosphorous was 79.7kg/day. Moreover, for the load density, BOD was $2.22kg/day.km^2$ and total phosphorous was shown as $0.20kg/day.km^2$. Regarding the rates generated from nonpoint sources like land among the loadings per pollution sources, BOD was 54%, total nitrogen was 91%, and total phosphorous was 73.4%. Therefore,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nutrients were produced from the nonpoint sources. The level of BOD runoff loading in the Jaun River area, where nonpoint sources were mainly generated, was 37.1kg/day and total phosphorous was 1.33kg/day. The flow rates to the generated amount were estimated as 10.5% and 4.7% each.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북한강 하천생태계 연구 (Studies on Stream Ecosystem in the Bukhan River using Stable Isotopes)

  • 강정임;김재구;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5-522
    • /
    • 2011
  • 본 연구는 부식물 및 유기물로부터 분리 배양한 부착조류의 안정동위원소비 결과를 중심으로 분리된 부착조류의 안정동위원소비가 수질 대표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변 농경지의 분포가 많으며, 부착조류 현존량이 높아질수록, 부착조류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는 증가하며, 탄소안정동위원소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농경지 중심지역인 내린천 상류, 인북천 상류지역에서 질소안정동위원소비(${\delta}^{15}N$)가 임야 중심지역인 한계천 및 북천에서의 값보다 높았다. 탄소안정동위원소비(${\delta}^{13}C$)는 농경지에 의한 오염으로 부착조류의 현존량이 많은 내린천 상류와 인북천 상류지역보다 임야 중심의 청정한 한계천 및 북천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부착조류의 안정동위원소비는 하천수질오염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린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Naerin Stream)

  • 남명모;양홍준;채병수;강영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6
    • /
    • 1998
  • 1996년 6월부터 1997년 9월까지 북한강의 상류인 내린천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10과 28속 36종 또는 아종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어류 중에서 한반도 고유종은 7과 15속 16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44.4%를 차지하였다 외래어종으로 Oncorhynchus mykiss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Zacco temmincki(상대풍부도 42.94%), 아우점종은 Moroco kumgangensis(12.91%)였으며, Opsariichthys biden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Misgurnus mizolepis, Leiocassis ussuriensis 그리고 Siniperca scherzeri는 1~2 개체만 채집되어 상대 풍부도가 0.03% 이하로서희소종이었다. 조사지역의 종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 0.947, 균등도 0.609, 그리고 우정도 0.218로서 생태적으로 안정된 군집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태백 산지 북부의 하천 하각률 분포 (Distribution of Stream Incision Rat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 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9
    • /
    • 2018
  •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stream incision rates at 23 point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Soyang-gang, Naerin-cheon, Odae-cheon, Dong-gang and upper reaches of Okdong-cheon Rivers closed to the Range show higher incision rates and the rates clearly decrease with distance from the Range. Therefore, the incision proces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Range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uplift around the Range, and the Sobaek Mountain Range seem to play a role in the incision process. Limestone areas show lower incision rates due to degradation of terrace surface by dissolu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l hydrological,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ondition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tream incision rates, although stream incision rates are greatly influenced by regional uplift.

소양호 지류하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 Flow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Branch River of So-yang Lake)

  • 최한규;최창호;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199-205
    • /
    • 2009
  • This study selected Naerin Stream, Inbuk Stream and Buk Stream, branch rivers of Soyang Dam, also area of highland agriculture as test sites and measured flow and water quality, particularly eutrophication factors (BOD, COD, T-N, and T-P) in precipitation season and non precipitation season for a year, 2008.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water quality in relation to flow, and created flow discharged - pollution loads regression line by estimating pollution loads flowed from each branch river. And the study calculated annual pollution discharge loads for unit area and proposed regression equation on it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 PDF

소양호 상류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의한 원단위 산정 (Estimation of the Unit Load by the Outflow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yang Lake)

  • 최한규;박수진;김진수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37-46
    • /
    • 2005
  • From 2000 to 2004,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t Naerin-cheon and Inbook-cheon, the upper streams of Soyang Lak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eutrophication-causing water pollutants, BOD, T-N and T-P. During the five years, the amount of flowing water was measured, and the water quantity was examined under different precipitation levels. From the observation, outflow patterns of the water pollutants and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factors at the time of rainfall were clarified. In addition, estimation of the unit load was made for each stream; for Naerin-cheon at the time of rainfall, we estimated BOD to be $1,112kg/km^2/year$, T-N to be $2,077kg/km^2/year$, and T-P to be $223kg/km^2/year$; for Inbook-cheon at the time of rainfall, we estimated BOD to be $1,229kg/km^2/year$, T-N to be $1,565kg/km^2/year$, and T-P to be $255kg/km^2/year$. For the time of no rainfall different estimation was made; for Naerin-cheon, we estimated BOD to be $2,403g/km^2/day$, T-N to be $5,004g/km^2/day$, and T-P to be $53g/km^2/day$; and for Inbook-cheon, we estimated BOD to be $1,550g/km^2/day$, T-N to be $2,283g/km^2/day$, and T-P to be $42g/km^2/day$.

  • PDF

내린천에 서식하는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Cobitidae)의 생태 (Ecology of Koreocobitis rotundicaudata (Cobitidae) in the Naerin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5
    • /
    • 2007
  • 새코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06년 4월부터 2007년 3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내린천 중 상류에서 조사하였다. 서식지의 하상 구조는 주로 큰돌과 작은 돌로 구성되었으므로 유속은 0.3~0.8 m/sec이었고 수심은 30~80 cm이었다. 성비는 1 : 0.78로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산란시기는 5~6월로 추정되었고 이때의 수온은 $20.1{\sim}23.1^{\circ}C$이었으며 성적 성숙은 만 2년 이상 개체에서 나타났다. 체장이 40~69 mm의 집단은 만 1년생, 70~109 mm의 집단은 만 2년생, 110~142 mm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평균 1,365개 이었다. 먹이생물은 주로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깔다구 유충(Chironomidae)이었다.

경기${\cdot}$강원 지역 감입곡류 하천의 곡류절단면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Central Korea)

  • 이광률;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45-862
    • /
    • 2004
  • 본 연구는 경기, 강원 지역을 대상으로 감입곡류절단 지형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강원도에서도 높은 산지지역인 정선군 및 인제군을 주로 흐르는 내린천 및 동대천 등의 하천에서 곡류절단면의 분포 밀도가 가장 높았다. 곡류절단의 발생은 제4기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빙기와 간빙기 사이의 기후 변동기에 집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질별로는 퇴적암에서 분포 빈도가 가장 높고, 화성암에서 가장 낮았다. 지질구조로 볼 때, 태백산맥으로부터 서쪽 $11{\sim}20km$ 거리에 가장 많이 분포하며. 적종하천이나 적종하천에 유입하는 지류의 하구부, 즉 단층선에 직교하는 하천에서 곡류절단이 가장 활발하였다. 태백산맥에서의 거리와 해발고도와의 관계는 영서하천에서 매우 뚜렷하고, 하상비고 및 절단면 면적과의 관계에서는 태백산맥에서 서쪽 12km를 기준으로 동서로 갈수록 값이 작아진다. 기반암 종류에 대한 해발고도. 하상비고, 하천차수와의 관계는 공통적으로 퇴적암 지역에서 값이 가장 높으며, 화산암 지역에서 가장 낮다.

내린천 상류 유역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lingensis) 서식지 자연성 평가 (Evaluation on Watershed Natural Habitat Assessment for Conservation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in Naerin Upstream)

  • 김정은;이황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3호
    • /
    • pp.73-84
    • /
    • 2023
  • 본 연구는 수생태계 생물다양성과 자연 서식지 환경을 유역 수준에서 평가하기 위해 수질과 수생태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지표별 결과 특성을 분석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자연성 평가체계는 인간 활동에 의한 교란, 서식지 다양성, 생물다양성, 생태계 구조의 4가지 평가분야와 7개 세부 평가지표로 구성하였다. 하천 생태계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평가 대상 생물군으로 어류를 활용하였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열목어와 최대 서식지인 계방천과 내린천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수역은 대부분 하천차수가 낮은 산간계류 형태로 열목어의 공서어종은 금강모치와 참갈겨니로 분석되었다. 자연성 평가 결과, 교란 현황 분야에서 본류보다 지류에서 제방 식생이 안정적인 환경을 보였으며, 외부 교란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식지 다양성 분야에서는 서식지 평가 지수가 평균 200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최적의 생물서식 환경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다양성 분야에서는 민감종의 비율이 높고,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며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로 분석되었다. 생태계 구조 분야에서는 생태지표특성 메트릭과 멸종위기야생생물의 출현에 따른 점수 편차가 큰 특성을 보였으나, 대체로 하천생태계 건강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목어의 출현 유무에 따라 서식지 환경에 차이를 보이면서 자연성 평가 결과에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 변화 관찰 목적에 따라 자연환경 변화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하천생태계보전을 위한 평가체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