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ing attitude.environme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팔월의 빛』에 나타난 모성적 태도 (Mothering Attitude in 『Light in August』)

  • 최선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94-99
    • /
    • 2019
  • 작가 윌리엄 포크너는 그의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의 여성 인물들을 역동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데, 그의 여성 인물에 대한 묘사는 주로 어머니의 모습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당시의 가부장제 하에서 작가가 관심 가지고 있는 어머니의 핵심적인 역할은 가족 단위를 유지하고, 자녀들을 양육하며 성숙한 인격을 가지기 위하여 그들이 정체성을 가지고 사회화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어머니의 역할은 본인의 가족관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비단 혈연관계와 상관없을지라도 다른 개인을 양육하고 돌보는 관계까지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다. "팔월의 빛"에서 리너 그로브는 비록 혈연관계의 어머니는 아니지만 하이타워에게 인내하며 사랑을 실천하는 수용적 모성태도를 보여줌으로써 그가 소외된 삶을 극복하고 자연적 삶의 흐름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조 크리스마스의 비극이 실제적인 어머니의 부재와 이를 대신할 모성의 환경이 부재함으로써 비롯된 것을 살펴보면서 아이가 진정한 자아를 형성하는 정체성을 형성하는 외부영향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양육의 개념 분석 (A Concept Analysis of the Rearing)

  • 이수연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76-85
    • /
    • 1998
  • Rearing is important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 Traditionally, nurturing is a maternal role which is expressive role. Maternal role was composed of mothering and maternicity. Rearing is a key concept of psychology, education and sociology discipline. Knowledge of the rear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as a science and a profession. The first thing to study a concept is thought to be a concept analysis. So, in this study, concept analysis of the rearing was performed to clarify a concept of the rearing as a basis for the study of rearing afterward. The approach used for the concept analysis was the approach presented by Walker and Avant (1993). The defining attributes of rearing,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1) a series of caring activities in parent-child relation, (2) an essential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3) changeable according to time, place and object, (4) effort is necessary to the rearing, (5)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6) attitude, behavior, environment is sub-concepts of the rearing concept. The identified antecedents of the rearing was child-birth. The identified consequences of rearing were desirable or undesirable outcomes. Desirable outcome was the emotional satisfaction and growth in parent-child relation. Undesirable outcome was the emotional disorder and social maladaptation of the child. The empirical referents of the rearing could be the caring phenomena in parent-child re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