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celial cultivation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2초

잣버섯 봉지재배시 영양원이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According to Supplementary Nutrition in Bag Cultiv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 장명준;이윤혜;주영철;김성민;구한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1-174
    • /
    • 2011
  • 적정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5가지의 재료(옥수수가루, 옥수수피, 콘코브, 비트펄프, 감자전분)를 이용하여 재배실험을 실시한 결과 혼합배지의 총 질소함량은 옥수수가루 첨가구가 0.45%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율과 재배일수는 옥수수가루 처리구에서 배양율 97%로 가장 좋았고, 재배기간 43일로 가장 짧았다. 그리고 옥수수가루 처리구에서 수량은 122 g/1 kg 봉지, 생물학적효율은 3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자실체 생산량에 관여하는 인자 분석에서는 총 질소함량 (r = 0.95)과 조지방(r = 0.6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잣버섯 재배는 배지 영양원으로 옥수수가루와 자실체 생산량에 관여하는 인자로 총질소함량으로 판단된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병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ellinus baumii Grown in Bottle)

  • 류영현;조우식;이진만;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4
    • /
    • 2004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은 현재 원목재배가 주종을 이루는 있는데 자실체 생육기간이 길고 원목수급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톱밥의 경우 목재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톱밥병재배을 실시하였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톱밥병재배를 실시한 결과 참나무톱밥 + 미강(4 : 1)배지가 배양속도와 균사밀도는 가장 높았지만 자실체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반면에 참나무톱밥 100% 배지는 균사밀도와 배양속도는 낮았지만 병배지에서 자실체를 형성할 수 있었고 850 ml병에 비해서 1,100 ml 병 처리가 수량성과 생체효율이 약간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생육온도에 따른 잣버섯의 생육특성 구명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fruit body in Neolentinus lepideus)

  • 장명준;이윤혜;전대훈;주영철;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1-23
    • /
    • 2013
  • 잣버섯 생육환경조건 중 생육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생육온도 $20^{\circ}C$에서 상품수량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 내었으며 다음과 같다. 생육온도에 따른 갓의 명도값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적색도 및 황색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대의 경도 및 깨짐성은 17 및 $20^{\circ}C$에서 높았다. 잣버섯의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생육특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발이유도기 및 자실체의 발생기간이 빨랐으나 수량은 모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품수량의 경우 20에서 가장 높았다. 갓크기는 생육온도 $20{\sim}23^{\circ}C$에서 $17^{\circ}C$ 보다 컸고, 대굵기는 $17^{\circ}C$에서 가장 굵었다.

Analysis of Fungicide Sensitivity and Genetic Diversity among Colletotrichum Species in Sweet Persimmon

  • Gang, Geun-Hye;Cho, Hyun Ji;Kim, Hye Sun;Kwack, Yong-Bum;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15-122
    • /
    • 2015
  •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gloeosporioides; Teleomorph: Glomerella cingulata), is the most destructive disease that affects sweet persimmon production worldwide. However, the biology, ecology, and genetic variations of C. gloeosporioides remain largely unknow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fungicide resistance and genetic diversity among an anthracnose pathogen population with different geographical origins and the exposure of this population to different cultivation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50 pathogen isolates were tested in fungicide sensitivity assays. Five of the tested fungicides suppressed mycelial pathogen growth effectively.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ies exhibited by the pathogen isolates examined. Interestingly, the isolates obtained from practical management orchards versus organic cultivation orchards showed no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the same fungicide.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ct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and the ${\beta}$-tubulin and glutamine synthetase genes of the pathogens examined. Both the glutamine synthetase and ${\beta}$-tubulin genes contained a complex set of polymorphis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athogens isolated from organic cultivation orchards were found to have more diversity than the isolates obtained from the practical management orchards.

느타리버섯 볏짚 배지(培地)에 발생(發生)하는 유해균류(有害菌類) (Harmful Fungi Associated with Rice Straw Media for Growing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98
    • /
    • 1987
  •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에 발생하는 유해균류(有害菌類)를 조사하고 그중 발생(發生) 및 피해(被害)가 큰 균류(菌類)의 배양적(培養的) 성질에 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에서 12종류(種類)의 진균류(眞菌類)가 분리(分離)되었는데 그 중 Trichoderma, Aspergillus, Rhizopus 등은 발생빈도(發生頻度)가 높고 발생양(發生量)도 많았다. 2.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에서는 7종(種)의 Trichoderma가 동정되었는데 발생빈도(發生頻度)는 T. pseudokoningii, T. aureoviride, T. viride, T. harzianum, T. koningii의 順이었다. 3. 유해균류(有害菌類)의 발생(發生)은 일반 버섯재배사(栽培舍)에서 재배회수(栽培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많았고 추기재배(秋期栽培)보다는 춘기재배(春期栽培)에서 심하였다. 4. 볏집추출배지(抽出培地) 및 느타리버섯 추출배지(抽出培地)에서 Trichoderma, Aspergillus, Rhzopus 등 공시한 균들의 균사생장과 분생포자의 형성이 양호한 결과를 보이므로서 볏짚배지(培地) 및 균상(菌床)의 버섯과 그 파열물들이 균류(菌類)의 발생(發生)에 알맞는 조건을 부여하였다. 5. Trichoderma spp.는 톱밥추출배지(抽出培地) 및 미강추출배지(米糠抽出培地)에서 생장(生長)이 극히 양호하여 균상(菌床)에 접종(接種)한 종균(種菌)은 균류(菌類)의 배지(培地)가 되었다.

  • PDF

Phellinus gilvus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 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gilvus)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0
    • /
    • 2000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s)은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본초도감에서는 비장강화, 위장활성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한다. 온도별 배양결과 $30^{\circ}C$에서 69 mm/14일(PDA배지) $25^{\circ}C$에서는 42 mm/14일(PDA배지)로 나타났으며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와 MCM 배지에서 38 mm/14일, 34 mm/14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pH\;6{\sim}7$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참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4 mm/14일 정도였으나 소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7 mm/14일 정도로 참나무추출물배지에 비해서 매우 느렸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5:5)과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미강(4.5:4.5:1) 등에서 균사생장이 좋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20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100%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90일 정도였다. 자실체 수량은 참나무원목에서 180 g, 소나무원목에서 29 g, 사과나무에서는 150 g 정도로 나타났으며 생체수율은 각각 24%, 9%, 15% 정도였다.

  • PDF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Oudemansiella mucida on the Oak Sawdust Medium

  • Lee, Geon-Woo;Jaysinghe, Chandana;Imtiaj, Ahmed;Shim, Mi-Ja;Hur, Hyun;Lee, Min-Woong;Lee, Kyung-Rim;Kim, Seong-Hwan;Kim, Hye-Young;Lee, U-You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26-229
    • /
    • 2007
  • To produce fruiting bodies of Oudemansiella mucida, porcelain fungus, on the oak sawdust medium, additives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were screened. In general, the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strains of O. mucida used in this study have been good on oak sawdust mixed rice bran of $20{\sim}30%$. The mycelia incubated in potato dextrose broth for 7 days were inoculated o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ratios of rice bran and incubated for 30 days at $25^{\circ}C$ in the dark condition until the mycelia of O. mucida fully colonized the media from top to bottom. Then, top surface of the media in the bottles were horizontally scratched with a spatula and filled with tap water for 3 hours. To induce the primordial formation of O. mucida, the bottles were transferred to the mushroom cultivating room under 12 hrs of light (350 lux) and dark condition with relative humidity of 95% at $17^{\circ}C$. The primordia of O. mucida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oak sawdust media after 7 days of incubation. The mature fruiting bodies were observed 5 days after primordial formation. The fruiting bodies O. mucida were formed on oak sawdust medium mixed with 5 to 30% rice bran. However, abundant fruiting-bodies of O. mucida were produced i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20% rice bran. This is the first report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fruiting body production of O. mucida in Korea.

황갈색시루뻔버섯(Inonotus mikadoi)의 균사체 배양 최적 조건 및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ptimized Culture Condition of the Mycelia of Inonotus mikadoi.)

  • 최수정;김성준;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0-103
    • /
    • 2004
  • Inonotus mikadoi IMSNU 32058의 최적 균사생장을 위한 배양학적 특성 및 세포효소 활성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장을 위한 최적온도는 $27^{\circ}C$였고, 실험한 pH 범위중pH 4.5에서 최적균사 생장을 나타내었다. 사용된 복합배지 중 malt extract media (MEM)와Phellinus igniarius media (PIM)에서 가장 좋은 균사 생장을 나타내었다. 최소배지로써 Czapek-Dox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으로 단당류, 이당류 및 다항류를 침가하였을 때 xylose, raffinose 및 carboxymethyl cellulose (CMC)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유기질소원이 무기질소원보다 생장을 더 촉진하였다.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soytone, proteose peptone 및 bacto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우수하였다. 무기질소원으로는 ammonium sulfate를 사용했을 때 균사생육이 촉진되었으며, 가장 우수한 비타민원은 p-aminobenzoic acid (PABA)이었다. MEM 액체(pH 4.5) 배지를 이용하여 $27^{\circ}C$에서 5일간 배양하였을 때, I. mikadoi의 균사외 분비효소 및 균사내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균사내 분비 효소중 laccase 의 활성도가 다른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균사외 분비 효소도 균사내 분비효소와 마찬가지로 laccase의 활성도가 다른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protease, chitinase 그리고 lipase의 활성도는 낮거나 없었다.

느타리버섯균의 Trehalose 합성(合成)(I) -배양(培養) 조건(條件)- (Synthesis of Trehalose by Pleurotus spp. -Cultural conditions­-)

  • 홍재식;윤세억;김영수;이종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8-115
    • /
    • 1987
  •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P. sajor-caju와 P. osreatus 201의 배양조건(培養條件)을 달리하여 배양(培養)할 때 trehalose 합성(合成)과 균체양(菌體量)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Trehalose 합성(合成)에 적합(適合)한 탄소원(炭素源)은 양균주(兩菌株) 모두 glucose였고 그 다음이 maltose였으며 glucose 최적농도는 1%였다. 균체수률(菌體收率)이 높은 탄소원(炭素源)은 glucose, maltose 순이었다. 2. Trehalose 합성(合成)에 적합(適合)한 탄소원(炭素源)은 양균주(兩菌株) 모두 peptone 이었고 그 농도(濃度)는 0.05%였으며 균체수률(菌體收率)은 peptone, casamino acid, $(NH_4)_2HPO_4$ 순으로 높았다. 3. Trehalose 합성(合成)에 적합(適合)한 $NH_2HPO_4$$MgSO_47H_2O$의 농도(濃度)는 양균주(兩菌株) 모두 0.1%, 0.04% 였고 균체수률(菌體收率)은 $KH_2PO_4$ 0.2%, $MgSO_47H_2O$ $0.04{\sim}0.08%$가 높았다. 4. Trehalose 합성(合成)에 적합(適合)한 온도(溫度)와 pH는 $25^{\circ}C$, pH5.5였고 균체수률(菌體收率)은 $30^{\circ}C$, pH5.5에서 높았으며 trehalose 합성(合成)은 10일간(日間) 배양(培養)했을 때 균체수률(菌體收率)은 14일간(日間) 배양(培養)했을 때가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