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eum collection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1초

Marasmioid and Gymnopoid Fungi of the Republic of Korea. 8. Gymnopus Section Levipedes

  • Ryoo, Rhim;Antonin, Vladimir;Ka, Kang-Hyeo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52-262
    • /
    • 2020
  • Collections of Gymnopus sect. Levipedes from the Republic of Korea have been studied. Two new species, Gymnopus dryophiloides and G. brunneodiscus, are described based on their macro- and micro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Three other species, referred to as Gymnopus spp. 1, 2, and 3, are distinguished as separate taxa without formal descriptions. Taxonomic and phylogenetic positions of all taxa have been inferred and confirmed by analyses of ITS and LSU sequence data. Their detailed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an identification key are provided.

Phylidorea crane flies(Diptera: Limoniidae) of Korea

  • Podenas, Sigitas;Park, Sun-Jae;Byun, Hye-W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47-60
    • /
    • 2022
  • This study is based on crane fly specimens collected during more than 80 years, from 1937 through 2019, and are in collections maintained at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at Korea University collection, Seoul, South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South Korea. Three species belonging to genus Phylidorea Bigot, 1854 originally were described from North Korea and in total four species were known from the Peninsula. Phylidorea (Phylidorea) multidentata (Alexander, 1938) is a Korean endemic. We are adding P. (P.) melanommata (Alexander, 1921) to the list of Korean species, which was previously recorded from Japan and Far East of Russia. We present general information on genus and subgenera, redescriptions of species based on Korean specimens, illustrations of both sexes, elevation range, period of activity, habitat information, general distribution, and a distribution map for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for each species.

대용량 저산소 농도 살충 챔버 시스템을 이용한 박물관 해충의 살충력 및 운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Disinfection and Operation of Large Scale Anoxic Chamber System for Museum Insects)

  • 오준석;최정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7-148
    • /
    • 2014
  • 질소와 아르곤을 사용한 대용량 저산소 농도 살충 챔버 시스템(내용적 $28m^3$)을 이용하여 박물관에서 발견되는 문화재 해충에 대한 살충력 및 운용성을 평가하였다. 질소 환경에서 저산소 농도 살충처리를 하였을 때 산소 농도 0.01%, 습도 50%의 환경하에서 나무 블록 속의 권연벌레 성충, 애벌레, 알의 완전 살충에는 $20^{\circ}C$ 15일, $25^{\circ}C$ 10일, $30^{\circ}C$ 7일이 소요되었다. 아르곤 환경에서는 $20^{\circ}C$ 10일, $25^{\circ}C$ 7일, $30^{\circ}C$ 5일이 소요되어, 질소 저산소 농도 살충처리는 아르곤에 비해 살충시간이 50% 더 소요되었다. 살충 시험 결과로부터 최적 살충 조건은 산소 농도 0.01%, 온도 $25^{\circ}C$, 습도 50%, 살충시간 21일로, 질소발생기로 대량의 질소를 자동 공급이 가능한 질소 저산소 농도 살충법은 대용량 저산소 농도 살충 챔버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최적 살충 조건에서 나무 블록, 면직물, 견직물, 한지 서적에 넣은 권연벌레의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 인삼벌레의 성충, 애벌레, 알락수시렁이 애벌레 및 사육함의 암검은수시렁이의 애벌레, 성충 그리고 쌀바구미 성충은 100% 살충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용량 저산소 농도 살충 챔버 시스템은 질소 저산소 농도 살충법으로 박물관 발생 문화재 해충의 완전 살충과 원활한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변화와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 -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을 중심으로 - (Changes in Exhibitions on the History of Balhae in Russian Museu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Narratives - with the focus on the Federal State Budgetary Institution of Culture "The Vladimir K. Arseniev Museum and Reserve of Far East History" -)

  • 정윤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54-79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의 발해학계에서 박물관 전시를 인식하는 논점이 중국에만 편중되어온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작성되었다. 따라서 러시아 박물관에서 개최된 발해사 전시구성 및 운영정책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여, 국가 간 발해사 이해를 넓힐 수 있는 해석과 표출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에 러시아의 발해사 전시를 대표하는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의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를 대상으로 시론적 연구를 시도해보았다. 우선 전시구성을 살펴보면, 상설전시는 지역사의 통시적 구성으로, 제1회 및 2회 기획전시는 러시아과학원 주요 소장유물을 포함한 발해사 주제별 구성으로 기획되었다. 전시 운영정책은 박물관 운영규정, 전시 운영인력, 전시 홍보전략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시가 개최된 배경과 역할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발해사 전시 개최 분기에 따른 지역사회의 정치·사회·문화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상설전시 개편분기에는 국제정상회의 개최지역에 대한 역사인식을 제고하고, 제1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다양한 정책주체들에 의해 한·러 합작 문화관광 현안을 견인하였으나, 제2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국내외적 외교전략 변화 등과 맞물려 홍보 및 연계행사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사 교과서 및 발해사 개설서를 분석틀로 삼고 전시 내용과 상호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시대별 내러티브에서는 교과서에서 분리되었던 말갈족과 발해국의 통합 연출이 확인된다. 주제별 내러티브 중 정치사 주제에서는 변방의 말갈족 전사 대신 발해의 중앙 관리로 연출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발해 영역도는 실증적인 조사자료 축적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물질문화 주제에서는 농업·수렵을 보여주는 동식물유체 자료의 보강을 제안해보았고, 대외 관계 주제에서는 통일신라 교류와 투르크계 주민 구성을 시사하는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사상문화 주제에서는 고구려 국가제사의례와 관련된 내러티브가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학계에서 아직 주목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이므로 추후 논의가 필요함을 지적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연구에 대한 공백을 메우고, 전시가 변화해온 맥락과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한국산 민태과 Grenadiers (대구목) 어류 4 미기록종 (Four New Records of Grenadiers (Macrouridae, Gadiformes, Teleostei) from Korea)

  • 김성용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6-117
    • /
    • 2009
  • 한국 동해안에서 채집된 민태과 어류 표본을 검토한 과정에서 Coryphaenoides(속명신칭: 긴가시민태속)에 포함되는 2종 Coryphaenoides marginatus(국명신칭: 큰눈긴가시민태), C. microps(국명신칭: 작은눈긴가시민태)과 Coelorinchus(속명신칭: 꼬리민태속)에 속하는 2종 Coelorinchus macrochir(국명신칭: 긴팔꼬리민태), C. formosanus (국명신칭: 타이완꼬리민태)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확인되어 사진과 함께 재기재하고 한국 동해안에 분포하는 민태과(Macrouridae) 2속 8종의 속 및 종검색표를 제시하였으며 지리적 분포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소장 전통 목가구의 연륜연대 및 수종 분석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of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현채;이광희;황근연;이해주;김희채;김성식;손병화;남태광;김요정;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4-94
    • /
    • 2012
  • We present the species and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Collection of Korea National Arboretum. Seven of thirteen were successfully dated. Chest with a flap door (84-55-1) was dated A. D. 1623. Others dated were cabinet (83-41-1: A. D. 1759), Chest with a turnover door (83-39-1; A. D. 1801),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A. D. 1843), Rice chest (82-27-3; A. D. 1849),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3-40-2; A. D. 1877), Chest with a flap door (84-50; A. D. 1918). Most of existing cabinets were made in 1800s. The 84-55-1 chest was one of the earliest pieces of furniture in the collections of Korea museums. The furniture is usually composed one species. The major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Bedside cabinet (83-41-1) and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were made from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Becasue they were dated by the tree-ring chronology of Mt. Bekdu, the timber of their boards could be from the area of Mt. Bekdu.

  • PDF

재앙적 예술과 그 도구화된 선별체계: 헌터 조너킨과 댄 퍼잡스키의 작품으로부터 (Catastrophic Art and Its Instrumentalized Selection System : From work by Hunter Jonakin and Dan Perjovschi)

  • 심상용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3호
    • /
    • pp.73-95
    • /
    • 2012
  • In terms of element and process, art today has already been fully systemized, yet tends to become even more systemized. All phases of creation and exhibition, appreciation and education, promotion and marketing are planned, adjusted, and decided within the order of a globalized, networked system. Each phase is executed, depending on the system of management and control and diverse means corresponding to the system. From the step of education, artists are guided to determine their styles and not be motivated by their desire to become star artists or running counter to mainstream tendency and fashion.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 exhibition, the level of artist awareness is considered more significant than work quality. It is impossible to avoid such systems and institutions today. No one can escape or be freed from the influence of such system. This discussion addresses a serious distortion in the selection system as part of the system connotatively called "art museum system," especially to evaluate artistic achievement and aesthetic quality. Called "studio system" or "art star system," the system distinguishes successful minority from failed absolute majority and justifies the results, deciding discriminative compensations. The discussion begins from work by Hunter Jonakin and Dan Perjovschi. The key point of this discussion is not their art worlds but the shared truth referred by the two as the collusive "art market" and "art star system." Through work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two artists refer to these systems which restrict and confine them. Jonakin's Jeff Koons Must Die! is avideo game conveying a critical comment on authoritative operation of the museum system and star system. In this work, participants, whether viewer or artist, are destined to lose: the game is unwinnable. Players take the role of a person locked in a museum where artist Jeff Koons' retrospective is held. The player can either look around and quietly observe the works, which causes a game-over, or he can blow the classical paintings to pieces and cause the artist Koons to come out and reprimand the player, also resulting in a game-over. Like Jonakin, Dan Perjovschi's some drawings also focuses on the status of the artist shrunken by the system. Most artists are ruined in a process of competition to survive within the museum system. As John Burger properly pointed out, out of the art systems today, public collections (art museums) and private collections have become "something unbearable." The system justifies the selection system of art stars and its frame of reference, disregarding the problem of producing numerable victims in its process. What should be underlined above all else is that the present selection system seriously shrinks art's creative function and its function of generating meaning. In this situation, art might fall to the level of entertainment, accessible to more people and compromising with popularity. This discussion is based on assumption and consciousness on the matter that this situation might cause catastrophic results for not only explicit victims of the system but also winners, or ones defined as winners. The system of art is probably possible only by desire or distortion stemmed from such desire. The system can be flourished only under the economic system of avarice: quantitatively expanding economy, abundant style, resort economy in Venice and Miami, and luxurious shopping malls with up-to-date facilities. The catastrophe here is ongoing, not a sudden emergence, and dynamic, leading the system itself to a devastating end.

  • PDF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조대 갱진(賡進) 자료 연구 (A Study of the Materials on Officials Composing Response Poems to the King'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허문행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258-277
    • /
    • 2024
  • 선의 국왕은 나라를 경영하거나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시(詩)로 남기곤 했다. 태종(太宗, 재위 1400-1418)·성종(成宗, 재위 1469-1494)·영조(英祖, 재위 1724-1776) 등 국왕은 신하들에게 직접 지은 시를 내리고 운자(韻字)를 맞추어 화답하도록 했는데, 이러한 군신 간의 문학적 교유를 갱진(賡進)이라 한다. 갱진과 관련한 자료는 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한 연대기자료, 역대 국왕들이 지은 글을 모은 『열성어제(列聖御製)』, 국왕이 갱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갱진첩(賡進帖)》, 갱진에 참여한 신하들의 문집 등에 다수 남아 있다. 이 중 《갱진첩》은 국왕과 신하의 갱진 직후에 제작된 것으로, 갱진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참석자 등 다양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갱진첩》은 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다수 소장되어 있는데, 현전하는 갱진첩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영조대 제작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연대기자료를 통해 영조가 52년의 즉위 기간 내 공식적으로 200여 차례가 넘는 갱진을 시행했음을 분석하고, 영조의 노년기에 해당하는 1769년(영조 45)부터 1776년(영조 52)까지 갱진이 대폭 증가하는 양상을 살폈다. 또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8~19세기 갱진 관련 자료 첩(帖)·책(冊)·현판(懸板)·병풍(屛風) 16건을 소개하고, 그중 영조대 제작된 《갱진첩》 8건을 중심으로 제작 배경과 내용 그리고 해당 작품의 특징에 대해 정리했다. 영조 연간 제작된 갱진 자료는 국가(또는 왕실)의 경사, 국정 운영, 군신 간의 문학 활동 등 당대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간의 연구 주제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opics among Library, Archives and Museums using Topic Modeling)

  • 김희섭;강보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9-3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의의 측면에서 지식정보제공이라는 공동의 임무를 수행하는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간의 협력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토픽 모델링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copus로부터 이들 세 기관을 동시에 다루는 논문 637편의 서지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서지정보 중에서 초록을 대상으로 NetMiner V.4를 통하여 총 5,218개의 단어를 추출한 후 토픽모델링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f-idf의 가중치에 따른 단어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보존(Preservation)'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을 통한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13개의 주제 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13개의 주제 영역을 네트워크로 표현한 결과 '리포지터리 구축(Repository Construction)'을 중심으로 기관간의 협력, 정보자원 보존을 위한 환경 구축, 정부차원에서의 제도와 정책 발굴, 정보자원의 생애주기, 정보자원의 전시, 정보자원의 검색 등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3개의 주제 영역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1998년 이전의 연구는 제도와 정책 발굴, 정보자원의 검색, 정보자원의 생애주기 등과 같이 특정 주제에 한정된 반면, 그 이후의 연구는 보다 다양한 주제를 다룬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산 다듬이벌레목의 분류학적 정리 (Taxonomic Review of the Psocids (Psocoptera) in Korea)

  • 페오판 소이수반;조건호;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9-76
    • /
    • 2017
  • 지금까지 한국산 다듬이벌레는 3개 아목(Trogiomorpha, Troctomorpha, Psocomorpha)의 7개 과에서 14종이 알려져 있다. 채집된 재료를 바탕으로 동정을 실시한 결과, 2개 아목에 속하는 다음과 같은 10종을 추가한다: [Troctomorpha] Amphientomidae: Ancylentomus macrourus (Li, 1997); [Psocomorpha] Amphipsocidae: Amphipsocus japonicus (Enderlein, 1906), Caeciliusidae: Valenzuela oyamai (Enderlein, 1906), Paracaecilius japonicus (Enderlein, 1906), Stenopsocidae: Cubipilis aphidiformis (Enderlein, 1906), Stenopsocus immaculatus (Stephens, 1836), Peripsocidae: Peripsocus didymus Roesler, 1939, Psocidae: Amphigerontia anchorae Li, 2002, Psococerastis tokyoensis (Enderlein, 1906), Trichadenopsocus alternatus Li, 2002. 이 미기록종들에 대한 성충 및 진단형질의 사진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