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ism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현대 스포츠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이미지 연구 (A Study of Ethnic Images Found in Modern Sports Fashion)

  • 김은경;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1054-106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conducive to developing popular and international products by analyzing the mechanism, factors and design of ethnic sports fashion incorporating ethnicity and sports sense that may satisfy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modern humans who tend to seek 'well- being'. The methodology includes literature reviews and positivist study, and visual materials includ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newspapers, fashion journals, ad photos, collection photos, and internet that cover colors, materials, detailed sports fashion design that are considered to have an ethnic image. Its scope is limited to the period from 2000 through 2005 S/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orts fashions through incorporation of sports emotion and fashion, mixes and matches existing formal wear, casual wear, or leisure wear with sportswear, or introduces and utilizes materials, details, accessories, or image from sportswear. Second, 1) from the changes by year in sports fashion, ethnic images were strongly expressed by the influence of naturalism in the early 1990s, and functional sports fashion has been fused with ethnic image with functionalism becoming stronger and wellbeing trend expanding from the mid 1990s through 2000s. 2) The cause of ethnic image in sports fashion included hybrid, multi-culturalism, and naturalism. Third, the ethnic images revealed in the sports fashion designs of Prada, Louis Vuitton, Gucci, and Y3 are simple and unique based on functionality and activism.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daptability Factors in Family Life for Vietnam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n Terms of the Inter-culturalism)

  • 신유경;장진경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3호
    • /
    • pp.109-122
    • /
    • 2010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influence interracial couples (between Korean men and Vietnamese women) when adapting to Korean family culture in terms of interculturalism. The interviewees consisted of three generations.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August 2008. 15 families (45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two natio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of members during family interactions(2) the culture of filial piety is a value system that both nations believe is important. However, different ritual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3) the community-oriented culture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two nations. However, Vietnamese wives cannot lead a free community life because Koreans see them in negative terms (4) the Vietnamese traditional wedding custom called "NopJjeOh"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to the Korean family culture (5) the preference for sons in Vietnam is not as high as in Korea. This differenc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daptation (6)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daily lives of the two nation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daptation to Korean family culture. In conclusion, Korea and Vietnam have many similarities in culture, which enable Vietnamese wives to adapt to Korean culture more easily than other foreign wives. If various programs are developed to promote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both cultur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t would further contribute toward social integration in Korea.

  • PDF

칸톤학교 아라우와 아인슈타인 I (Argovian Cantonal School in Aarau and Albert Einstein I)

  • 정병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33-248
    • /
    • 2019
  • 본 연구는 칸톤학교 아라우가 19세기 전체에 걸쳐 독일의 김나지움 교육 이념 논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 논쟁 속에서 아인슈타인이 바이에른에서 정규 과학교육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했다는 점을 원전 자료 분석을 통해 입증했다. 아인슈타인은 정규교육의 결핍에도 불구하고 일찍부터 독학에 의해 자기 학습을 하는 습관을 가졌고, 이 방식은 평생 유지되었다. 그는 권위주의적이었던 뮌헨의 학교에서는 매우 힘들게 지냈지만, 자유정신과 자율성이 보장되었던 아라우의 민주적 학교에서는 정서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었다. 아라우는 오랫동안 외지와 자유로운 교류와 프랑스 계몽주의 영향으로 종교적, 지역적, 민족적 차별이 없이 적대적 사상들에 대해 관대한 다문화적 사상을 갖고 있었다. 이로 인해 소규모 공립학교인 칸톤학교는 스위스를 넘어 교사와 학생의 막강한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고, 교육이념 논쟁을 통해 시대정신에 맞는 실용주의와 계몽주의 사상을 선택했다. 이는 김나지움에서 인간교육-인문주의-엘리트 양성을 실시하고, 상공업학교에서는 시민교육-사실주의-시민 양성을 동시에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체제로 정착된다. 특히 김나지움은 1835년부터 순수한 신인문주의를 벗어나 자연사와 같은 실물교과를 도입함으로써 양형주의를 선택하게 되었다. 이로써 칸톤학교는 참다운 인간성 교육, 철저한 학문적 교육, 생활 속에서 시민적 삶의 능력을 추구하는 학교가 되었으며, 아인슈타인은 여기서 진정한 민주주의가 실현되고 자신에게 잊을 수 없는 인상은 남긴 교육기관의 모범을 찾게 된다.

북한에 대한 인지편향(기준점편향) 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gnitive-Bias (Anchoring Bias) to N. Korea on Reunification Perception)

  • 한승조;배영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01-20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 대한 인지편향(기준점편향)을 지닌 집단 간의 통일인식 차이에 대해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북한과 관련된 학교교육이 제공하는 내용의 차이에 따라 인지편향(기준점편향)이 발생하고, 형성된 관점에 따라 통일인식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주관한 통일인식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지편향이 상이한 두 개의 그룹은 청소년기 학교에서 주로 접했던 분야를 "반공과 안보"로 선택한 집단(A그룹)과 "통일이익, 다문화, 북한 이해"를 문항에서 선택한 집단(B그룹)을 기준으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A그룹은 성인이 되어서도 북한을 적대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B그룹은 대화와 협력의 대상으로 여기는 인지편향(기준점편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A그룹은 B그룹에 비해 통일이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이득이 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북한과의 타협과 대화에 대한 호응도도 낮았다. 하지만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수용도 측면에서는 두 그릅 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초기 학교교육이 성인 이후의 통일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학교 통일교육 방향에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학)에서의 '성적 소수자' 연구의 동향과 인식론적 전망 : 페미니스트 섹슈얼리티 이론의 가능성 (The Trend and Prospect of Study on 'Sexual Minority' in Social Welfare and Practice : Implications of Feminist Theories on Sexuality)

  • 성정숙;이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5-44
    • /
    • 2010
  • 본고의 목적은 동성애에 관한 사회복지(학) 지식생산 양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론적·실천적 확장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복지(학)의 성적 소수자에 관한 연구 경향들은 병리와 결함으로 개념화했던 초기의 의료적 담론을 넘어 인권과 다양성이라는 인권담론으로 이동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상당한 진전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다수' 를 정상화하고 규범화하는 이분법을 전제하고 '타자화되는' 사회구조적인 맥락을 간과하면서 다양성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무엇보다 두 가지 담론 모두 섹슈얼리티에 관한 본질론적 입장에 근거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에 반해 페미니스트들은 섹슈얼리티를 사회적인 구성물이자 역사적으로 의미 부여된 사회적 장치라는 인식하에 섹슈얼리티와 동성애에 관한 새로운 이론화를 진행해 왔다. 예를 들어, 레즈비언 페미니즘은 남성중심사회에서 사회적 억압에 대한 변혁의 주체로서 레즈비언 정체성을 강조하며, 페미니스트 퀴어이론은 섹스와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한 분류 그 자체를 문제시하고 해체하고자 한다. 이 이론들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이해방식을 제안하며, 섹스와 젠더, 섹슈얼리티에 관한 통념에 도전하게 하고, 이성애/동성애의 이분법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의미화된 권력의 효과라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들은 페미니스트 섹슈얼리티 이론의 통찰력을 빌어 사회복지(학)에서의 '성적 소수자' 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구성될 것을 주장하면서 궁극적으로 보다 진보적 사회복지학의 지평을 지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