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M-IP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변형된 IPA 분석기법을 활용한 도시부 도로 서비스 질 평가 (Evaluation of Urban Roadway Service Quality Using Modified-IPA Technique)

  • 김태호;고준호;원제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91-100
    • /
    • 2008
  • 현재 도시부 도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 평가는 통행속도, 지체 등과 같은 정량적인 부분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도시부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정량적인 부분이외에도 도로의 청결, 타운전자의 법규위반 등의 정성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부분과 정성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서비스 측면의 개선사항 도출시 주로 경영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기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형된 IPA 분석기법은 분석대상 및 항목간 상대적 수준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준이 평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례분석 지역으로 서울시 강남 3개구, 강북 3개구를 선정하여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질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변형된 IPA 평가를 토대로 도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지역별 개선항목을 도출하였다.

  • PDF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Performance of Transport Facilities in Subway for Vulnerable Pedestrians and Non-Vulnerable Pedestrians Using Modified-IPA)

  • 김태호;손상호;박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703-709
    • /
    • 2009
  •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이동시설에 대한 실태 및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지하철역사에 추가 도입될 교통약자 시설 개선의 전략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의 이동시설 관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설문조사 및 변형된 중요도-만족도(M-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시급히 개선을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개선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장애인을 중심으로 결과를 서술하였다. 첫째, 종합적인 측면의 M-IPA 분석결과 장애인은 안내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적인 측정지표별 M-IPA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행접근로, 안내방송 및 표지판, 경보 및 피난시설, 장애인화장실에 대한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들에 비해 지하철 역사로의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개선시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시설을 시급히 개선하는 것이 지하철 역사의 접근과 이동성 제고를 위해 가장 우선순위 높은 개선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M-IPA 기법을 이용한 하이패스 만족도 제고 방안 (Improvement of Hi-Pass Users' Satisfaction Using Modifie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 최윤혁;고한검;윤일수;김동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2-65
    • /
    • 2016
  • 2007년 전국적으로 개통된 하이패스(Hi-pass)의 이용률은 70%에 육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하이패스 이용률이 약 70%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하이패스 이용자들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수정 중요도-만족도 분석(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IPA)을 수행하였다. 서비스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M-IPA 기법의 경우 지역, 계층, 성별 등 다양한 유형별 특성 파악 및 각 유형별 개선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M-IPA 수행 결과 '무정차 납부'와 '통행요금 연계 할인'항목의 경우 중점 개선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무정차 납부'항목의 개선을 위하여 하이패스 이용수요에 맞는 하이패스 톨 부스의 운영 및 영업소 전후 진출입로를 고려한 하이패스 부스의 위치 선정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통행요금 연계 할인'의 항목의 경우 현재 하이패스 이용 시 통행요금 할인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이패스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개선시켜 하이패스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품질의 이원론을 이용한 개선의 우선순위 결정 (Determination of Priority for Improvement Using the Theory of Two-dimensional Quality)

  • 송해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0-77
    • /
    • 2013
  • The theory of two-dimensional quality, in particular, the Kano model that is developed by the analogy with the M-H theory, has been applied in various industry fields for more than three decad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ssumes that the degree of physical fulfilment of quality attributes and the satisfaction of that attribute is linear, and therefore, it is applicable to the traditional one-dimensional attribute, not other quality types defined in the Kano's model such as attractive or must-be attribute.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study suggests a new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using a modified IPA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quality types and a diagonal method introduced by Slack (1999) to determine improvement priority. For this, I investigated 19 smartphone's quality attributes and conducted a survey of 334 university students for the results of Kano's model, which adopted from Song and Park (2012)'s study, and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the quality attributes and the results of the priority for improvement of the 19 quality attribut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I-S priority model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IPA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of determination coefficient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two models.

M-IPA를 이용한 해수욕장 Barrier Free 환경조성 요소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 (Determining Improvement Priorities of Barrier Free Components for Beaches through M-IPA)

  • 최서연;이석환;신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43-5150
    • /
    • 2010
  •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시설을 장애물 없는 (barrier free, BF)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장애인만을 주 분석대상으로 BF 환경 조성요소들을 도출한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요소와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고려한 BF 환경조성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수욕장을 이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환경 조성요소들에 대한 만족도를 변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적용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요소인 "위생시설"의 개선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애인을 대상으로는 "매개시설"의 개선이, 비장애인을 대상으로는 "편의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대상 해수욕장시설 이용 시 장애가 되는 요소들이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생활환경 조성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통개선요소와 각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제시함으로서 BF 관련 정책수립과 예산책정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