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mmy diseas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양송이와 신령버섯 미이라병 (Mummy Disease) (Characteristics of Mummy Disease on Agaricus bisporus and A. blazei in Korea)

  • 정재은;김우재;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89-192
    • /
    • 2002
  • 미이라병은 우리나라의 양송이 재배농가에서 오래 전부터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신령버섯 재배사에서 심하게 발생하였다 미이라병이 발생한 버섯재배 균상에서외국에서 보고된 전형적인 병징이 관찰되었다 즉 버섯의 갓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고, 버섯의 대의 내부가 변색과 함께 목질화되며, 대의 기부에 균사체가 과도생장하여 부풀고, 병든 버섯은 말라서 미이라가 된다 병든 버섯의 대의 내부조직을 얻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미 미이라병의 특징으로 보고된 바 있는 버섯균사세포내부에 많은 세균이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우리나라 주요 버섯재배지역인 충남 부여의 버섯재배농장에서 2000년 동안 미이라병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양송이의 갈색종 재배에서는 약 55%, 그리고 신령버섯 재배에서는 약83%의 빈도로 이 병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미이라병이 양송이와 신령버섯 재배의 중요한 병임을 암시하고 있다.

Prehistoric Pathoecology as Represented by Parasites of a Mummy from the Peruaçu Valley, Brazil

  • Reinhard, Karl J;Araujo, Adaut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85-590
    • /
    • 2016
  • Paleopathologists have begun exploring the pathoecology of parasitic diseases in relation to diet and environment. We are summarizing the parasitological findings from a mummy in the site of Lapa do Boquete, a Brazilian cave in the state of Minas Gerais. These findings in context of the archaeology of the site provided insights into the pathoecology of disease transmission in cave and rockshelter environments. We are presenting a description of the site followed by the evidence of hookworm, intestinal fluke, and Trypanosoma infection with resulting Chagas disease in the mummy discovered in the cave. These findings are used to reconstruct the transmission ecology of the site.

Artificial Insemination with Low-Dose Semen does not affect Swine Reproductive Performances

  • Chung, Ki-Hwa;Lee, Il-Joo;Sa, Soo-Jin;Kim, In-Cheul;Jung, Byeong-Yeal;Son, Jung-Ho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263-267
    • /
    • 2013
  • Pig producers have been shown keen interest of the number of spermatozoa in a semen dose since pig artificial insemination introduce. However, determining the minimal number of spermatozoa need per AI without detrimental effect on overall reproductive performances is not an easy question to answ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men utilization in pig AI, optimum number of spermatozoa per dose needed to determi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factors that affect on-farm application of low-dose semen insemination in sows. Data were collected from Darby Genetics AI studs from 4th of June to 7th of July, 2012 (n=401). The numbers of parturition were 84, 234 and 83 in sows inseminated with doses of $1.5{\times}10^9$, $2.0{\times}10^9$ and $2.5{\times}10^9$ spermatozoa in 100ml extender,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reproductive performances such as gestation period, total born, total born alive, stillbirth and mummy in sows inseminated with different semen doses. The average number of born alive was 10.5, 11.0 and 10.4 from sows inseminated with $1.5{\times}10^9$, $2.0{\times}10^9$ and $2.5{\times}10^9$ sperms, respectively. Also, number of spermatozoa per dose did not affect litter size (p>0.1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ternal genetic line difference on gestation period, total number born, number born alive, born dead and mummy. The estim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different semen doses with total number born, number born alive, born dead and mummy were r=-0.00, -0.01, 0.02 and 0.02, respectively. Taken toge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when semen was appropriately inseminated after induced ovulation, insemination with low-dose ($1.5{\sim}2.0{\times}10^9$) semen dose not adversely affect sow's fertility.

Infection Status of Endoparasites in Foreigner Workers Living in Cheonan City, Chungnam Province, Korea

  • Jung, Suk-Yul;Ahn, Mi-Jung;Oh, Joo-Yeon;Nam, Hae-Seon;Hong, Sung-Tae;Yun, Yeon-Han;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243-246
    • /
    • 2015
  • At present, more than 500,000 foreigner workers, most of them from Asian countries with high parasitic infection rates, are working in Korea. Since investigation into the prevalence of parasitic infections in foreigner workers has not yet been conducted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arasitic infection status of foreigner workers living in Cheonan City, Chungcheongnam-do (Chungnam Province) and to plan, on that basis, effective control measur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3, the parasitic infection status of 231 foreigner workers employed at selected Cheonan-si small businesses was investigated by both stool examination and ELISA. A total of 60 individuals (26.0%)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parasites. The stool examination detected 14 positive cases (6.1%), and ELISA revealed 50 positive people (21.6%), for at least a kind of parasitic disease. The most common infection was cysticercosis (8.7%), followed by toxocariasis (7.8%) and clonorchiasis (7.4%). Since it was proved that parasitic infections were prevalent among foreigner workers living in Cheonan City, more comprehensive study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ionwide status of parasitic infections in foreigner workers.

친화성 및 비친화성균계의 혼합 및 전후접종이 벼 도열병의 병반확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and reciprocal inoculation wi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races of Pyricularia oryzae on the enlargement of disease lesions of rice blast)

  • 박서기;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0-306
    • /
    • 1983
  • 도열병 병저항성의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친화성균과 비친화성균을 혼합접종하였을 경우의 병반장 변화와 전후접종하였을 경우의 경시적 변화, 아울러 질소를 다식하였을 경우의 이들 변화관계를 조사하고 또한 인접부위에 전후접종하였을 경우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도 23호에 침화성이고 진흥에 비친화성을 나타내는 $C-7^+$와 이것에 완전 반대의 반응을 나타내는 N-2 Race를 여러 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Punch 접종하였을 경우 양품종 모두 비친화성균의 혼합량이 클수록 친화성균 단독접종구 보다 병반장이 감소되었고 비친화성균의 어떤 간섭작용이 인정되었다. 2.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일정시간후 동일부위에 친화성균을 후접종하면 비친화성균 전접종 18시간후부터 병반이 억제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Peak에 달했다. 반면 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비친화성균을 후접종 하면 친화성균 전접종 18시간 후부터 병반이 확대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Peak에 달했다. 3. 질소를 다시하면 혼합접종에서는 비친화성균의 간섭작용능력이 떨어졌다. 전후접종에 있어서는 유도시기에는 차가 없었으나 저항성유도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친화성균과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일정시간후 3cm 떨어진 상부 부위에 친화성균을 후접종하였을 경우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면 전접종하면 48시간부터 병반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여 60시간에 최고로 억제되었고 친화성 균을 전접종하면 72시간부터 억제되기 시작하여 그 이후 계속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반면 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비친화성균을 후접종하였을 경우에는 경시적변화에 별 차이가 없었고 억제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10일 처리에서는 각각 561.4kg, 463.4kg인데 비하여 Carbofuran 3월 13일과 20일처리에서는 각각 1070.6kg, 1018.3kg이었고 4월 3일과 10일처리에서는 각각 963.8kg, 843.3kg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arbofuran 이른 봄철(3월 중하순) 근계주변 1회 골처리는 고자리파리의 방제효과가 높었을 뿐만 아니라 마늘의 초장, 줄기의 굵기 및 구경의 생육을 크게 촉진하여 마늘의 수량성을 높일 수 있었다.;r=-0.47^{**},\;r=0.38^*$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ysiphlebus ambiguus, Lysiphlebia japonica에 대한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이 컸었다. 7. 장난수 조사결과, Lysiphlebus ambiguus와 Lysiphlebia japonica는 각각 272개, 279개로서 차이는 없었으나 mummy형성율에 있어서는 각각 182개$(66.9\%)$, 120개$(43.0\%)$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진디벌 성충과 중기생봉 성충의 생존기간을 꿀을 먹이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진디벌의 평균수명은 $2\~3$일인데 비하여 중기생봉은 $15.8\~21.5$일로서 중기생봉들이 훨씬 길었다.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6\~10$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