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ous valle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Tropical Night (Nocturnal Thermal High) in the Mountainous Coastal City

  • Choi, Hy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1호
    • /
    • pp.965-985
    • /
    • 2004
  • The investigation of driving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tropical night in the coastal region, defined as persistent high air temperature over than 25$^{\circ}C$ at night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4 through 15, 1995. Convective boundary layer (CBL) of a 1 km depth with big turbulent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s is developed over the ground surface of the inland basin in the west of the mountain and near the top of the mountain, while a depth of thermal internal boundary layer (TIBL) like CBL shrunken by relatively cool sea breeze starting at 100 km off the eastern sea is less than 150 m from the coast along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The TIBL extends up to the height of 1500 m parallel to upslope wind combined with valley wind and easterly sea breeze from the sea. As sensible heat flux convergences between the surface and lower atmosphere both at the top of mountain and the inland coast are much greater than on the coastal sea, sensible heat flux should be accumulated inside both the TIBL and the CBL near the mountain top and then, accumulated sensible heat flux under the influence of sea breeze circulation combined with easterly sea breeze from sea to inland and uplifted valley wind from inland to the mountain top returning down toward the eastern coastal sea surface should be transported into the coast, resulting in high air temperatures near the coastal inland. Under nighttime cooling of ground surface after sunset, mountain wind causes the daytime existed westerly wind to be an intensified westerly downslope wind and land breeze further induces it to be strong offshore wind. No sensible heat flux divergence or very small flux divergence occurs in the coast, but the flux divergences are much greater on the top of the mountain and along its eastern slope than on the coastal inland and sea surfaces. Thus, less cooling down of the coastal surface than the mountain surface and sensible heat transfer from warm pool over the coast into the coastal surface produce nocturnal high air temperature on the coastal inland surfaces, which is not much changed from daytime ones, resulting in the persistence of tropical night (nocturnal thermal high) until the early in the morning.

Two Types of Forest Vegetation in Kyungpook Area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3권1_2호
    • /
    • pp.17-20
    • /
    • 1980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ecological investigation of ilora in Muie Island of Incheon Harbor in the xestern coast in Korea. 14 varieties, 1-27 species, 57 families and 142 genera of Tracheophyta were recorded by field investigations conducted over three times in May and July, 1976 and August, 1980. The flora of this island showed a plant community predominated by Pinus densiflol-a grown in miggle with Carpinus laxiflora, Quel-cus serrata and Rhododendron muucronulatum. General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as scarce, but it was an unexpected result that such remote mountainous plants as Lysinzachia clethrozdes, Sy7zeilesis palnzata and Lilzunz disttcum etc. were encountered in a wood surrounding Seohwang-dang, the shrine of a tutelary deity, on 126-Meter Hill at the northern end of the island. There also countered in Hoyong mountain valley we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ithout pine tree which mainly consisted of Prunus leveillea7za, Fraxinus rhynchophylla, Platycarya strofilada,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znza and Acer mono. In addition, herbaceous plants, such as Syneilesis palmata, Codonopsis lanceolata and Lysi\ulcornerna barystnchy were grown as the undergrowth of these forests. Drosera rotundifolio, an unlooked-for plant, .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eastern coast of the island. Camellia japo7tica was grown spontaneously in Deogjeog Island 261cm southwest from the island, while no evergreen broa-leaved tree could be located except 2 species of Vztex rotztndifolia and Euo~zymus japonrca. It may be considered that such simple flora of this island compared with that of land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formation of the former took place in the period far latter than that of the latter.

  • PDF

GIS Software를 이용한 한국 산악 지형의 경사도 산출 정확도에 관한 연구 -원자료의 등고선 간격과 해상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uracy of Calculating Slopes for Mountainous Landform in Korea Using GIS Software - Focused on the Contour Interval of Source Data and the Resolution -)

  • 신진민;이규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12
    • /
    • 1999
  • 토지정보체계(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에서 지형표고를 나타내는 수치지형정보(Digital Terrain Model, DTM)는 토공량 계산 조경, 토목, 가시구역 분석, 무선중계국 위치선정 등 GIS가 활용되면서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DIM의 표고정보 및 이를 활용한 경사도와 같은 2차 정보의 정확도는 광활하고 평탄한 지형에서는 격자 간격, 원자료의 해상력 등이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으나 한국과 같이 지형의 기복이 심하고 다양한 형태의 지형에서는 적절한 해상력, 원자료의 정확성 등이 지형 표현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95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경사도 산출시 등고선의 정확도, 해상력, DTM의 자료구조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여 한국의 산악 지형에 적절한 해상력을 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DTM의 자료구조인 고도행렬식 기법(altitude matrices)을 활용한 격자형(raster) 자료구조인 Idrisi(ver. 2.0)와 비정규삼각망(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자료구조인 ArcView(ver. 3.0a)를 사용하여 덕유산 국립공원의 1:25,000 지형도에서 생성한 DIM을 이용하여 경사도를 산출한 후 각각의 경사도 차이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해상력이 낮을수록 원자료의 등고선 간격이 클수록 지형의 smoothing 효과가 나타났다. 2) 격자형 자료구조인 Idrisi와 TIN자료구조인 ArcView사이의 경사도 값 차이는 해상력이 떨어질수록 큰 차이를 보였다. 3) 30개의 표본점을 선택해 오차 비교 결과 경사도 오차의 경우 격자형 자료구조인 Idrisi와TIN자료구조인 ArcView모두 해상력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며 표고차의 경우 ArcView는 l0m 등고선 간격에서 생성한 해상력 10, 20, 30m DTM에서 각각 4.9, 6.2, 5.9m로서 큰 차이가 없었고 Idrisi는 해상력 10, 20, 30m DTM에서 각각 6.3, 9.1, 10.9m로서 해상력이 감소할수록 표고 값의 오차가 늘었다. 4) Idrisi ArcView 모두 산정상부, 계곡 바닥과 같은 지형의 지성선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 PDF

강원도 정선지역 북실지구 깎기비탈면 붕괴 사례를 통한 도로 하부 비탈면 안정성 확보에 관한 고찰 (Enhancing the Stability of Slopes Located below Roads, Based on the Case of Collapse at the Buk-sil Site, Jeongseon Area, Gangwon Province)

  • 김홍균;배상우;김승현;구호본
    • 지질공학
    • /
    • 제22권1호
    • /
    • pp.83-94
    • /
    • 2012
  • 산악지와 하천지에 위치하는 도로에는 도로 상부와 하부에 모두 비탈면이 조성된 경우가 많다. 북실지구는 도로 하부에 조성된 깎기비탈면으로서 2010년 10월 붕괴가 발생하였다. 정밀 현장조사 결과, 본 비탈면의 붕괴 원인은 도로 상부비탈면 계곡수의 배수 불량과 도로 표면수의 직접적 유입 등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층리 발달과 같은 지반 내적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붕괴를 촉진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평사투영해석 결과 평면파괴, 쐐기파괴, 전도파괴의 가능성이 인지되었다. 한계평형해석을 통한 안전율 산출 결과 우기시 평면파괴 및 쐐기파괴 안전율이 기준치에 미달되었다. 북실지구의 지형요소를 이용한 습윤지수 분석 결과, 9~10.5로 주변지역에 비하여 높은 값을 가지므로 유수의 영향이 집중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북실지구 비탈면 안정성 확보에는 도로 상부에서 발생하는 유수 제어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치 및 축소모형실험에 의한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에서의 지형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pographic Effects in 2D Resistivity Survey by Numerical and Physical Scale Modeling)

  • 김건수;조인기;김기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4호
    • /
    • pp.165-170
    • /
    • 2003
  • 최근 전기비저항탐사는 산악과 같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도 널리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형의 기복은 전기비저항 탐사자료의 왜곡을 유발하며, 잘못된 해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비저항탐사에서의 지형효과를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모델링과 축소모형의 두 종류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축소모형실험을 연못에서 수행함으로써, 실내 수조 모형실험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가장자리 효과를 피할 수 있었다. 다양한 경사를 갖는 능선과 계곡 지형 모형에 대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두 종류의 실험결과가 실험한 모든 지형모형에 대하여 서로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계곡모델은 계곡의 중심부에 낮은 겉보기비저항대가 분포하고 그 좌우에 높은 겉보기비저항대가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며, 능선모델은 그 반대의 양상을 보인다. 또한 능선 및 계곡 모두 그 경사가 심할 경우에는 음의 겉보기비저항을 나타낼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의 해석시 지형효과를 꼭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쇄집수역의 냉기호 모의를 통한 일 최저기온 분포 추정 (A Quantification Method for the Cold Pool Effect on Nocturnal Temperature in a Closed Catchment)

  • 김수옥;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6-18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폐쇄집수역의 냉기호 현상을 기존의 냉기집적효과와 연계하여 일 최저기온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집수역 내 찬 공기가 담길 '그릇'의 용적을 계산하고 '그릇'안에 집적되는 냉기량을 고도에 따라 표현하였다. 기존의 계곡지형 냉기류에 냉기호를 합산하여 냉기집적으로 인한 기온하강분을 계산하였다. 이때 냉기호의 '수면'은 일교차 조건에 따라 변화시켰다. 이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경남 하동군 악양계곡의 200m 이하 냉기호 형성지역에 기상관측기 10대에서 1분 단위로 기온을 측정하였다. 5월 17일 새벽에는 형제봉 정상에서 적외선 영상 복사계로 지면온도분포를 획득하였다. 개선된 소기후 모형을 적용하여 0530 LST의 기온 분포를 30m 해상도로 추정한 결과 그 양상이 적외선 열영상 분포와 유사하였다. 10개 기상관측지점에 해당하는 격자의 기온추정값을 추출하여 실측값과 비교한 결과, MAE는 1.01에서 0.60으로, RMSE 1.30에서 0.71으로 감소하여 집수역 출구에 가까운 저지대 평야부분에서 발생하는 기존 방법에 의한 오차가 개선되었다.

점봉산 시험림 지역의 지오톱 분류와 지형다양성 연구 (A Study on Geotop Classification and Geodiversity in Mt. Jeombong Experimental Forest)

  • 김남신;한동욱;차진열;권혜진;조용찬;오승환;유승화;유동수;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79-19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fundamental concepts and data ideas for biodiversity and confrontation strategy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by analyzing geomorphic milieu and geotop in Mt. Jeombong experimental forest. Elements of landform were classified as landform sets by scale. Scale for classification could be decide on four categories. We could classify landforms which scale zero is seven elements, scale one is twelve elements, scale two is fifteen elements, scale three is twenty nine elements. Especially mountain wetlands were classed as valley and channel types in Mt. Jeombong. Geotop by clustering methods could be four spatial units as 2, 3, 5, and 7 classes, and analyzed geodiversity as landform sets for explanation of vegetation distribution. Rate of rise of temperature was $0.031^{\circ}C$ per year, change ratio was increased $1.25^{\circ}C$, and also precipitation was increased 320mm during forty year(from year 1973 to year 2012).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affordable to provide information for forest management of mountainous areas.

인제군 산사태 지역의 토석류 거동 예측기법 적용 (The Estimation of Debris Flow Behaviors in Injae Landslide Area)

  • 김기홍;황제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5-541
    • /
    • 2011
  • 토석류는 집중호우시 산악지형에서 발생한 사면파괴 쇄설물 또는 계곡 내에 쌓여 있던 퇴적토가 많은 양의 물과 섞여 흐르는 현상으로서 이동경로나 퇴적지점에 있는 시설물, 가옥, 인명에 큰 피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연구되었던 토석류 거동에 관련된 모형식을 국내 사례에 적용해 보았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 강원도 인제군에서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해 항공사진과 GPS 현장 측량성과를 이용하여 발생부와 퇴적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토석류 이동거리를 예측할 수 있는 L/H는 평균 4.93, 표준편차 0.97을 나타내었다. 토석류의 규모와 면적을 예측하는 경우 과대 산정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토석류가 상부의 대규모 산사태로 유발되는 것이 아니고 다발적으로 발생한 소규모 산사태로 인한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내 산지 환경에 적합한 경험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 wireless high-frequency anemometer instrumentation system for field measurements

  • Huang, Guoqing;Peng, Liuliu;Su, Yanwen;Liao, Haili;Li, Mingshui
    • Wind and Structures
    • /
    • 제20권6호
    • /
    • pp.739-749
    • /
    • 2015
  • Field measurement of wind characteristics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wind engineering community. High-frequency anemometers such as ultrasonic anemometers are widely used to obtain the high-frequency fluctuating wind speed time history. However, conventional instrumentation systems may suffer from low efficiency, non-real time transmission and higher maintenance cost, and thus are not very appropriate in the field measurement of strong winds in remote areas such as mountain valleys. In order to improve the field measurement performance in those remote areas, a wireless high-frequency anemometer instrumentation system for field measurement has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e of the proposed instrumentation system, and measured data transmission and treatment will be presented firstly. Then a comparison among existing instrumentation systems and the proposed one is made. It shows that the newly-developed system has considerable advantages.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this system to the bridge site located in the mountain valley is discussed. Finally, typical samples of measured data from this area are present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roposed system has a great application potential in the wind field measurement for remote areas such as the mountainous or island or coastal area, and hazardous structures such as ultra-voltage transmission tower, due to its real-time transmission, low cost and no manual collection of data and convenience.

포화 수리전도도와 불투수층 깊이에 따른 우리나라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s of Korean Soils Using Estimate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Depth of Impermeable Layer)

  • 한경화;정강호;조희래;이협성;옥정훈;서미진;장용선;서영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5호
    • /
    • pp.25-30
    • /
    • 2017
  • Hydrologic soil group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runoff potential and curve num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hydrologic soil groups of Korean soils by considering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depth of impermeable laye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Korean soils was estimated by pedotransfer functions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Most of paddy soils were classified as D type due to shallow impermeable layer and low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B soil horizon. For upland and forest, soils classified to A and D types increased compared with former classification method because underestimated permeabilities and overestimated drainages were corrected and rock horizon in shallow depth was regarded as impermeable layer. Soils in mountainous land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A type, followed by D type. More than 60 % of soils in mountain foot-slope, fan and valley, alluvial plains, and fluvio-marine deposits were classified to D type because of land use such as paddy and up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