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sel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초

수산물통조림의 살균조건에 관한 연구(1) 홍합 보일드 통조림 및 홍합 훈제 기름담금 통조림 (Evaluation of Thermal Processes for Canned Marine Products (1) Canned Boiled Sea-mussel in Brine and Canned Smoked Sea-mussel in Oil)

  • 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9-164
    • /
    • 1984
  • 수산물통조림의 살균조건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홍합 보일드 통조림(평1호부) 및 홍합 훈제 기름담금 통조림(각 3호 B관)에 대하여 업계에서 적용하고 있는 살균조건하에서 열전달치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F_0$값을 산출하여 검토하였다. 홍합 보일드 통조림 (평 1 호부)의 $F_0$ 값은 25.33이었고, 홍합 훈제 기름담금 통조림(각3호 B부)의 $P_0$값은 13.84로, 모두 Clostridium botulinum A 형균의 치사치인 $F_0=4.03$을 충족시키고도 남는 높은 살균강도였다. 특히, 홍합 보일드 통조림(평 1 호관)은 홍합 훈제 기를담금 통조림(각 3호 B관)에 비하여 훨씬 강한 살균강도로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제품에 있어서 살균온도 및 살균시간이 변동하는데 따라서 $F_0$값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살균온도별로 $F_0$값에 따른 B값을 산출하여 그 nomograh를 작성하였다.

  • PDF

돼지 육골분 및 진주담치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제조 및 칼슘 결합 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calcium-binding peptides from porcine meat and bone meal and mussel protein hydrolysates)

  • 정승훈;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7-302
    • /
    • 2015
  • 저활용 단백질로부터 칼슘 결합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돼지 육골분과 진주담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 효소인 alcal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고, 체내 흡수가 용이한 3 kDa 이하로 한외여과 하였다. 돼지 육골분 가수분해물은 Mono Q 컬럼을 통해 분리하였고, 진주담치 가수분해물의 경우 Q-Sepharose로 분리 하여 각각 2개, 3개의 peptide fraction을 얻어 각 fraction의 칼슘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BM F2와 Mussel F3에서 가장 높은 칼슘 결합력을 나타내었고,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가수분해물들은 칼슘 보충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패류의 가공적성 4. 진주담치의 가공적성 (SUITABILITY OF SHELLFISHES FOR PROCESSING 4. Suitability of Mussel for Processing)

  • 이응호;김우준;김세권;조덕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26
    • /
    • 1980
  • 가공적성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진주담치의 년중 월별 비만도와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도는 $12\~4$월이 높았다. 2. 글리코겐은 $12\~5$월까지는 $2.7\~3.9\%$로서 비만도의 지표인 F값과 G값이 높은 $12\~3$월 사이에 높았고, F값과 G값이 가장 높았던 3월과 12월에는 $3.9\%$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단백질 함량은 $7\~8$월에 가장 높았다. 3. 비만도 및 화학성분 측정결과로서 가공적성을 판정한다면 가공원료로서 여수 연안의 진주담치 채취적기는 $12\~4$월 및 $7\~8$월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홍합 단백질의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eolysis of Mussel Protein by a Commercial Enzyme Preparation)

  • 최인재;남희섭;신재익;이병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19-523
    • /
    • 1992
  • 공업용 protease를 이용하여 홍합을 원료로, 그 extract의 최적 제조조건과 효소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한 홍합 단백질 분해물 특징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6종의 protease 중, Corolase PP가 가수분해도 78.7%로 최대 가수분해도를 나타내었다. 원료의 전처리 공정으로 사용되는 precooking이 홍합이 가지고 있는 자기소화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전체 가수분해도를 저하시켰으며, 그 결과 precooking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가수분해도가 $5{\sim}8%$ 정도 낮았다. 효소반응에 따르는 홍합 단백질의 분해 pattern을 전기영동과 HPLC 분석에 의해 살펴본 결과, 반응이 경과함에 따라 분자량 100,000 dalton 이상의 고분자 홍합 단백질이 분해되어 분자량 66,000 dalton 이하의 새로운 분해산물이 나타났다. 분자량 30,000 dalton 이하의 단백질 분해 pattern에 있어서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8개의 주요 fraction이 나타났으며 분자량이 8,000 dalton인 fraction 6가 45.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홍합의 주요 아미노산인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lysine은 점차 감소한 반면, 소수성 아미노산인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의 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산생물 종류별 마비성 패류독소 축적 및 정화 (Accumulation and Depur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in Marine Organisms)

  • 목종수;오은경;손광태;이태식;이가정;송기철;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65-471
    • /
    • 2012
  • To compare the accumul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in different marine organisms, the occurrence and variation of PSP were surveyed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oyster Crassostrea gigas, short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and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collected from Jinhae Bay, Korea, in 2005 and 2006 year. We also investigated the ability of the blue mussel to detoxify PSP by relaying and depuration (via the water flow or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marine organisms examined, PSP levels were the highest in blue mussel, followed in order by bay scallop, oyster, short neck clam, and warty sea squirt. Comparing the maximum PSP levels in the bivalve species examined in 2005 and 2006, PSP in blue mussel was 1.6-2.0, 4.0-5.9, and 5.1-6.0 times higher than in bay scallop, oyster, and short neck clam, respectively. Therefore, blue mussel could be useful as a bioindicator for PSP monitoring. With the increasing PSP levels in blue mussel in 2006, the proportion of PSP in its digestive gland increased to 95.1% when the maximum level was detected from the whole tissues of blue mussel on May 29. Subsequently, the PSP proportion in the digestive gland decreased as the PSP level in whole tissue decreased. The detoxification of PSP in blue mussel was greatest with relaying, followed by the water flow, and water circulation systems. Relaying decreased the PSP level below the regulatory limit of $80{\mu}g$/100 g after 2 days in low toxic sample with $124{\mu}g$/100 g, and after 7 days in high toxic sample with $401{\mu}g$/100 g. During depuration in the blue mussel with $401{\mu}g$/100 g via the water flow system, the PSP amounts in the digestive gland decreased by about 50% after 1 day, and about 77% after 7 days. In contrast, the PSP amounts in the soft body, gill, and mantl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depuration.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홍합육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sel Stock with Different Heating Times)

  • 유수현;신경은;최수근;서윤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스나 수프 등의 기본재료가 되는 홍합 육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홍합의 각종 영양 성분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홍합 육수를 만들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 < 0.05)으로 낮아졌다. 색도측정 결과, L값은 MS1(35.48)이 가장 높았고, a값도 MS1(-2.39)이 가장 높았으며, b값은 MS5(-9.49)가 가장 높았다. pH는 MS5가 6.56으로 가장 낮아 가열시간이 증가 시 시료 간의 유의적(p < 0.001)인 차이를 보이며 낮아졌다. 당도는 MS3이 $4.03^{\circ}Brix$로 가장 높았고, MS1이 $3.37^{\circ}Brix$로 가장 낮았다. 염도는 MS1이 0.71%로 가장 낮았고, 가열시간이 증가 시 시료간의의 유의적인(p < 0.001) 차이를 보이며 염도가 높아졌다. 홍합육수의 특성차이검사 결과, 육수의 외관, 투명도, 비린냄새, 비린맛, 짠맛은 가열시간 증가 시 강하게 평가되었다. 감칠맛은 MS4가 4.33으로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홍합육수의 기호도 검사 결과, 맛,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는 MS3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가열시간 증가로 홍합육수의 기호도가 대체적으로 좋게 평가되었으며, 홍합육수 제조 시 가열시간이 15분일 때 기호도가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rmoluminescence (TL) of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Mussel

  • Yi, Sang-Duk;Oh, Man-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7-2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detection of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mussel could be could be done by thermoluminescence (TL) method. After the minerals were separated by sodium polytungstate solution (2.0 g/mL) from irradiated mussel, organic compounds remaining in the minerals were removed by acid-base treatment and dried at 50℃ overnight, and then the minerals were measured through TL. The TL intensities of separated minerals at different irradiation doses during storage conditions of room and darkroom were obtained. TL intensity of first glow curves for minerals separated from irradiated mussel showed linear increase from the control to 5 kGy and slight increase from 5 kGy to 10 kGy. Since glow curve ratios of G2, G3 and G4, calculated from re-irradiated minerals measured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and after storage of three months were over 0.5, detection of irradiation was possible. G1, which showed the glow curve ratios above 0.1, was classified as non-irradiated samples because the unique first glow curve was not found within the recommended temperature interval (150-230℃). Hence, on the basis of TL intensity, and glow curve ratio and shape, it is possible to correctly identify irradaited mussels after mineral separation during storage.

Physiological effects of biocide on marine bivalve blue mussels in context prevent macrofouling

  • Haque, Md Niamul;Kwon, Sung-Hy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3호
    • /
    • pp.136-143
    • /
    • 2016
  • Background: Mussels are stubborn organisms attached to solid substrata by means of byssus threads. The abundance of marine mussel Mytilus edulis in marine facilities like power stations was reason to select among fouling animals. Methods: Mortality patterns as well as physiological behavior (oxygen consumption, foot activity, and byssus thread production) of two different size groups (14- and 25-mm shell length) of M. edulis were studied at different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s ($1-4mg\;l^{-1}$). Results: Studied mussels showed progressive reduction in physiological activities as the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increased. Mussel mortality was tested in 30 days exposure, and 14 mm mussels reached the highest percentage of 90% while 25 mm mussels reached 81%. Produced data was echoed by Chick-Watson model extracted equation. Conclusions: This study points that, while it could affect the mussel mortality moderately in its low concentrations, hydrogen peroxide has a strong influence on mussels' physiological activities related to colonization. Therefore, hydrogen peroxide can be an alternative for preventing mussel colonization on facilities of marine environment.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패류 체내 산란 (Spawning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into the Mussel)

  • 송호복;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50
    • /
    • 1994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의 패류 체내 산란에 관하여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의암호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은 패류 체내 산란시 조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산란숙주로 선호하는 종이 있었으며 선호하는 종내에서는 큰 개체를 선택하였다. 산란숙주로는 석패과의 말조개, 작은말조개, 곳체두드럭조개, 작은대칭이 등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석패과의 도끼조개, 재첩과, 산골과의 패류에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조개 안의 어란과 자어는 대부분 내반새에 위치하였고 말조개에서 발견되는 어란과 자어의 수는 1-35개(마리) 사이였으며 한 개체당 평균 3.6개(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 종은 비교적 부화가 빠르고 부화 직후에 이미 표피상돌기와 익상돌기가 생성되어 있었으며 꼬리운동이 활발하였는데 이는 조개의 반새안에서 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된다.

  • PDF

박신 진주담치 수송 중의 품질변화 (QUALITY ORANGES IN SHUCKED SEA MUSSEL MYTILUS EDULIS)

  • 이병호;이종갑;최호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8-212
    • /
    • 1975
  •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keeping quality of shucked sea mussel, Mytilus edulis, during marketing under commercial handling. As quality factors, water holding capacity, pH, VBN and TMA content were measured. Water holding capacity was obviously affected by salt content of the sea mussel meat. Water was released at the salinity above $2.8\%$ and absorbed below the value. In case of distilled water added instead salt solution, $23.3\%$ weight was gained. Absorbing or releasing water of sea mussel meat was also influenced by temperature showing either water gain or loss was greater at, $3^{\circ}C\;than\;25^{\circ}C$. Osmotic quilibrium by salt between meat and liquor was held within 4 hours. The pH value of fresh sea mussle marked 6.0 which is somewhat lower when compared with that of other shellfishes, and it gradually decreased to 5.0 during storage. VBN contents of fresh muscle and shell liquor were $2.1mg\%$ and $1mg\%$ respectively. The sour odour began to be detectable with $5.0mg\%$ of VBN content. TMA in the sea mussel was not detec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