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tard leaf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5초

가열쇠고기 지방질 산화에 대한 김치종류별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Kimchi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 최홍식;송은승;전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93-99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kimchi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in model systems. Model systems of cooked ground meat(CGM), CGM-Chinese cabbage kimchi(CK), CGM-radish kimchi(RK), and CGM-mustard leaf kimchi(MLK) were prepared and their oxidation were evaluated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for 5 weeks.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of CG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torage at 4$^{\circ}C$ for 5 weeks.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of CG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torage time, however, TBA value of CGM-CK, CGM-RK, and CGM-MLK lowered and that of CGM-MLK was lowest. Antioxidative effect of CGM-MLK increased with the addition levels of kimchi in the system. And also in the model systems which were prepared with CGM and MLK in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the antioxidative effect was highest in the properly fermented-kimchi.

  • PDF

The Relationshin between ACE Inhibitory Activity and Degradations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olsan Leaf Mustard Juice

  • Yoo Eun-Jeong;Choi Myeong-Rak;Lim Hyun-So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5호
    • /
    • pp.400-404
    • /
    • 2004
  • This Study was t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CE inhibitory activity and degradations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olsan leaf mustard juice (DLMJ). The changes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which were treated with autolysis, myrosinase, ascorbate and papain were studied, as well as the changes of ACE inhibitory activity in DLMJ. At $37^{\circ}C$, sulfur contain-ing materials by autolysis decreased most rapidly from $0.43\%$ to $0.13\%$ in the second day. Conversely. ACE inhibitory activity increased most from $66\%$ to $87\%$. in the second day at $37^{\circ}C$. As myrosinase concentrations increased more,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LMJ decreased more. The ACE inhibitory activities at 0, 0.5, 1, 2, and 4 Units of myrosinase for 240 min later were 70, 74, 75, 82, and $85\%$, respectively. At 1 mM ascorbate. concentrations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LMJ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on the second day than on the other days. At 1 mM ascorbate for 6 days, ACE Inhibitory activity reached a maximum of about $92\%$. And, an increase of papain concentration was noted in accordance with a decreased sulfur containing materials. The maximum rate of AEC inhibitory activity at control, 3, 6, and 12 Units of papains treatments was shown as 70, 70, 75, and $78\%$ at 60 mi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gradation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led to the increase of ACE inhibitory activity.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ACE inhibit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adatives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저장기간 중 돌산갓피클에서 Glucosinolates의 ACE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AC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Glucosinolates in Dolsan Leaf Mustard Pickle during Storage)

  • 손혜련;오선경;;최명락
    • KSBB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65-170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investigate that physiological activity, quantification and qualitative were sinigrin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 (DLMP) during storage. sinigrin contains high amounts of nutritional and medicinal compounds, which are important for maintaining optimum health. ACE inhibitory activity was ranged between 43.2 and 79.4%. DLMP methanol extracts demonstrated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at 79.4% on day 14, whereas DLMP ethanol extracts demonstrated highest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43.2% at day 0.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positive control 0.02% (v/v) acarbose was 78%. The DLMP methanol extracts had the high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t 64.0% on day 14, whereas DLMP ethanol extracts had the low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42.8% at day 28. Sinigrin was high in DLMP methanol extracts at $49.55{\mu}g/ml$ on day 14 of storage. Sinigrin standard was eluted at 2.73 min and MS analysis was m/z 283.03 along with fragment ions at m/z 204 and 149.06. These data show that sinigrin formed desulfo-glucosinolates $[M-SO_3-2H_2O+K+2H]^+$. Sinigrin concentration increased until day 14 and then decreased after that. DLMP methanol extracts had consistently higher sinigrin concentration than DLMP acetonitrile extracts during 28 days of storage.

RAPD 분석에 의한 여수 돌산갓의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 Based on RAPD Analysis of Yeosu Dolsan Leaf Mustard(Brassica juncea))

  • 이인호;박종인;정운섭;정효진;;노일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0
    • /
    • 2010
  • RAPD 방법을 이용하여 14의 돌산갓 품종의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39개의 random primer를 실험하여 그 중 7개의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를 선발 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은 0.2~3.5 kb 사이에서 재현성 있는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각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의 수는 2~27개로 다양하였고, 평균 8.7개였다. UPGMA 분석에 의해 14개 품종은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 결과들로부터 갓의 유전적 다양성 검토 및 $F_1$ 품종 생산을 위한 교배 조합 작성에 RAPD 분석은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적갓김치의 발효특성 및 항산화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 황정희;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9-101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적갓김치의 발효과정에 따른 발효특성과 항산화성을 규명하기 위해 갓김치와 가열 쇠고기를 이용한 model system을 만들어 쇠고기 지방질에 대한 항산화성을 살펴보았고 용매별로 추출한 김치성분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다. 적 갓김치는 15$^{\circ}C$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6일째 김치의 pH가 4.5에 도달하였다. 발효진행에 따라서 산도는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젖산균수 역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a-scorbic acid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가 발효 6일째에 다시 다소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생 시료에서보다는 갓김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 페놀함량은 증가하였다. 적 갓김치를 가열쇠고기와의 model system을 조제하여 TBA가를 통해 항산화성을 살펴본 결과 첨가한 김치의 양이 많을수록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시료일 때보다는 김치의 항산화성이 우수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된 숙성상태일 때 더 항산화성이 우수하였다. 동결건조시킨 적 갓김치를 물, 메탄올, 핵산 세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을 때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담금직후보다는 숙성된 상태의 갓김치가 항산화성이 높았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적겨자잎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효과 비교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Red Mustard (Brassica juncea L.)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이주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5-524
    • /
    • 201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air-dried red mustard (Brassica juncea L.) leaf (HR) and freeze-dried red mustard leaf (FR).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FR, and crude fat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highest in HR. However,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drying methods. Total free sugars were higher in HR compared with FR.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in both HR and FR. Contents of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HR compared with FR. The major organic acid of FR was malic acid, and the major organic acid of HR was malic acid. The conten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HR than in FR.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FR (10,187.22 mg%) compared with HR (9,815.80 mg%). Major minerals were K, Ca, and Na in the two drying methods. The contents of vitamins C and E in HR were higher than those in FR.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However, total flavonoid contents in HR were higher than in FR. The $IC_{50}$ values of FR and HR in ABTS assay were 0.89 mg/mL and 0.65 mg/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ll experiments suggest that HR and FR can be natural candidates as a rich source of antioxidants for further chemical investigation.

갓김치의 발효과정 중 Chlorophylls 및 Carotenoids의 변화와 동획분의 항산화성 (Changes in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of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n the Lipid Oxidation)

  • 송은승;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63-568
    • /
    • 1997
  • 갓김치의 발효과정 중 chlorophylls, chlorophyll de-rivatives 및 carotenoids의 함량 변화와 갓김치에서 얻어진 이의 조획분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다. 갓김치 발효기간에 따른 chlorophylls 및 carotenoids의 함량은 발효 7일 동안 chlorophylls가 pheophytins로 급격히 전환되었으며 chlorophylls와 함께 chlorophyllides는 높은 농도는 아니지 만 15일 까지는 존재하다가 그 이후 모두 pheophytins와 pheophorbides로 변했다. 갓김치 발효기간 동안 total chlorophylls에는 큰 변화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 되었으나 carotenoids는 발효 말기인 25일째에 초기 함량의 43.7%로 감소되었다. 갓김치에서 얻어진 chlorophylls와 carotenoids 조분획이 지방질의 자동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을 때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성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차 이는 없었다. 갓김치의 chlorophylls와 carotenoids 분획이 지방산의 산화에 대한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동안 chlorophylls와 caratenoids의 감소율을 비교했을 때 총 chlorophylls가 총 caratenoids 보다 안정성이 높았다.

  • PDF

저장기간 동안 돌산 갓 피클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s)

  • 손혜련;오선경;배상옥;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36-9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돌산 갓을 이용하여 저염 피클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및 관능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돌산 갓 피클을 −2℃에서 90일 동안 저장하였다. 염도는 1.63~1.85% 범위를 유지하였다. pH는 저장 0일째 약 4.5에서 저장 90일째 4.3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저장기간 중 60일째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약 1.1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색도의 L값은 잎에서 3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고, 줄기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a값은 증가하였고, 반면에, b값은 감소하여 갈변 현상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수는 0일째 DMP잎에서 1.4×103 CFU/ml, DMP 줄기에서 5.6×103 CFU/ml로 나타났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아삭거림이 30일째 감소하였고, 질긴 정도는 증가하였다. 신맛은 증가하였고, 짠맛은 감소하였다. 90일간 저장기간 동안에도 연부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최적의 돌산 갓 피클은 30일째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돌산 갓은 저염 피클제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수입 위주의 피클을 대체함과 동시에 돌간 갓을 이용한 식품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혼작을 이용한 유기농 배추 주요해충 발생경감 효과 (Effect of Inter-and mixed cropping with Attractant and Repellent Plants on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in Organic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 김민정;심창기;김용기;지형진;윤종철;박종호;한은정;홍성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85-699
    • /
    • 2013
  •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갓과 고추를 첨가한 저염 야콘 피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Yacon Pickles with Leaf-mustard and Pepper)

  • 심기훈;최옥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45-552
    • /
    • 2012
  • 3% 이하의 저염 농도에서 맛, 향미 및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갓과 고추를 첨가한 야콘 피클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이요인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도, 총산도 및 염도는 갓과 고추 첨가에 따라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시료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시료에서 당도, 총산도 및 염도는 증가하였다. 색도에서 L값은 갓과 고추 첨가에 따른 시료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a값과 b값은 갓과 고추 첨가에 따른 시료간 차이와 저장 기간에 따른 차이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L, a 및 b값 모두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야콘 피클의 절단력은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른 시료간에 차이가 없어 연부현상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관능검사에서 색, 맛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라서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향미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고, 질감은 갓과 고추 첨가와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염 야콘 피클은 저장 30일과 40일에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았고, 갓과 고추를 첨가한 야콘 피클은 다른 시료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부재료 첨가 유무와 저장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