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 ethanol amin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용액상에서 합성된 ZnO 입자의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Pattern of ZnO Particles in Chemical Solutions)

  • 김학수;김동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678-682
    • /
    • 2005
  • We studied the possibility of $Zn_4O(Ac)_2(OH)$ formation as a precursor for ZnO nano particles in sol-gel method. Four different additives such as 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mono ethanol amine (MEA), LiOH, and $H_2O$ were used for zinc acetate dissolved in 2-methoxy ethanol. ZnO particles of 5-6 nm in size were observed. Existence of $Zn_4O(Ac)_6$ was not verified. $Zn_4O(Ac)_2(OH)$ molecules were observed and they were believed to be the precursors of ZnO. A peak at 275nm in UV-Vis analysi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MEA and $H_2O$ but no ZnO particles were detected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0.1 MW급 연소후 습식아민 CO2 포집 Test Bed 공정개선효과 검증 (Process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0.1 MW-scale Test Bed using Amine Solvent for Post-combustion CO2 Capture)

  • 박종민;조성필;임태영;이영일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1호
    • /
    • pp.103-108
    • /
    • 2016
  • Carbon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ies are recognized as key solution to meet greenhouse gas emission standards to avoid climate change. Although MEA (monoethanolamine) is an effective amine solvent in $CO_2$ capture process, the application is limited by high energy consumption, i.e., reduction of 10% of efficiency of coal-fired power pla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ew solvent and improvement of $CO_2$ capture process are positively necessary. In this study, improvement of $CO_2$ capture process was investigated and applied to Test Bed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Previously reported technologies were examined and prospective methods were determined by simulation. Among the prospective methods, four applicable methods were selected for applying to 0.1 MW Test Bed, such as change of packing material in absorption column, installing the Intercooling System to absorption column, installing Rich Amine Heater and remodeling of Amines Heat Exchanger. After the improvement construction of 0.1 MW Test Bed, the effects of each suggested method were evaluated by experimental results.

입체장애아민 AMP (2-amino 2-methyl 1-propanol) 수용액의 CO2 흡수평형 (Absorption Equilibrium of CO2 in the Sterical Hindered Amine, AMP Aqueous Solution)

  • 한근희;이종섭;민병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197-202
    • /
    • 2007
  • 본 연구는 그 동안 주로 석유화학의 개질공정 등에서 적용되었던 이산화탄소 흡수분리기술을 연소배가스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로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분리공정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흡수제인 MEA(mono-ethanol amine)를 연소배가스에 적용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열화, 재생에너지 및 흡수능력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거론되는 입체장애아민인 AMP(2-amino 2-methyl 1-propanol) 수용액과 이산화탄소와의 흡수평형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AMP는 MEA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흡수능력이 반응 메카니즘에 의하여 약 2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연소배가스와 같은 저농도 이산화탄소 흡수분리공정 설계에 필요한 흡수평형자료를 부분적으로 제시하였다.

아민 함침 성형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Using Pelletized Zeolite Adsorbent with Amine Impregration)

  • 홍미소;;정윤호;박성열;박소진;백일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44-250
    • /
    • 2012
  • MEA(monoethanolamine)와 PZ(piperazine)를 함침한 성형 제올라이트 13X 흡착제를 이용하여 연소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EA, PZ를 각각 30, 50, 70 wt%로 성형 제올라이트에 함침하였다. 함침된 성형 제올라이트 13X 흡착제에 대한 물성 평가를 위해 XRD, FT-IR, BET를 이용하였다. 이산화탄소 분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성형 제올라이트, MEA 함침 성형 제올라이트, PZ 함침 성형 제올라이트에 대하여 25, 50, $75^{\circ}C$에서 흡착능을 조사하였다. 아민 함침 성형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흡착능은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연소배가스의 배출온도인 $50^{\circ}C$에서 흡착능을 비교할 때, PZ가 함침된 성형 제올라이트는 성형 제올라이트보다 1.8배 그리고 MEA 함침된 성형 제올라이트보다 20배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보였다.

느타리버섯의 지방성분(脂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Oyster Mushroom)

  • 권용주;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0
    • /
    • 1984
  • 느타리버섯의 지방질을 chloroform methanol(2:1,v/v)로 추출한 후 관, TLC, GLC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은 약 0.51%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중성지질은 33.8%, 당지질은19.7%, 인지질은 46.5% 이었다. 2. 중성지질중에는 triglyceride (38.2%), freefatty acid (20%) free sterol (10%)가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s, sterol-ester와 3가지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3. 당지질 중에는 steryl glycosides (28.9%)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23.7%)가 주성분이었으며 이외에 digalactosyl diglycer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와 2가지 미확인 당, 지질성분이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hosphatidrl choline과 serine(48.2%), phosphatidyl ethanol amine (44.4%)이 주성분이었고 phosphatidyl inositol도 소량 존재하였다. 5.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34.2%), palmitoleic (21.7%), oleic (17.7%) 및 Palmitic acid(15.3%)였다. 당지질이 주요지방산은 linoleic(47.4%)과 Palmitic acid(15.7%)였으며, 인지질의 주요지방산 역시 linoleic (72.3%)과 Palmitic acid(16.5%)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