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s' depression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6초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 (Relation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 방경숙;강현주;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 방법과 의무기록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2개 대학병원과 시립병원, 강릉시 1개 종합병원에서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퇴원이 예정된 환아와 그 어머니 80명이다. 결과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점수의 평균은 $9.75{\pm}5.06$점이었고 산후 우울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12점 이상군은 전체의 30.0%였다. 산후우울과 관련된 변수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F =3.493, p =.035)과 가정 내 월 소득(F=5.828, p =.004), 다태아 여부(t=2.141, p =.037), 융모양막염(t=2.349, p =.021), 양수과소증(t=-2.226, p =.029), 기관지폐이형성증(t=2.085, p =.040), 배기질출혈(t=2.259, p =.027) 여부, 개정판 NBRS 점수(t=-2.772, p =.007)였다. 그리고 산후우울과 미숙아의 입원 시 주요 건강문제의 개수의 합(r=.252, p =.024)과 개정판 NBRS 점수(r=.316, p =.004)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미숙아 어머니들의 산후우울의 위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미숙아의 객관적 건강 상태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수준 등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Mothers of Developmental Risky Infants Group)

  • 김균희;김현정;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33-346
    • /
    • 2014
  • 본 연구는 만 3세 이전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지속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 2008년부터 2011년도까지의 총 4차년도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만 3세 이전에 발달위험 증상을 보인 아동 476명의 어머니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는 출산 후 4년 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개인별로 증가폭도 차이가 있었으나, 우울의 경우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들은 자녀를 출산한 해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당해의 우울 수준이 높고, 출산 직후 4년간 양육스트레스의 증가폭이 클수록 우울의 증가폭도 커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 3세 이전 영아기에 발달위험 증상을 보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을 통하여 우울 수준도 감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경제불황 상황, 부모의 내-외향성 및 우울감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conomic Hardship, Parents' intro-extrovert Personality and Depression on Parenting)

  • 김보형;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35-147
    • /
    • 200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conomic hardship. parents'intro-eatrovert personality, and depression on parenting. The subjects were 487 seventh to ninth grade children and their par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Children from which family experienced severe income loss perceived fathers'child-rearing attitudes as more warm/nurturant when fathers had extrovert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children under the worse paternal working condition perceived mothers'child-rearing attitudes as more warm/nurturant when mothers had introvert personality. The impacts of family income loss on mothers'rejecting/inconsistant child-rearing attitudes were exacerbated by its indirect effect through maternal depression.

  • PDF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행동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횡문화적 고찰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Child Behavioral Problem : A Cross-Cultural Study)

  • 한영옥;김문혜
    • 아동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7-59
    • /
    • 2003
  •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components of maternal psychological environment on child behavior problems was examined in Korean and American populations. Findings were that the level of mother's self-esteem was lower in Korean than in American mothers; the level of mother's "autonomy" and "environmental mastery" was lower in Korean than in American mothers; and "somatic complaints" were more frequent in the Korean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child behavior problems was greater in the American group. In the Korean group, autonomy and enviornmental mastery were negative components causing bo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or problems in children. Mothers' depression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affecting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in both Korean and American groups.

  • PDF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arental behavior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Comparing with Caregiving-mothers-)

  • 이지연;김원경;정경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41-45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 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산후 건강회복에 대한 비교 연구 : 미숙아 출산모와 만삭아 출산모 (Postpartum Health: A comparis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 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9
    • /
    • 2002
  •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her's postpartum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role performance between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and preterm infants over 3 months postpartum period. The study used a correlational and longitudinal design an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large study. A convenience sample of 132 mothers who had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was followed up for 3 times (postpartum 1-2 days, 6 weeks, and 3 month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period. Postpartum physical health was assessed by level of fatigue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and number of physical symptoms. Postpartum mental health was assessed by positive affect,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tpartum rol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role functional status.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fatigue in the morning, lower positive affect, higher anxiety and higher depression over 3 data collection time points, compared to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lso resumed lesser self-care activity and social and community activity than the counterparts. It implies that some aspects of preterm birth and caring for preterm infants continue to negatively affect the mother's health outcome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우울, 방임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Foreign-born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Children's Carrier Barrier in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Mothers' Daily Stress, Depression, and Neglectful Parenting)

  • 이래혁;장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73-784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우울, 방임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8차년도 원자료에서 외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를 둔 1,021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를 활용하여 단순 및 다중 매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녀의 진로장벽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방임적 양육태도는 각각 개별적으로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과 방임적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우울, 방임적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삼중매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 우울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Dep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 허보윤;한경자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1-14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ere to describe levels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depress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77 mothers who had one to three years old infant at 8 day care centers and 2 public health centers in S and B city.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scale and maternal depression(BDI). Results: The mean score for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was $44.60{\pm}12.06$. For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hid birth order, father's education, mother's job, income, marriage satisfaction, support for child-rearing. The mean for maternal depression was $10.24{\pm}7.70$. For maternal de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other's religion, parent's education, father's job, income, marriage satisfaction, support for child-rearing.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ernal depression according to the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Conclusion: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depression influence child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assess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depression, to develop knowledge about role of father for child health.

  • PDF

시설에 거주하는 미혼모에게 적용된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의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the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terventions applied to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 권태균;이금희;강은별;문정이;정주애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45-5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intervention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unmarried mothers living in facilities, and to understand core that c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Methods: Key words in English and Korean were used to search through eight electronic databases-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INAHL, RISS, DBpia, NDSL,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esults: Ten studies were ultimately selected for the integrative review and were evaluated in terms of contextual and methodological quality. The studies consisted of seven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three case report studies. The selected studies utilized music, art, forest therapy, dancing, education, and play programs to change mothers' perceptions, emotions, and behavior and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babies or others.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others' self-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babies or others as core elements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anxiety and/or depression among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기혼여성의 애착안정성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우울, 불안 : 초등학생 어머니를 중심으로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with Married Wom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 Focused on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곽소현;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35-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with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those with self-esteem. The study subjects were 240 children's mothers from seven Community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Pyeongtaek, including those from 1st graders to 6th graders of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onsequently, a total of 200 mot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by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indicated a moderate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Self-esteem showed a high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For self-esteem,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of high and low self-esteem. In the former, anxiety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In the low group, neither depression nor anxiety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2) Married women's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main effect both in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and in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However they had no interactive effect in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and in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