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glycerid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7초

천궁으로부터 lipid 의 분리 동정 (Lipids from the rhizome of Cnidium officinalis Makino)

  • 김형근;전형주;응우옌 트롱 응우옌;이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43-349
    • /
    • 2021
  • 천궁의 근경을 EeOH 수용액으로 추출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용매계통분획방법을 이용하여 EtOAc 분획, n-BuOH 분획 및 물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및 Sephadex LH-20을 정지상으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수행한 결과 5종의 lipid를 분리하였다. 5종 화합물은 IR, MS 및 NMR 데이터를 해석하여 각각 methyl linoleate (1), linoleic aicd (2) 6-linoleoyl-𝛼-D-glucopyranosyl 𝛽-D-fructofuranoside (3), 1-linolenoyl-3-(𝛼-D-galactopyranosyl (1→6)-𝛽-D-galactopyranosyl) glycerol(4) 및 1-linoleoyl-3-(𝛼-D-galactopyranosyl (1→6)-𝛽-D-galactopyranosyl) glycerol (5)로 구조동정하였다, 화합물 1과 3-5는 천궁에서는 이번 연구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또한 화합물 1과 2의 경우 NMR 데이터가 완전하지 않거나, 문헌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보고되어 있으나, 이번에 2-D NMR 등을 자세히 검토하여 모든 탄소 및 수소에 대한 데이터를 확실하게 동정하였다. Sucrose와 지방산 복합체인 화합물 3과 digalactosyl monoglyceride인 화합물 4와 5는 현재까지 천연에서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 보고된 지질화합물들의 면역증강, 항암활성 등을 통해, 천궁 근경의 다양한 약리활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sn-2 팔미틴산 강화유지를 섭취한 흰쥐의 지방흡수율 및 칼슘 체내이용성 측정 (The assessment of fat absorption rate and Ca bioavailability in rats fed high sn-2 palmitate formula diet)

  • 강은영;이연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36-136
    • /
    • 2003
  • 중성지방(TG)은 모유와 조제분유의 주요에너지원이며 전체에너지의 50%까지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 조제분유와 모유의 TG구조는 상당히 다르며,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지방 및 칼슘흡수에 차이가 생긴다. 즉, 모유지방산의 1/4정도를 구성하는 팔미틴산은 이것의 70%정도가 glycerol 의 두 번째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sn-2(middle)position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치의 팔미틴산은 일반적으로 췌장지방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2-monoglyceride로 존재한다. (중략)

  • PDF

Lysophosphatidic Acid and Lysophosphatidylserine, New Bioactive Lysophospholipids

  • Arai, Hiroyuki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09-110
    • /
    • 2003
  • Phospholipids function as major components of biological membranes as well as precursors of biologically active lipid messengers. It is well known that arachidonic acid attached at the sn-2 position of phosphoglycerides serves as a precursor of prostaglandins and leukotrienes. Recentl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lysophospholipids such as lysophosphatidic acid, sphingosine 1-phosphate, lysophosphatidylserine and monoglyceride also function as lipid messengers with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omitted)

  • PDF

Dark oil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 특성 (Esterifica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dark oil)

  • 박지연;김덕근;나종분;우상선;이진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5.1-105.1
    • /
    • 2010
  • 바이오디젤 보급 활성화에 따른 식물성 원료유의 가격 상승 및 수급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폐유지를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폐유지의 사용은 폐자원 활용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바이오디젤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양한 폐유지가 산업체로부터 배출되며 이 중에서 dark oil은 식용유 공장에서 식물성 원료유의 정제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바이오디젤로 전환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ark oil은 54.9%의 유리지방산과 28.0%의 triglyceride, 4.4%의 diglyceride, 그리고 1% 이하의 monoglyceride를 함유하고 있다. Dark oil의 초기 산가는 109.8 mg KOH/g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dark oil의 유지 부분(triglyceride, diglyceride, monoglyceride)을 유리지방산으로 전환시켜 HAAO(high acid acid oil)을 생산한 후, 고체 산 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지 부분의 유리지방산 전환 반응을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BS(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가 사용되었다. Dark oil:황산:물의 질량비가 10:2:10이고 SDBS가 오일 대비 3%인 조건에서 dark oil의 산가는 190.8 mg KOH/g까지 증가하였고, dark oil:황산:물의 질량비가 10:4:10이고 SDBS가 2%인 조건에서는 산가가 194.2 mg KOH/g까지 증가하였다. 생산된 HAAO을 이용하여 오일 대비 30%의 Amberlyst-15 촉매 하에서 HAAO:메탄올 몰비 1:9인 조건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였을 경우 FAME(fatty acid methyl ester) 함량은 81.3%까지 증가하였다. 고체 산 촉매로써 Amberlyst-15와 가격 면에서 저렴한 PC101을 비교하였을 경우 FAME 함량은 각각 80.7%, 77.9%로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FAME 함량을 높이기 위해 증류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 PDF

Curdlan 복합 가식성 필름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urdlan Composite Edible Films)

  • 한윤정;노희진;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8-163
    • /
    • 2007
  • 본 연구는 curdlan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물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low set 방식과 high set 방식 중 적절한 방식을 선정하였고, 순차적으로 AMG나 oleic acid 중에서 적절한 방습소재를 선정하였으며, PB와 PIB 중에서 적절한 물성개량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igh set 필름이 low set 필름보다 신장율은 다소 작지만 인장강도가 높고 수증기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curdlan 복합필름 제조에는 high set 방법이 더 적합하며 이때 PEG는 2.0g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oleic acid 첨가군이 AMG 첨가군보다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더 크고, 수증기투과도는 더 낮은 편이며 특히 oleic acid 0.3g 첨가한 경우 신장율과 수증기 차단성 면에서 유리하므로 방습소재로서 oleic acid를 0.3g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을 판단하였다. PIB 첨가군이나 PB 첨가군 모두 인장강도와 수증기투과도는 비슷하나 신장율의 경우는 PIB 첨가군이 PB 첨가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유연성과 관련된 물성개량 측면에서는 PIB 첨가가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종합적으로 curdlan에 가소제 PEG와 방습소재 oleic acid와 물성개량제 PIB를 첨가하는 것이 유연성과 관련된 물성 면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미노산 모노글리세리드류의 합성 및 계면성 (Synthesi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Amino Acid Monoglyceride)

  • 조경행;김태영;김성웅;정노희;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99-104
    • /
    • 1994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5종의 모노글리세릴 기로글루타메이트류는 초산나트륨 촉매하에 피로글루탐산과 모노글리세리드를 에스테르 반응시켜 높은 수율로 제조하였다. IR, $^1H-NMR$로 그들의 구조를 확인하였고 계면장력, 유화력을 측정하였다. 반응 생성물들의 오일용액에서의 물에 대한 계면장력은 5~9dyne/cm까지 저하되었고, 계면장력 저하능은 모노글리세리드 퍼로글루탐산 에스테르의 소수성 탄소부에 의존된다. 벤젠 및 대두유에서의 유화력을 측정한 결과 대두유보다 벤젠의 유화력이 우수하였으며 유화제로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 PDF

저급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와 아디핀산의 항균작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Adipic Acid and Medium Chain Monoglycerides)

  • 장재권;신웅규;이상호;한은상;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38-1044
    • /
    • 1997
  • Gram 음성 및 Gram 양성균, 효모와 곰팡이의 총9종의 균주에 대해 탄소수 8-12의 저급지방간 모노글리세라이드와 아디핀산의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Gram 음성균에 대해서 저급지방산 모노글리는 단독으로 거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P와 혼합첨가시 적은 농도에서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농도의 AP에 대해서 MG C8이 MG C10보다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Gram 양성균은 저급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단독으로도 항균효과가 있었으나 높은 농도가 첨가되어야 하며 AP를 혼합첨가하면 Gram 음성균과 마찬가지로 적은 농도에서도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유산균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적었다. 또한 효모 및 곰팡이는 AP보다는 모노글리세라이드가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Gram 양성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Gram 음성균과는 달리 모노글리세라이드중 MG C10이 MG C8보다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지방질 조성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Japonica and Indica Rice Bran Oils)

  • 권경순;김현구;안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7-211
    • /
    • 1996
  • 일반계 및 다수게 미강유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 지방질 조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지방의 함량은 다수계 미강이 19.5-20,7%로서 일반계 미강보다 약 4-5%높았고, 미강유중의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평균 함량비는 일반계 미강유에서는 89.5 : 4.0.6.5%이었고, 다수계 미강유에서는 93.7: 2.6 : 3.7%이었다. 즉, 중성 지방질의 함량은 다수계 미강유가 일반계 미강유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증성 지방질은 주로 esterified 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de및 monoglyceride로 되어 있었다 중성 지방질중에는 triglyceride가 48.7-49.7%. 가장 함량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free fatty acid가 26.7-27.8%로 많은양이 존재하고 있었다.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palmitic acid 등 3가지로 총 지방산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linoleic, palmitic acid의 순이었다.

  • PDF

균질기 압력을 변화시켜 제조한 두유의 유화안정성 (Emulsion Stability of Soymilk Produced by the Varied Homogenizing Pressure)

  • 이경석;김경태;정용면;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34-1438
    • /
    • 2006
  • 본 실험은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두유를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두유제조시 사용되는 유화제인 monoglyceride를 사용하지 않고 균질기 압력만을 변화시켜 제조할 경우 유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유는 콩과 물의 비율을 1:8로 하여 제조하였으며 두유의 수율은 콩의 5.87배로 측정되었다. 균질기의 압력을 $50kg/cm^2,\;100kg/cm^2,\;150kg/cm^2,\;200kg/cm^2$로 달리하여 두유를 제조한 후 중심부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화압력이 높을수록 지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고형분의 침전정도를 측정한 현탁안정성과 열처리에 따른 분리정도를 측정한 유화안정성 그리고 점도측정결과 역시 유화압력이 높을수록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결과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균질기 압력을 $150kg/cm^2$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두유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