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exana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현미취반시 생성되는 n-hexanal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및 정량 (Analysis of n-Hexanal in Headspace Vapor over Cooked Brown Rice by Direct Vapor Injection Gas Chromatography)

  • 신명곤;이준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06-408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현미취반시 생성되는 고휘발성 향기성분중 고미취의 주성분인 n-hexanal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및 정량방법을 개선하였다. 개발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운전조건하에서 n-hexanal의 분리를 시도한 결과, n-hexanal은 다른 고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가 되었고, 특히 n-hexanal의 머무름시간(retention time)은 3.5분으로 아주 빨리 분리가 되었다. 그리고 Direct vapor injection 방법에 따른 n-hexanal의 정량시 각 시료의 n-hexanal 값은 10%이내의 오차를 보여주어, 고휘발성 향기성분중 n-hexanal의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 PDF

젖산발효가 땅콩유(乳)의 n-Hexanal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Fermentation on the n-Hexanal Content of Peanut Milk)

  • 이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6-149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lactic-fermentation of peanut milk on n-hexanal content. Changes in viable cell populations, pH and titratable acidity indicated that there was a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during fermentation. The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s revealed that n-hexanal nearly disappeared due to fermentation.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was more effective than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in reducing the n-hexanal content.

Effects of Cooking on the n-Hexanal Content of Peanut Milk

  • Lee, Ch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97-199
    • /
    • 2001
  • The effects of cooking peanut kernels before grinding on the n-hexanal content of peanut milk was investigated.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s revealed that n-hexanal was greatly reduced by cooking peanut kernels before grinding. Total solids and protein content tended to decrease as cooking time was increased. The most satisfactory condition of cooking peanut kernels for preparing peanut milk was 10 min.

  • PDF

가공조건에 따른 땅콩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The Changes in the Physicso-Chemical Properties of Peanut Milk by Processing Conditions)

  • 이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9-203
    • /
    • 2001
  • 땅콩유 제조시 땅콩의 침지시에 NaHCO$_3$를 첨가하는것과 분쇄전에 땅콩을 열처리하는 것이 n-hexanal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headspace gas chromatgraphy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쇄전에 땅콩을 열처리한 경우에는 n-hexanal함량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며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n-hexanal 함량도 감소하지만 땅콩유중의 충고형분과 단백질함량도 함께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볼 때 콩비린내의 원인물질 중의 하나인 hexanal 함량의 감소를 위해서는 두유의 경우처럼 분쇄전에 땅콩을 열처리하는 것은 필수적이지만 지나친 열처리는 땅콩유는 단백질함량을 감소시켜 영양가가 저하시키므로 땅콩을 10분간 가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가공조건이라고 판단된다.

  • PDF

젖산발효가 땅콩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ctic-fermentation on the Quality of Peanut Milk)

  • 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9-443
    • /
    • 2001
  • The effect of fermentation of peanut milk with lactic acid bacteria on n-hexanal content was investigated. Changes in p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populations indicated that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was adapted better than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during fermentation.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s revealed that n-hexanal, which is one of the compounds responsible for undesirable green/beany flavor in peanut milk, completely disappeared as a result of fermentation.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was more effective than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in reducing the n-hexanal cont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water sorption between fermented and unfermented peanut milk.

  • PDF

대두의 데치기와 발아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nching and Germination of Soybeans on the Quality of Soymilk)

  • 하상도;김성수;박철수;김병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5-489
    • /
    • 1991
  • 대두의 데치기 및 발아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두를 일단 데치기한 것, 일정한 기간 발아시킨 것, 그리고 일정기간 발아시킨 후 데치기한 것을 원료로 하여 두유를 제조하여 그 품질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데치기처리는 수율, 고형분, 함량, 점도, 총단백질 및 가용성질소 함량, 총당질 함량 등에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유리당의 함량의 경우만 다소 증대효과를 가져왔고 비중과 pH에는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데치기처리는 두유의 관능검사 성적을 향상시켰으며 n-hexanal 함량도 약 1/2.4로 감소시켰다. 발아처리는 두유의 수율, 물리적 및 화학적 품질, 그리고 관능검사성적 등 모든 면에서 큰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n-hexanal 함량도 대조구에 비해서 약 1/5로 감소시키는 대단히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발아 후 데치기처리한 것은 대부분의 두유화학성분함량이 대조구보다 오히려 낮았으나 수율, 고형분량, 유리당함량 등은 대조구보다 높았고 특히 n-hexanal 함량은 대조구의 약 1/10로 처리구 중 가장 낮았고 두유의 관능적검사성적도 발아-데치기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의 pH는 발아 및 데치기처리에 의하여 다소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 PDF

현미의 포장 저장 중 지방산 조성 및 헥사날의 변화에 의한 저장성 예측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 한재경;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97-903
    • /
    • 1996
  • 현미를 투습, 투기성이 없는 플라스틱 필름 적층 4겹 포장재에 넣고 저장 온도와 기간을 달리하면서 지방산의 산화와 헥사날에 의한 저장성을 예측하였다. 지방산도는 저장온도가 상승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졌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4.7 kcal/mole이고, $Q_{10}$값은 2.22였다. 현미의 지방질 구성 지방산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이고 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대부분이었으며, 저장 온도가 상승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in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나 ole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eadspace 기체 중의 헥사날도 저장 온도, 저장 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8.36 kcal/mole이고 $Q_{10}$값은 2.84이었다. 또한, 현미의 저장 중 헥사날의 생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와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볼 때, 실온$(21^{\circ}C)$에서 현미의 저장성은 헥사날에 의해 80일, 지방산도에 의하여 60일로 예측되었다.

  • PDF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잎의 정유성분 변이 (Variation of Volatile Composition in the Leaf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 조민구;장진성;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2-166
    • /
    • 2002
  • 산초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주요성분은 hexana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으며, 특히 estragole은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lph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중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수목원에서 월별 변화를 보이는 성분을 관찰한 결과. 산초는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이였으며, 초피는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이였다. 그러나 지역별 채집한 개체에 나타났던 estragole이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나무 잎에서 미량으로만 존재한 이유는 열매를 맺지 못할 정도의 어린나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estragole 성분은 열매를 맺는 시기에 증가되는 성분이라 사료되었다.

An in vivo Study of Lipid Peroxidation in Rats under Conditions of Oxidative Stres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Probucol

  • Kim, Songsu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94-9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vivo lipid peroxidation in rats under conditions of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probucol. In vivo lipid peroxidation was observed by measuring low molecular weight aldehydes and related carbonyl compounds in rat urine. Three groups of male Wistar rats weighing 165-190 g were used: normal (N),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stress (OS) and oxidative stress plus probucol treatment (P). following streptozotocin treatment of the rats, a variety of secondary lipid peroxidation products were increased. The levels of butanal, hexanal, hex-2-enal, kept-2-enal, octanal, non-2-enal, deca-2,4-dienal, 4-hydroxyhex-2-enal, 4-hydroxyno n-2-enal, malondi aldehyde(MDA), and unknown carbonyl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xidative str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reatment with probucol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buoal, hexanal, hex-2-enal, octanal, deca-2,4-dienal, 4-hydroxyhex-2-enal, MDA and unknown carbonyl compounds. Hept-2-enal, hepta-2,4-dienal and non-2-enal appeared to have a tendency to decrease due to pobucol treatment.

저장중 현미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uring Storage)

  • 신명곤;민봉기;김동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6-280
    • /
    • 1991
  • The quality changes of brown rice during storage were determined by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of n-hexanal, amylogram, texture and volume expansion. The qualities of stored brown rice were also analyzed with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milled rice obtained from brown rice, n-Hexanal content, peak viscosity and total setback of brown rice flour pastes increased substantially with the increased of storage period at 35$^{\circ}C$. Up to 10 months of storage at 35$^{\circ}C$, stale flavor obtained by a sensory method markedly increased, but stickiness decreased. The scores of overall preference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stale flavor (r=-0.98) and sticky texture (r=0.98).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ale flavor obtained by a sensory method and instrumetal analysis for stored brown rice was r=0.9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