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variate linear model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 어린이의 안축장과 신체 계측치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Anthropometric Value in Korean Children)

  • 김효진;류정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7-402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안축장과 신체 계측치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서울지역에서 11-12세(평균 연령: $11.95{\pm}0.22$세, 여학생: 45.0%)의 초등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분 간섭측정법에 의한 안축장, 각막 곡률반경, 굴절이상도, 신장(m), 그리고 체중(kg)을 측정하였고, 체질량지수(BMI $[kg/m^2]=weight/[height]^2$)와 비만정도지수(DO[%]=[actual weightstandard weight]/standard weight)는 계산하였다. 근업 활동으로 1일 평균 독서시간, TV 시청시간, 그리고 컴퓨터 사용시간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굴절이상도는 $1.06{\pm}0.84D$였고, 이들의 안축장과 몸무게(r=0.427, p=0.006), 체질량지수(r=0.508, p=0.001), 비만정도지수(r=0.371, p=0.018)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안축장은 체중(p=0.041)과 체질량지수(p=0.015)의 1사분위수, 그리고 비만정도지수가 가장 높은 그룹(p=0.042)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연령, 성별, 그리고 근업 활동을 보정한 후에 다중회귀분석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그리고 비만정도지수는 안축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특히, 근업 활동에서 1일 독서시간은 안축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한국 초등학생의 안축장은 체중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긴 안축장과 1일 독서시간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Chang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Funct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nd Unaffordable Housing)

  • 박정민;허용창;오욱찬;윤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137-159
    • /
    • 2015
  • 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 물리적 사회적 환경, 제도적 특성을 포괄하는 건강결정요인에 관한 분석틀을 토대로, 최저주거기준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주거빈곤이 개인의 주관적 건강,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전국적인 대표성을 지닌 한국복지패널에서 추출된, 2009-2013년에 실시된 조사에 모두 참여한 만 18세 이상 성인으로, 총 8,583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종단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정효과모형의 장점에 일반화추정방정식 혹은 확률효과모형의 장점을 결합한 회귀분석-하이브리드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주거의 물리적 환경이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것과 주거의 경제사회적 측면인 주거비 과부담이 발생하는 것 모두 정신건강(e.g., 우울)에 부정적임을 보여 주었다.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는 전체인구의 4분의 1, 빈곤층에서는 3분의 1에 달하며, 주거비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가구의 비율은 빈곤층에서 약 23%에 이르러 전체 인구에서의 비율보다 4배 이상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저주거기준을 온전히 적용할 경우 거주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에 사는 가구의 비율이 기존의 보고보다 매우 높고, 둘째, 빈곤층의 경우 적절한 주거환경에서 거주하는 것과 적정한 비용으로 거주공간을 확보하는 것 모두 큰 도전이라는 것, 셋째, 주거급여의 제공과 주택개량사업과 같은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이 주거비부담 완화 및 주거환경 개선이라는 주효과와 더불어 수혜자의 우울감 완화와 같은 정신건강 증진의 부수적 효과도 수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저주거기준 및 주거비 과부담의 실태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주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성과 정도를 보다 명확히 밝히는데 기여하였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개존성에 관한 연구 (One-year Graft Patenc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김기봉;김현조;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190-1196
    • /
    • 1997
  • 1994년 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78례 중 49례 (62,8%)에서 수술 1년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 혈관의 개존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후 및 수술과 관련된 여러 위험 요소들이 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 평균 13.4$\pm$2.1개월 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내유동맥으로 문함을 시행한 60개소 중 3개소에서 string sign을 보였으나, 폐쇄 없이 전례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요골동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4개소는 모두 개존성이 유지되었다. 복제정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81개소 중 69개소(85.2%)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12개 소(14.8%)에서 폐쇄되었다. 개존성에 미치는 위험요소로 수술 전,수술 중 그리고 합병증 등의 수술 후 요소로 나누어 일원적 및 다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내유동맥의 협착 과 복재정맥의 개존성, 폐쇄에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내유동맥은 환자의 연령(60세 이상),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수술 후 출혈, 및 급성신부전 등 합병증이 이식 혈관의 협착과 관련된 위험 인자였으며, 복제정맥은 우회술을 시\ulcorner 받은 관상동맥의 직경이 1.5mm 이하인 경우가 이식 혈관의 폐쇄 위험성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 분석되었다(p<0.05). 관상동맥 우회술 1년 후 이식 혈관의 개존성은 내유동맥이 복재정맥보다 우수함을 보였으며 환자 연령 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여부, 출혈,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및 문합된 관상 동맥의 직경 등이 개존에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 후 이식혈관의 폐쇄 여부에 대한 11측과 수술 방법이나 수술 후 환자의 추적 관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Nomogram to predict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in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 Moon, Kyoung Yong;Kim, Hoon;Lee, Joong Yeup;Lee, Jung Ryeol;Jee, Byung Chul;Suh, Chang Suk;Kim, Ki Chul;Lee, Won Don;Lim, Jin Ho;Kim, Seok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3권2호
    • /
    • pp.112-118
    • /
    • 2016
  • Objective: Ovarian reserve tests are commonly used to predict ovarian response in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ovarian stimulation. Although serum markers such as basal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or random $anti-M{\ddot{u}}llerian$ hormone (AMH) level and ultrasonographic markers (antral follicle count, AFC) are good predictors, no single test has proven to be the best predicto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ppropriate equations and novel nomograms to predict the number of oocytes that will be retrieved using patients' age, serum levels of basal FSH and AMH, and AFC. Methods: We analyzed a database containing clinical and laboratory information of 141 stimulated in vitro fertilization (IVF) cycles performed at a university-based hospital between September 2009 and December 2013. We used generalized linear models for prediction of the number of oocytes. Results: Age, basal serum FSH level, serum AMH level, and AFC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equations that predicted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log scale) were as follows: model (1) $3.21-0.036{\times}(age)+0.089{\times}(AMH)$, model (2) $3.422-0.03{\times}(age)-0.049{\times}(FSH)+0.08{\times}(AMH)$, model (3) $2.32-0.017{\times}(age)+0.039{\times}(AMH)+0.03{\times}(AFC)$, model (4) $2.584-0.015{\times}(age)-0.035{\times}(FSH)+0.038{\times}(AMH)+0.026{\times}(AFC)$. model 4 showed the best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se variables, we developed nomograms to predict the number of oocytes that can be retrieved. Conclusion: Our nomograms helped predict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in stimulated IVF cycle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Men

  • Bae, Ye Seul;Im, Sun-Wha;Kang, Mi So;Kim, Jin Hee;Lee, Soon Hang;Cho, Be Long;Park, Jin Ho;Nam, You-Seon;Son, Ho-Young;Yang, San Deok;Sung, Joohon;Oh, Kwang Ho;Yun, Jae Moon;Kim, Jong Il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4권2호
    • /
    • pp.62-68
    • /
    • 2016
  • Osteoporosis is a medical condition of global concern, with increasing incidence in both sexes. Bone mineral density (BMD), a highly heritable trait, has been proven a useful diagnostic factor in predicting fracture. Because medical information is lacking about male osteoporotic genetics, we conduct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BMD in Korean men. With 1,176 participants, we analyzed 4,414,664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fter genomic imputation, and identified five SNPs and three loci correlated with bone density and strength.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to adjust for age and body mass index interference. Rs17124500 ($p=6.42{\times}10^{-7}$), rs34594869 ($p=6.53{\times}10^{-7}$) and rs17124504 ($p=6.53{\times}10^{-7}$) in 14q31.3 and rs140155614 ($p=8.64{\times}10^{-7}$) in 15q25.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umbar spine BMD (LS-BMD), while rs111822233 ($p=6.35{\times}10^{-7}$) was linked with the femur total BMD (FT-BMD).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five genes previously identified in Korean men. Rs61382873 (p = 0.0009) in LRP5, rs9567003 (p = 0.0033) in TNFSF11 and rs9935828 (p = 0.0248) in FOXL1 were observed for LS-BMD. Furthermore, rs33997547 (p = 0.0057) in ZBTB and rs1664496 (p = 0.0012) in MEF2C were found to influence FT-BMD and rs61769193 (p = 0.0114) in ZBTB to influence femur neck BMD. We identified five SNPs and three genomic regions, associated with BMD. The significance of our results lies in the discovery of new loci, while also affirming a previously significant locus, as potential osteoporotic factors in the Korean male population.

쓰레기 매립장 주변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 연구 (Does Living nearby a Garbage Dumping Site Degrade the Quality of Life? A Case Study based on Shin-dong Myeon Residents, Chun-cheon Si)

  • 이명경;최준열;김인경;조영아;김영신;정혜진;김리나;이영규;조영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02-308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 garbage dumping site has real and nega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QOL) for the nearby residents. The net effects of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the garbage dumping site and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were investigated for five domains of the QOL. Methods: Two hundred fifty seven Shin-dong Myeon residents, Chun-cheon Si,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rated survey. The Shin-dong Myeon garbage dumping site began operating in 1996. ANCOV A with generalized linear model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Descriptive analyses show that a residence nearby a garbage dumping sit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QOL.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does not exert any significant effect on various domains of QOL, except for the environmental domain.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garbage dumping site tende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QOL i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However, the distance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nor substantial effect on the QOL.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ontrol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the QOL domains, and their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the general expecta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garbage dumping site is considered to be an environmental hazard among the nearby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wer scores o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QO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residents' QOL, and they may help politicians and policy makers make decisions for appropriate interventions.

Predicting blast-induced ground vibrations at limestone quarry from artificial neural network optimized by randomized and grid search cross-validation, and comparative analyses with blast vibration predictor models

  • Salman Ihsan;Shahab Saqib;Hafiz Muhammad Awais Rashid;Fawad S. Niazi;Mohsin Usman Quresh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5권2호
    • /
    • pp.121-133
    • /
    • 2023
  • The demand for cement and limestone crushed materials has increased many folds due to the tremendous increase in construction activities in Pakistan during the past few decades. The number of cement production industries has increased correspondingly, and so the rock-blasting operations at the limestone quarry sites. However, the safety procedures warranted at these sites for the blast-induced ground vibrations (BIGV) have not been adequately developed and/or implemented. Proper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BIGV are necessary to ensure the safety of structures in the vicinity of these quarry sites.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edict BIGV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t three selected limestone quarries of Pakistan. The ANN has been developed in Python using Keras with sequential model and dense layers. The hyper parameters and neurons in each of the activation layers has been optimized using randomized and grid search method. The input parameters for the model include distance, a maximum charge per delay (MCPD), depth of hole, burden, spacing, and number of blast holes, whereas, peak particle velocity (PPV) is taken as the only output parameter. A total of 110 blast vibrations datasets were recorded from three different limestone quarries. The dataset has been divided into 85% for neural network training, and 15% for testing of the network. A five-layer ANN is trained with Rectified Linear Unit (ReLU) activation function, Adam optimization algorithm with a learning rate of 0.001, and batch size of 32 with the topology of 6-32-32-256-1. The blast datasets were utiliz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AN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MVRA), and empirical predictors.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mean absolute error (MAE), mean squared error (MS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and root mean squared error (RMSE)for predicted and measured PPV.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parameter on the PPV,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ll input parameters. The analyses reveal that ANN performs superior than MVRA and other empirical predictors, andthat83% PPV is affected by distance and MCPD while hole depth, number of blast holes, burden and spacing contribute for the remaining 17%.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improving safety measures and ensur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buildings near limestone quarry sites.

우리나라 Holstein 경산우의 분만간격과 비유곡선모수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s)

  • 원정일;당창권;임석기;임현주;윤호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73-182
    • /
    • 2016
  • 본 연구는 분만간격과 비유곡선 모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유우군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홀스타인 젖소로부터 조사한 착유기록 36,505개를 분석하였는데, 분석에 이용된 착유기록은 모두 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분만한 경산우로부터 조사하였다. 비유곡선 모수는 Wood 모형을 적용하여, SAS 9.2 NLIN Procedure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분만년도-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효과와 산차(2, 3, 4산차)의 효과를 고정효과로 한 다형질 일반선형모형으로 SAS(GLM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분만간격, 305일 유량, 비유곡선모수(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에 대해 분만년도-계절과 산차의 효과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Wood 모형으로 추정한 비유곡선 함수는 2, 3 및 4산차에 대해 각각 yt=24.66t0.175e-0.00302t, yt=24.69t0.192e-0.00334t 및 yt=24.22t0.200e-0.00341t으로 추정되었다. 분만간격과 305일 유량, 모수값 A, b, c, 비유지속성, Peak 일시 및 Peak기 유량과의 표현형상관(잔차상관)은 각각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및 0.052으로 나타났다. 분만간격이 길어지면 비유곡선의 상향경사도, 비유지속성, Peak 일시, Peak기 유량은 증가하고, 비유곡선의 하향경사도는 감소하여, 305일 유량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