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RAT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7초

발효 갈근탕과 쌍화탕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연구 (Anti-platelet Aggregation Study of Fermented Galgeun Tang and Fermented Ssanghwa Tang)

  • 손추영;송병정;마진열;권광일
    • 약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74-378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nhanced effect of fermented Galgeun tang (GGT) and Ssanghwa tang (SHT) on the anti-platelet aggregation. Platelet aggregation assay was performed In vitro using human platelet rich plasma(PRP) and In vivo using SD-rat plasma by platelet aggregometer. Pharmacodynamic parameters, $E_{max}$ and $EC_{50}$, were calculated using Winnolin. SD-rats administered 1 g/kg of oriental medicine every 12 hr for 8 days. Platelet aggregation was measured by optical method with collagen inducer (4 ${\mu}g$/ml). In In vitro anti-platelet study, $EC_{50}$ of GGT-A was lower than that of GGT-con about 79.13 ${\mu}g$/ml. And $EC_{50}$ of SHT-A and SHT-B was lower than that of SHT-con about 122.73 and 110.15 ${\mu}g$/ml, respectively. It is assumed that fermented GGT and SHT were more effective than original medicine. In multiple administration study, anti-platelet effe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GGT and SHT. Fermented GGT and SHT were more effective than original herbal medicine on anti-platelet aggregation.

Protective Effect of ECQ on Rat Reflux Esophagitis Model

  • Jang, Hyeon-Soon;Han, Jeong Hoon;Jeong, Jun Yeong;Sohn, Uy 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6호
    • /
    • pp.455-462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Rumex Aquaticus Herba extracts containing quercetin-3-${\beta}$ -D-glucuronopyranoside (ECQ) on experimental reflux esophagitis. Reflux esophagitis was induced by surgical procedure. The ra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namely normal group, control group, ECQ (1, 3, 10, 30 mg/kg) group and omeprazole (30 mg/kg) group. ECQ and omeprazole groups received intraduodenal administration. The Rats were starved for 24 hours before the experiments, but were freely allowed to drink water. ECQ group attenuated the gross esophagiti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treated with omeprazole in a dose-dependent manner. ECQ decreased the volume of gastric juice and increased the gastric pH,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omeprazole group. In addition, ECQ inhibited the acid output effectively in reflux esophagitis.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of malondialdehyde (MDA), myeloperoxidase (MPO) activity and the mucosal deple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were observed in the reflux esophagitis. ECQ administration attenuated the decrement of the GSH levels and affected the MDA levels and MPO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CQ has a protective effect which may be attributed to its multiple effects including anti-secretor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on reflux esophagitis in rats.

Vascular Morphometric Changes During Tumor Growth and Chemotherapy in a Murine Mammary Tumor Model Using OCT Angiography: a Preliminary Study

  • Kim, Hoonsup;Eom, Tae Joong;Kim, Jae Gw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3권1호
    • /
    • pp.54-65
    • /
    • 2019
  • To develop a biomarker predicting tumor treatment efficacy is helpful to reduce time, medical expenditure, and efforts in oncology therapy. In clinics, microvessel density using immunohistochemistry has been proposed as an indicator that correlates with both tumor size and metastasis of cancer. In the preclinical study, we hypothesized that vascular morphometric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could be potential indicators to estimate the treatment efficacy of breast cancer. To verify this hypothesis, a 13762-MAT-B-III rat breast tumor was grown in a dorsal skinfold window chamber which was applied to a nude mouse, and the change in vascular morphology was longitudinally monitored during tumor growth and metronomic cyclophosphamide treatment. Based on the daily OCTA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ap, multiple vessel parameters (vessel skeleton density, vessel diameter index, fractal dimension, and lacunarity) were compared with the tumor size in no tumor, treated tumor, and untreated tumor cases. Although each case has only one animal, we found that the vessel skeleton density (VSD), vessel diameter index and fractal dimension (FD) tend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mor size while lacunarity showed a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Moreover, we observed that the changes in the VSD and FD are prior to the morphological change of the tumor. This feasibility study would be helpful in evaluating the tumor vascular response to treatment in preclinical settings.

Supplementation of retinoic acid alone in MSC culture medium induced germ cell-like cell differentiation

  • Kuldeep Kumar;Kinsuk Das;Ajay Kumar;Purnima Singh;Madhusoodan A. P.;Triveni Dutt;Sadhan Ba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4-61
    • /
    • 2023
  • Background: Germ cells undergo towards male or female pathways to produce spermatozoa or oocyte respectively which is essential for sexual reproduction.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the potential of trans-differentiation to the multiple cell lineages. Methods: Herein, rat MSCs were isolated from bone marrow and characterized by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expression of MSC surface markers, and in vitro differentiation capability. Results: Thereafter, we induced these cells only by retinoic acid supplementation in MSC medium and, could able to show that bone marrow derived MSCs are capable to trans-differentiate into male germ cell-like cells in vitro. We characterized these cells by morphological changes, the expressions of germ cell specific markers by immunophenotyping and molecular biology tools. Further, we quantified these differentiated cell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only Retinoic acid in culture medium could induce bone marrow MSCs to differentiate germ cell-like cells in vitro. This basic method of germ cell generation might be helpful in the prospective applications of this technology.

Multiple Low Dose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흰쥐에서 백삼, 홍삼, 화기삼의 항당뇨 활성 비교 (Comparisons of Antidiabetic Effect between Ginseng Radix Alba, Ginseng Radix Rubra and Panax Quinquefoli Radix in MLD STZ-induced Diabetic Rats)

  • 박경수;고성권;정성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56-61
    • /
    • 2003
  • 복강 내당능 시험과 MLD STZ 당뇨를 유발시킨 rat에서 백삼, 홍삼, 화기삼의 항당뇨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복강 내당능 시험에서 백삼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반면 홍삼과 화기삼은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적인 변차를 나타내었다. MLD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SD계 흰쥐에 백삼, 홍삼, 화기삼을 2주간 투여 후 혈당강하 활성을 비교한 결과 홍삼 투여군의 혈당이 가장 낮았으며 백삼과 화기삼은 비슷한 크기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2. 백삼과 홍삼, 화기삼은 모두 고혈당에 의한 체중 감소 현상을 개선시켰으며 각 투여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당뇨의 대표적인 증상인 다식 (多食)과 다음 (多飮)현상이 백삼, 홍삼, 화기삼 투여에 의하여 개선되었으며 그 중 홍삼에 의한 효과가 가장 컸다. 4. 혈당강하 활성과 ginsenoside profile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PPT/PPD ratio가 가장 큰 홍삼의 혈당강하 활성이 백삼과 화기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아 PPT/PPD ratio가 혈당강하 활성의 key ratio가 아닌가 추측된다.

Multiple Low Dose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흰쥐에서 투여 시기에 따른 인삼의 항당뇨 활성 비교 (Comparisons of Antidiabetic Effect of Panax Ginseng on MLD STZ-induced Diabetic rats in Terms of Time of Administration)

  • 박경수;이동억;성종환;정성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191-195
    • /
    • 2002
  • MLD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SD rat에서 투여 시기에 따른 백삼의 항당뇨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시 투여군은 실험 시작 초반에 체중이 감소하는 듯 하였다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체중이 증가하였고 후 투여군 역시 백삼의 투여에 의하여 체중이 증가하였다. 2. 동시 투여군에서 STZ 투여 후 초반 7일간 혈당이 상승 하였으나 곧 탁월한 혈당 강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계속적:인 당뇨병의 진행을 막아주었다. 후 투여군에서는 즉각적으로 혈당 강하 활성이 나타났고 이는 투여 종료 시점까지 유지되었다. 3. 동시 투여군과 후 투여군 모두 식이량과 음용수 섭취량을 개선시켜 주었다. 4. 동시 투여군과 후 투여군은 모두 체중 대비 신장 무게의 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고혈당으로 인해 야기되는 신장비대를 개선시켜 주었다. 5. STZ로 유도된 당뇨 흰쥐에서 백삼이 혈당 강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췌장 베타세포의 보호 활성과 insulin의 분비 촉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6. 각 투여군에서 투여 종료시점의 혈당이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4%, 67%수준을 나타내어 백삼이 당뇨병이 발생되기 전이나 혹은 당뇨병이 발생된 후에 투여되더라도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삼은 impaired glucose tolerance(IGT)를 나타내는 사람에서 당뇨병의 발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투여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당뇨병이 발병된 사람에서도 우수한 혈당 강하 활성을 나타내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에탄올 처리에 의한 흰쥐 신경아교종(Glioma) 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 DNA 칩을 이용한 분석 -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Rat Glioma after Ethanol Treatment)

  • 이소희;오동열;한진희;최인근;전양환;이준노;이태경;정종현;정경화;채영규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2호
    • /
    • pp.115-121
    • /
    • 2007
  • 연구목적: 알코올의존에 내재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하고 알코올리즘 치료 약물의 새로운 표적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알코올에 반응하는 유전자 혹은 반응 경로를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DNA microarray 기법의 발달로 고전적 연구 방법과 달리 동시에 수천 수만개의 유전자의 표현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흰쥐의 신경아교종 세포에 처리했을 때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흰쥐 신경아교종 C6 세포주를 배양하여 에탄올 처리하고 총 RNA를 분리한 후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cDNA microarray를 수행하였다. 결 과: 에탄올 처리군과 대조군간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에탄올이 처리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15개의 유전자가 발현이 증가하였고 12개의 유전자가 발현이 감소하였다.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는 Orthodenticle(Drosophila) homolog 1, procollagen type II, adenosine A2a receptor, GATA-bindning protein2를 포함하고 있었고,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는 diacylglycerol kinase beta, PRKC, Protein phosphatase 1, clathrin-associated protein 17, nucleoporin p58, proteasome를 포함하였다. 결 론: 흰쥐의 신경아교종 세포주에 알코올을 처치하였을 때 급성기에 알코올에 반응하여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유전자는 전반적으로 전사의 조절, 신호전달체계, 허혈성 뇌손상의 중재, 신경세포의 퇴행에 관여하는 것들이었다. 본 연구는 유전자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에탄올에 반응하는 새로운 후보 유전자들을 관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랫트의 신장 내 카드뮴 축적에 대한 감두탕(甘豆湯)의 방어 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Kamdootang on Accumulation of Cadmium in Rats)

  • 김범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80-2186
    • /
    • 2011
  • 카드뮴의 신장 내 축적에 대한 감두탕 투여의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흰쥐에 1.7 ${\mu}g/g/day$, 3.4 ${\mu}g/g/day$ 및 6.8 ${\mu}g/g/day$의 카드뮴을 투여한 군과 위의 농도별 카드뮴과 감두탕을 혼합투여한 군과의 체중 변화, 신장의 카드뮴 축적량 및 신장조직의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각 실험군의 체중은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감두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장 중의 카드뮴 축적량은 모든 군에서 1주, 2주는 감두탕을 투여한 군이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4주, 8주에서는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이 감두탕을 투여한 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신장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결과,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은 사구체의 출혈성 괴사, 뇨세관의 종창, 상피세포의 탈락 및 뇨세관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감두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조직병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감두탕은 저농도의 카드뮴이 생체 내에 투여될 때 흰쥐의 신장 내 축적되는 카드뮴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GS 283의 평활근 억제 작용기전 (Mechanisms Underlying the Inhibitory Effect of GS 283 in Various Smooth Muscles)

  • 김시환;이영수;정원석;장기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9
    • /
    • 1994
  • Tetrahydroisoquinoline유도체인 GS 283의 약리학적 특성을 흰쥐 흉부대동맥, 기니픽 결장띠 및 토끼 장간막 동맥 및 흰쥐 뇌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혈관 평활근에서 GS283은 고 $K^+$에 의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Ca^{2+}$ 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alpha}_1$- 수용체 자극에 의한 수축도 억제하였다. GS 283의 혈관이완 작용은 propranolol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beta}$-수용체 자극작용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세포내 칼슘이온과 근장력 변화를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 GS 283의 억제효과는 조직내 형광의 증가를 수반했다. 이 증가는 fura 2형광에 의한것이 아니라 내인성 pyridine nucleotide에 의한 것이며 이는 GS 283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했다. 흰쥐 뇌의 cAMP와 cGMP 의존성 phosphodiesterase에 대한 GS 283의 $K_i$,값은 2.5와 6.7mM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S 283의 약리 작용은 $Ca^{2+}$ 길항작용, ${\alpha}_1$- 수용체억제 작용 및 cyclic nucleotide 의존성 phosphodiesterase 억제 등 다양한 작용이 있으며 평활근 수축 억제에 대한 GS283 작용에는 $Ca^{2+}$ 길항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주렴(朱簾), 갑장(甲帳)에 관한 연구 -수리(修理)·배설(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on the Playacting Stage at the Royal Palace under King Sunjo -Focusing on Repairs and Installation-)

  • 석진영;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6호
    • /
    • pp.67-76
    • /
    • 2017
  • Royal banquets under the reign of King Sunjo saw developments in the playacting stage, which exhibi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Jeongjo and Gojong this period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Joseon Dynasty's playacting stage construction. Starting with the Jagyeongjeon-Hall banquet and continuing into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next-day banquet by the Crown Prince demonstrates a renewed format, with the stag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is change was substantiated by more assertive use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Previously, the Red Blind has been installed in the palace hall and around the royal courtyard, to form three sides, but as next-day banquets became more frequent under Sunjo, the Red Blind developed and came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In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Red Blind was lifted and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was situated in the palace hall. In the banquet of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Red Blind was let down and the crown prince's throne was placed outside, in palace court yard. This seems to have been a gesture to reorient the crown prince's political standing and restore Sunjo's sovereignty the following year. Hence, the installation of the Red Bli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hierarchy and ranks under Sunjo's reign. The gabjang provided the second layer of protection for the playacting stage. The hongjeongju gabjang surrounded the stage in multiple layers and served as a partition. The gabjang from the Year of the Golden Bull banquet, in particular, boasted a unique installation, where it dangled from both sides of the royal palace's facade. Hongjeongju gabjang, lapis lazuli gabjang, red gabjang, and yellow curtains were installed in the stated order to reflect Sunjo's 40th birthday as well as the 30-year anniversary of his coronation. The Red Blind and gabjang from Sunjo's years were positioned in creative ways to reinstate the royal authority, and demonstrated many improvements from those of Jeongjo's re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