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mean temperature of northern hemispher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의 황사 발생 빈도 분포와 변화 분석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nge of Frequency of the Yellow Sand Days in Korea)

  • 김선영;이승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3호
    • /
    • pp.207-21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nge of the frequency of Yellow Sand days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atmospheric circular characteristics at the surroundings of the Korean peninsula. Yellow Sand days data are used by intensity, Siberian High Index and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Northern Hemisphere. In the Middle-western regio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Yellow Sand days was higher during the study period (1973-2004). Als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Yellow Sand days increased to latter half 16 years compared with the first half 16 years, and be clearer in Middlewest regions. Yellow Sand days frequency increased, and the trend was distinct in the Jungbu region during the study period. Increasing trend of Yellow Sand days frequency was significant for the recent 22 years. Yellow Sand day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iberian High Index in February and March. Therefore, Siberian High Index became weaker in the spring, and possibility for the occurrence of Yellow Sand days was generating larger. Yellow Sand day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in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Northern Hemisphere. Especially, the case of the strong Yellow Sand days is significant. Recently, global warming might be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trong Yellow Sand days.

Wetness or Warmth, Which is the Dominant Factor for Vegetation?

  • Suzuki, Rikie;Xu, Jianqing;Motoya, Ke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47-149
    • /
    • 2003
  • The wetness, a function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etc, and the warmth, a function of temperature, are the dominant factor for global vegetation distribution. This paper employs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armth index (WAI), and wetness index (WEI), and focuses on an essential climate-vegetation relationship at global scale. The NDVI was acquired from ‘Twenty-year global 4-minute AVHRR NDVI dataset.’ The WEI is defined as the fraction of the precipitation to the potential evaporation. The WAI wa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portion exceeded 5$^{\circ}C$ throughout the year. Meteorological data for the WEI and WAI calculation were obtained from the ISLSCP CD-ROM. All analyses were conducted for 1 ${\times}$ 1 degree grid box on the terrestrial area of the Earth, and on annual value basis averaged in 1987 and 1988. The result of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re are two regimes in their relations, that is, a regime in which NDVIs vary depending on the WEI, and a regime in which NDVIs vary depending on the WAI. These two regimes appeared to correspond to the wetness dominant and warmth dominant vegetation, respectivel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wo regimes were mapped. Most of the world vegetation is categorized into wetness dominant, while warmth dominant vegetation is seen in the high-latitude area mainly to the north of 60$^{\circ}$N in the Northern Hemisphere and high-altitude areas.

  • PDF

MSU와 ECMWF에서 유도된 중간 및 하부 대류권 온도의 시 ${\cdot}$ 공간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Middle and Lower Tropospheric Temperatures from MSU and ECMWF)

  • 유정문;이은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03-524
    • /
    • 2000
  • 중간 및 하부 대류권의 열적 상태에 대한 관측 및 모델 결과들의 상태적인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위성관측 MSU 채널2 밝기온도 자료들과 ECMWF 모델의 재분석 (1980-93년) 자료를 상호 비교하였다. 중간 대류권 온도를 반영하는 위성관측 자료는 직하점에서의 MSU2 (1980-98년)와 여러 주사각으로부터 유도된 SC2 (1980-97년)이고, 하부 대류권 온도를 반영하는 자료는 SC2R (1980-97년)이다. 여기서 MSU2는 본 연구에서, 그리고 SC2와 SC2R은 Spencer and Christy (1992a, 1992b)에서 유도되었다. 위의 네 종류 자료간의 상관은 중 ${\cdot}$ 고위도에서 높았으나 (r${\ge}$0.90), 저위도 그리고 대류가 활발한 열대 지역에서 낮았다 Hydrometeors (구름과 강수) 및 지표방출의 영향으로 잡음을 포함하는 SC2R에 대한 다른 자료의 상관이 특히 낮았다 (r${\sim}$0.65). 또한 모델 재분석에 대한 위성자료의 상관은 MSU2보다 강수 효과가 일부 제거된 SC2에서 높았다. 세 종류의 MSU 기후값의 아노말리 비교에서 지표에 민감한 SC2R의 북반구 온도는 MSU2나 SC2에 비해 현저하게 1월에 하강하였고 7월에 상승하였다. 관측 및 모델 온도들에 대한 경험직교함수 분석에서 월평균값 모드1은 열대 태평양을 제외하고 연주기를 보였다. 전체 태평양에 대한 MSU2 모드1은 Walker 순환에 의한 동 ${\cdot}$ 서 쌍극자 형태를 보인 반면, 다른 위성관측과 모델 자료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약하였다. 관측과 모델은 열대 태평양에 대한 아노말리값의 모드1, 2에서 엘니뇨와 라니냐에 의한 경년변동을 뚜렷하게 보였다. 적도 서태평양 용승 지역에서의 관측과 모델 결과 사이의 불일치는 모델에서 대기-해양 상호작용이 보완되어야 함을 제시한다.성관측 자료가 기후변동에서의 피이드백 작용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음을 본 연구는 제시한다.EX>$^{\circ}$C, 0.16${\sim}$0.62의 X$_{CO}\;_{2}$, 5${\sim}$14mole% CH$_{4}$, 0.06${\sim}$0.31mole% N$_{2}$, 0.4${\sim}$4.9wt.% NaCl의 염농도. 설화 금광산의 온도-조성 자료는 설화 함금열수계가 화강암질 용융체와 인접한 부분에 정치되어 있었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화강암질 용융체는 CH$_{4}$ 형성을 촉진시켜 유체를 환원상태로 변환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철황화물중 자류철석이 지배적으로 산출됨은 환원유체 상태를 지시하고 있다. 황화광물의 ${\delta}\;^{34}$S값(-0.6 ${\sim}$ 1.4$%_o$)은 황의 심부 화성기원을 지시하고 있다.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단위인 개별 주거단위에 관한 정보가 행정부에 등록되어 있고,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정보의 형태 또한 서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표준화되어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인구센서스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부가적으로 생산하는 경제활동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속한 사업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모든 사업체가 등록되어 있고, 개인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사업체에 잘 기록 및 정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통계생산은 단지 국가의 통계뿐만 아니라 행정조직과 행정체계를 정비하고, 개인과 사업체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