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instrumen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1초

해금 원산의 소재에 따른 음색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Variations of Haegeum's Timbres According to the Types of Wonsan)

  • 성기영;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91-302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국악기를 만드는 쇠, 돌, 실, 대나무, 박, 흙, 가죽, 나무 등 여덟 가지 재료를 모두 사용하여 만드는 유일한 국악기이자, 현재 퓨전 국악이나 대중음악 제작현장에서 그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국악기 중 하나인 해금의 음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적으로 해금이라는 악기의 구조와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또한 해금의 독특한 음색의 비교를 위해 동일한 조건하에서 현악기의 브릿지(Bridge) 역할을 하는 해금 원산의 소재에 따라 그 음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였다. 원산의 소재에 따른 종류로는 해금 연주자들이 자신의 악기 음색을 변화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박, 장미목, 메이플, 흑단으로 만들어진 4개의 원산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운지에 따른 영향력을 받지 않기 위해 안줄과 바깥줄의 개방현을 사용하여 녹음하였으며, 음역대의 비교를 위해서는 각각의 원산을 교체하여 저음, 중음, 고음을 연주하여 녹음하였다. 녹음된 결과물을 바탕으로 4종류의 원산이 가지고 있는 주파수 특성과 배음의 구성을 살펴보았으며, 원산의 종류에 따라 해금의 음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악 관현악곡이나 해금 앙상블 연주 시 기존 연주자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원산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연주하는 곡의 특성이나 음악의 성부에 따른 음색을 비교하여 적합한 원산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대중음악 제작현장에서도 작품에 어울리는 해금의 음색을 다양한 원산의 조합으로 찾을 수 있다면 음향적으로도 조화로운 작품을 연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 (The Identity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 임혜정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749-774
    • /
    • 2019
  • 향제 삼현육각을 발굴하고,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필요조건으로서의 향제 삼현육각의 정체성 규명 작업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궁중에서 전승되었던 삼현육각과 구분되는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에 관해서 논의해 보고자 했다. 우선 악기편성과 관련된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유동성"을 꼽아볼 수 있겠다. 각 지역의 연주자 및 연주 환경에 따라서 가변적인 형태로 연주되고, 변화되어 온 것이 향제 삼현육각 악곡편성의 특징인 것이다. 피리 둘, 해금, 대금, 장구, 북의 삼현육각 기본 악기편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나타났던 것은 주로 궁중에서 연주된 삼현육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다르게 향제 삼현육각에서는 상황에 따라서, 또는 연주되는 장르에 따라서 이들 악기 중 일부가 생략되기도 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가야금, 아쟁, 단소, 퉁소 등이 편성되기도 했다. 다음으로 악곡구성과 관련해서 향제 삼현육각의 음악들은 용도가 같으면 주로 같은 악곡명의 음악이 연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거상악의 가변성을 들 수 있다. 향제 삼현육각 중 거상악의 용도로 연주된 음악은 주로 대풍류였지만, 자진한잎이나 염불, 그리고 대풍류 중에서도 앞의 느린 악곡들을 생략한 염불도드리 이후 곡, 상령산을 본 딴 자유리듬의 곡 등으로 대체가 가능한 음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각 지역별로도 달랐겠지만, 각 지역 안에서도 무속음악, 사가의 연향, 향교의 제사 등 어떤 상황 속의 거상인지에 따라서도 음악이 달라졌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긴염불>, <굿거리>, <타령> 등의 경우에 비추어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향제 삼현육각 음악의 연원과 관련해서는 궁중에서 연주되던 삼현육각 음악 외에 각 지역에서 연주되고 있는 무속 음악이나 민요 등과의 관련성이 특징 중 하나로 고려되어야 한다. 물론 이는 향제 삼현육각의 개별 악곡별로 구분해서 더 논의를 진행시킨 후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각 지역 간의 향제 삼현육각의 교류와 관련해서는, 주로 장단에 대한 공유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보는 바이다.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 중 민족음악 요소 연구 『목마의 노래』와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A Study of Ethnomusicological Elements in Modern Chinese Clarinet focus on 『the Shepherd Horse』 and 『the Voice of the Pamir』)

  • 증광;안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61-272
    • /
    • 2022
  • 중국의 오랜 역사 과정에서 풍부하고 소중한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은 형성되었다. 각 민족은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자연환경과 특수한 생활과 생산 방식에 따라 자기만의 세계관과 음악 문화를 만들어 냈다. 클라리넷은 서양 악기로서,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에서 중국 소수민족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왔다. 따라서 음악가들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 중의 여러 요소를 표현하는 데에 서양 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본 논문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의 요소를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 클라리넷 작품 작곡가 왕염의 『목마의 노래』와 작곡가 호벽정의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 유래, 작품에 나타난 예술적인 표현 특징 등 두 측면에서 클라리넷에서 표현되는 민족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민족음악의 모드 음계, 박자, 리듬과 선율의 표현기법, 그리고 소수민족 전통 악기를 모방한 소리의 특징 등 다섯 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역, 생산, 생활, 민족 정서 등과 접목하여 작품에 사용된 타지크족과 몽골족 음악에 나타난 민족문화의 특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의 음악 스타일을 습득하고자 하는 창작자와 연주자에게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서양 악기로 중국 전통 음악을 연주할 더 좋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수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89-110
    • /
    • 2016
  •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 주간보호센터에 소속된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는 20대 후반 자폐범주성장애 1급 성인 남성 3명이다. 단일대상연구설계 중 참여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총 3개월 동안 각 참여자별로 기초선, 중재, 유지 구간을 포함하여 총 25회기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에 조작적으로 정의된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 행동을 매회 기 촬영된 동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관찰 및 측정하였다. 각 참여자는 음악적 환경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 및 반응 행동 시점을 알려주는 음악구조와 큐에 의해 구조화된 상호적 악기 연주에 참여하였는데, 중재 이후 모든 참여자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 반응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적 악기 연주가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음악적으로 전달된 사회적 정보가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그룹원의 의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성 향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멀티미디어 입출력 서버를 위한 오디오 변환 필터 (Audio Transformation Filter for Multimedia I/O Server)

  • 조병호;장유탁;김우진;김기종;유기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6호
    • /
    • pp.580-58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음성 입력으로 받아들인 멜로디를 MIDI 데이타로 변환하는 필터의 설계 방법과 분산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동작하는 입출력 서버 시스템인 MuX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MuX는 다양한 입출력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장치 독립적인 DLM(Dynamic Linking Module)을 사용하는데, 현재 MuX 시스템의 입출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웨이브 형식의 오디오 DLM과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DLM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람의 음성을 MIDI 데이타로 변환해주는 필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MIDI 데이타의 입력 방식이 파일이나 MIDI 악기 외에도 사람의 음성 데이타로도 가능하므로 악기 연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MIDI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고, 미디어의 표현력이 증가되어 다양한 응용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사보 프로그램의 적절한 반주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Generating Suitable Accompaniment in Score-writers)

  • 남용욱;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1-39
    • /
    • 2016
  •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악보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는 사보 프로그램도 많이 발전했다. 음표, 코드, 악보 기호 등을 편리하게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들어볼 수 있는 재생기능도 제공하여 현재 만들고 있는 악보를 연주하면 어떤 음악이 나올지 알 수 있다.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사보 프로그램들은 악보를 보기 좋게 만들어주고 음표 재생도 VSTi(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를 이용하여 잘 해주지만, 코드(Chord) 반주 기능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표기한 코드가 맞는지 알아보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음악 코드를 적절하게 반주해줄 수 있으면 멜로디와 코드 중심으로 이루어진 밴드 음악 악보를 만드는데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보 프로그램의 코드재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피아노 코드 톤을 적절히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코드 연주 기능이 강화되어 밴드 음악 악보를 만드는 악보 편집자들이 더 편하게 악보를 제작할 수 있다.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Classification Using Sample and MIDI Phrases

  • Lee, JongSeol;Lee, MyeongChun;Jang, Dalwon;Yoon, Kyoungr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4호
    • /
    • pp.1869-1886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MIDI- and audio-based music genre classification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 are many traditional instruments in Korea, and most of the traditional songs played using the instruments have similar patterns and rhythms. Although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music genre classification and audio melody extraction have been studied,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pop, jazz, rock, and other universal genres. There are few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of the lack of datasets. This paper analyzes raw audio and MIDI phras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ed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he classified samples and MIDI, based on our classification system, will be used to construct a database or to implement our Kontakt-based instrument library. Thus, we can construct a management system for a Korean traditional music library using this classification system. Appropriate feature sets for raw audio and MIDI phrases are proposed and the classification results-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support vector machine, multi-layer perception,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are outlined in this paper.

예술학교 음악실의 음향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oustics Characteristics of a Music-room of School of Arts)

  • 국정훈;윤재현;정철운;김재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8-272
    • /
    • 2007
  • As Music Room in Art School is mainly for exercise of musical instrument rather than any lecture or music appreciation, it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with Acoustic Condition on the preferential basis. However, in case of Music Room in Art School that has been built already or latest newly constructed, since it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out any reflecti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it appeared as inadequate for them to enjoy music appreciation or performance activity. On such view poin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hysical Acoustic Characteristics for the subjects on those Music Rooms of Art Middle School, Art High School, Art College built in Cheonbuk Province, and it is deemed that the material grasped in such way could be utilized as the valuable data enables to improve Acoustic Performance at the time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on or renovation for Music Room hereafter.

  • PDF

대금의 청(淸) 울림에 따른 음색 및 노이즈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imbre and Noise of Daegeum by Cheong Vibration)

  • 윤지원;조희영;조형제;김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354-1360
    • /
    • 2006
  • 대금은 주요 국악기 중 유일하게 청을 사용하는 악기로 청의 특징은 대금의 음색을 합성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에 청의 울림에 따른 대금의 배음 변화를 비교 연구한 결과 약 일곱 번째 이상 배음들에서 음량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배음 변화를 제외한 노이즈 변화도 연구하여 청의 울림이 배음의 경우와는 달리 노이즈와는 무관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청 울림이 대금의 음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대금 음색의 합성을 위한 첫 단계로서, 대금 소리 합성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 PDF

전주(全州) 삼산유적(三山遺蹟) 출토 토제장구의 보존 (Conservation of Earthen Janggu Excavated from Samsan-ri, Jeonju)

  • 양은희;범대건;이영범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71-76
    • /
    • 2011
  • 전북 및 기타 지역출토 도·토제 장구의 특징과 구조를 비교하고, 전주 삼산유적에서 출토된 토제장구의 전반적인 보존처리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삼산유적 출토 토제장구는 유물의 3분의 1 이상이 결실되어 있으며, 생활유적에서 발견되어 실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구 중심부분의 X-ray 촬영을 통하여 제작기법을 알아보고, 결실된 부분은 석고를 사용하여 복원틀을 만든 후 EPOXY계 CDK-520으로 복원하였다. 복원 후에는 복원된 부분과 남아 있는 부분의 이질감을 없애기 위해 아크릴물감으로 색맞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