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ego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영화공급사슬 내 성과정보와 입소문 효과의 동적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Dynamic Interac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and Word-of-Mouth in Film Industry)

  • 이원희
    • 경영과학
    • /
    • 제32권2호
    • /
    • pp.125-143
    • /
    • 2015
  • When studying the film industry, researchers have seldom addressed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arketing information and word of mouth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mainly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research methodologies. This study explores integration and competition among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on audience's choice on movie selection, particularly by using a new method of agent-based modeling including competitive environment. Decision process of moviegoer composed of transition probability based on multinomial logit model, considering marketing and box-office information, critique, and word of mouth from other moviegoers. After validating the fitness of market share among released movies, this study conducted a set of simulation experiments considering several variables such as market size, change of weight between variables, and movie performance under competition. Propositions are deriv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s also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무버셜의 수용자 경험과 해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PL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Audience Experiences and Interpretations of Movercial -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PPL)

  • 이현우;김형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3-312
    • /
    • 2004
  • 본 연구는 광고와 영화의 겹합 즉 무버셜(movercial)에 관한 연구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목표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영화와 광고의 결합(movercial)은 기존의 제품배치와 어떻게 달리 경험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며, 둘째는 무버셜에 대한 수용자의 경험은 영화주제와 소비관련 주제별로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인터넷문화의 확산과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환경속에서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포맷으로 부각되고 있는 무버셜이 수용자에게 어떻게 경험되는지에 대해 영화중심 주제와 소비관련 주제로 구성된 분석유목을 통해 질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이를 위하여 영화속 브랜드 배치에 관한 선행연구에 사용된 분류방법을 활용하여 무버셜 수용자를 아마추어와 매니아 집단으로 구분하여 핵심집단 면접과 개인별 심층면접을 실시함으로써 무버셜에 대한 수용자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한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버셜을 통한 브랜드의 사전노출은 실제생활에서 광고의 사전친숙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버셜이 광고와 PPL과 함께 구매결정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응답자들은 문화, 예술전반에 까지 침투한 무버셜이라는 상업적 하이브리드 포맷에 위화감과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Online Consumer Engagement on Multiplex Social Network Sites: A Value Exchange Perspective

  • Zhu, Zong-Yi;Kim, Hyeon-Cheo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6호
    • /
    • pp.139-157
    • /
    • 2019
  • This study is intended for demonstrating the impacts of different factors on the formation of online consumer engagement behavior of young Chinese moviegoer in Korea. Based on Value-Exchange Model [Itani et al., 2019], we build research model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movie information value, multiplex-audience relationship quality, multiplex usage satisfaction, and online consumer engagement through experiments on valid data we collected from 186 participants who had lived in Korea and experienced the multiplex pages of top 3 movie theaters, where Smart PLS 3.0 is the tool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oth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movie information value positively correlate to multiplex-audience relationship quality, and multiplex audience relationship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multiplex usage satisfaction and online consumer engagement.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relationship quality plays the role of mediator between perceived enjoyment and satisfa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offer both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ovie distributors who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potential Chinese consumer market in Korea.

스크린 쿼터 축소의 영향분석 (Impact of Cutback of Screen Quota in Korean Movie Market: Three Years Before and After the Screen Quota Reduction in 2006)

  • 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8-250
    • /
    • 2011
  • 한국영화의 전국 관객 수는 2006년 9,791만 명에서 2009년 7,647만 명으로 감소추세이며 점유율 또한 2006년 63.8%에서 2009년 48.8%로 낮아졌다. 이 글은 스크린 쿼터가 축소된 이후 3년과 이전의 3년간의 한국영화 관객 수를 비교하여 스크린 쿼터 가 축소된 이후에 발생한 한국영화 관객 감소가 스크린쿼터의 축소에 의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한국영화 평균 관객 수가 2003부터 2005년 사이의 1,107,217.82명에서 스크린 쿼터가 축소된 이후인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의 640,109.9123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감소는 스크린 쿼터의 영향임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서 한국영화 흥행성과의 불평등도도 지니계수로 살펴본 결과 0.84로서 상당히 심화되었음이 드러났다. 반면에 미국영화의 평균 관객 수는 축소이전 3년간의 432,204.6322명에서 축소이후 559,907.2872명으로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차이가 스크린 쿼터의 축소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보기는 힘들다. 미국과 한국영화 이외의 국가의 영화들의 한국영화시장에서의 흥행성과에는 스크린 쿼터 축소가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