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ain wetland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Vegetation of the Khogno Khan Natural Reserve, Mongolia

  • Gombosuren, Tsolmon;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65-370
    • /
    • 2001
  • The vegetation of the Khogno Khan Natural Reserve of the central Mongolia was studied in terms of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Twenty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different landscape types such as mountain areas(63%), plains(32%), and wetlands(5%). Actual vegetation map using five vegetation domains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gional vegetation. Steppe vegetation of 88% vegetation cover to the whole area is representative, which is composed of a matrix of landscape. The birch-aspen forests and the elm bush forests are relics as a patch distribu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whole territory of protected area be under the effects of severe grazing from the phytosociological viewpoint.

  • PDF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in Korea

  • Son, Sung-Won;Lee, Byung-Chun;Yang, Hyung-Ho;Seol, Ye-Jo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0-286
    • /
    • 2011
  • The natural habitats and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were recently discovered in Korea. Salomonia oblongifolia DC., which grows in mountain wetlands, was found in Gijang-gun, Busan, Gokseong-gun, Jeollanam-do, and Shinan-gun, Jeollanam-do.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which grows along the coast, was found in Yangyang-gun, Gangwon-do, Pohang-si, Gyeongsangbuk-do and Buk-gu, Ulsan. Tillaea aquatica L. and Limosella aquatica L., which was previously not known to be present in Korea, were discovered in Gijang-gun, Busan for the first time. Apocynum lancifolium Russanov, which has a narrow distribution range in Korea, was also found in Samcheok-si, Gangwon-do, Ansan-si, Gyeonggi-do, Siheung-si, Gyeonggi-do, Jung-gu, Incheon,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and Shinan-gun, Jeollanam-do.

산지습지의 수문지형분석 방법론의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Terrain Analysis for an Identification of Wetland Area at Mountainous Watershed)

  • 장은세;이은형;김상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473-1483
    • /
    • 2015
  • In this study, a digital terrain analysis had been performed for a mountainous watershed having wetlands. In order to consider the impact for wetland in the flow determination algorithm, the Laplace equation is implemented into the upslope accounting algorithm of wetness computation scheme. The computational algorithm of wetland to spatial contribution of downslope area and wetness was also developed to evaluate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due to the presence of wetland. Developed schemes were applied to Wangpichun watershed located Chuncuk mountain at Ulzingun, South Korea. Both spatial distribution of wetness and its histogram indicate that the developed scheme provides feasible consideration of wetland impact in spatial hydrologic analysis. The impact of wetland to downslope propagation pattern is also useful to evaluate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distribution.

포식압 수준에 따른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김은지;김호진;정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5-491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포식압의 수준이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치의 냄새를 포식자 신호로 이용하여 (1) 높은 포식압- 하루 세 번의 포식압 (2) 중간 포식압- 하루 한 번의 포식압 (3) 포식압 없음 세 그룹으로 나누어 채집일로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처리하였다. 먹이섭취로 인한 형태적 변화를 막기 위하여 실험은 기아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도롱뇽 유생은 경기도 광주, 인왕산, 수락산에서 채집된 난괴를 이용하였다. 포식압 처리 이후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머리길이(HWE). 그리고 코 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의 측정은 HWE를 LHW로 나눈 수치(HWE/LHW)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그 결과 포식압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HWE/LHW와 SVL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포압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하여 본 결과 포식압 수준에 따른 증가를 보여,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은 매우 에너지 소모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한정적 자원을 가진 환경에서 포식압에 의하여 카니발리즘을 일으키기 유리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토침식에 따른 내륙습지 훼손 가능성 평가 (Potential damage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by topsoil erosion)

  • 김성원;정안철;이대업;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521-531
    • /
    • 2020
  • 본 연구는 강우로부터 나타나는 표토침식과 퇴적의 영향을 고려하여 습지 훼손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담댐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천천유역은 16개의 습지가 존재하며, 습지훼손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호수형습지와 소택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2002년, 2003년에 발생한 태풍사상을 적용한 결과, 벽남제습지의 경우 상류유역에서 유입되는 토사량은 저수용량의 2.30%(22,548 ㎥)로 가장 높았다. 산지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택지의 평균 유입토사량은 저수용량의 0.03%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는 호수형습지보다 훼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넓은 면적이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호수형습지는 모형의 결과에서 토사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토양침식에 의한 습지훼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점봉산 시험림 지역의 지오톱 분류와 지형다양성 연구 (A Study on Geotop Classification and Geodiversity in Mt. Jeombong Experimental Forest)

  • 김남신;한동욱;차진열;권혜진;조용찬;오승환;유승화;유동수;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79-19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fundamental concepts and data ideas for biodiversity and confrontation strategy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by analyzing geomorphic milieu and geotop in Mt. Jeombong experimental forest. Elements of landform were classified as landform sets by scale. Scale for classification could be decide on four categories. We could classify landforms which scale zero is seven elements, scale one is twelve elements, scale two is fifteen elements, scale three is twenty nine elements. Especially mountain wetlands were classed as valley and channel types in Mt. Jeombong. Geotop by clustering methods could be four spatial units as 2, 3, 5, and 7 classes, and analyzed geodiversity as landform sets for explanation of vegetation distribution. Rate of rise of temperature was $0.031^{\circ}C$ per year, change ratio was increased $1.25^{\circ}C$, and also precipitation was increased 320mm during forty year(from year 1973 to year 2012).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affordable to provide information for forest management of mountainous areas.

지리산 왕등재습지의 담수조류의 분포와 역할 (Role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Algae at the Wangdeungjae Wetland in Mt. Jiri)

  • 박정원;박재충;김진희;송재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2
    • /
    • 2008
  • 고산습지인 지리산 왕등재습지에서 담수조류의 분포와 역할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평균)은 수온 $17.6^{\circ}C$, pH 6.3, 전기전도도 $24.6{\mu}S/cm$, 총질소 0.6 mg/L, 총인 0.09 mg/L 그리고 Chl-a는 $11.9{\mu}g/L$였다. 담수조류는 총 159종이 출현하였으며 녹조강 87종, 규조강 56종, 유글레나강 11종 그리고 남조강이 5종이었다. 이 중에서 녹조강의 물먼지말(desmid)이 56종으로 가장 많았고, 우점종은 규조강의 Aulacoseira distans이었다. 왕등재습지의 먹이사슬 분석을 위해 올챙이의 채식물을 분석한 결과 주로 담수조류를 섭식하였으며, 수중 우점조류인Aulacoseira distans가 최대로 존재하였다. 왕등재습지의 수중생태계에서 담수조류는 1차 생산자이자 상위 포식자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Jilmoi Wetlands to the Donghae Observatory, Baekdudaegan Mountains

  • Choi, Jin-Woo;Kim, Kyung-Won;Yeum, Jung-Hun;Hwang, Won-Seok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0-26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sectin stretching between the Jilmoi wetlands and the Donghae Observatory and to set the criteria for the basic data for a management plan including restoration afterwards. 12 plots($10m{\times}40m$, $20m{\times}20m$) were set up to analys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ordination by DCA, importance percentage and property,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growth increments of major woody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l analyzed. Veget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ommunity III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The P. densiflora community declined when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an understory layer in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both canopy and understory layers in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 P. densiflora declined and it was assumed to succeed to F. rhynchophylla or T. amurensis through Q. mongolica based on the importance percent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the breast height of small and middle sized trees. The age of P. densiflora was between 47 to 51 years old and Q. mongolica was 61years old. T. amurensis was 61 years old and the growth of Q. mongolica slowed a little. As the result of Shannon's index of species diversity, community I ranged from 0.9578 to 1.1862, community II ranged from 0.7904 to 1.2286 and community III ranged from 0.8701 to 1.032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cation were low compared to uncultivated mountain soil and it were analysed to be inappropriate for tree growth.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1
    • /
    • 2008
  •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군위군 화산습지의 식생: 오리나무림을 중심으로 (Hwasan Wetland Vegetation in Gunwi, South Korea: with a Phytosociological Focus on Alder (Alnus japonica (Thunb.) Steud.) Forests)

  • 김종원;이승은;이정아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70-78
    • /
    • 2017
  • 화산습지는 경북 군위와 영천 경계의 산정 분지 (표고 644~780 m)에 위치한다.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장 식생조사가 이루어졌고, 현존식생도가 제작되었다. 단위식생의 출현종의 행동양식은 피도와 상대기여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버드나무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산돌배하위군락으로 이루어진 오리나무-백당나무군락이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오리나무 우점림에 대한 선행 기재단위식생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일본갈매나무군집, 버드나무-신나무군집 등)과의 군락분류학적, 군락동태학적 대응성이 논의되었다. 본 군락은 오리나무군강(Alnetea japonicae)에 귀속되고 산간 계류 선상지에서의 분지상(分地狀) 범람원 습생림으로 규정되었다. 화산습지의 잠재자연식생이고 증거 식생형으로서 식생보존등급 [I]의 자연식생으로 평가되었다. 입지의 수리수문 환경조건의 극적인 변화(건생화 및 부영양화)로부터 국가적 보호 전략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