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ad hoc networks

검색결과 699건 처리시간 0.029초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트롤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한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A Multicast Routing Protocol for Reducing the Control Overhead in Mobile Ad-Hoc Networks)

  • 임유진;안상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5호
    • /
    • pp.459-465
    • /
    • 2002
  • 동적 토폴로지 특성을 가지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응용들 중 많은 부분이 그룹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멀티캐스팅은 각 그룹에 대하여 트리나 메쉬와 같은 멀티캐스트 하부 구조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많은 오버헤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용의 특성상 소규모 그룹 통신이 주종을 이루는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하부 구조를 구축하지 않고 유니캐스트 라우팅 테이블만을 기반으로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안정된 경로의 Life-Time을 지원하기 위한 엔트로피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 (An Entropy-Based Routing Protocol for Supporting Stable Route Life-Time in Mobile Ad-hoc Wireless Sensor Networks)

  • 안병구;이주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1-3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안정된 경로의 설정 및 설정된 경로의 lifetime 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엔트로피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의 기본 아이디어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노드들의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엔트로피 기반의 안정된 경로 설정. 둘째,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는 주로 고정된 노드 환경에서 많은 연구가 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노드들의 이동성을 고려한 환경에서 연구가 이루어진다.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평가는 OPNET(Optimized Network Engineering Tool)을 사용한 시뮬레이션과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한 라우팅 프로토콜은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 하에서 안정된 경로의 설정 및 경로의 lifetime을 효과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력 절약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Cross-Layer 전송구조 (A Cross-Layer Transmission Architecture to Support Power Saving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in Mobile Ad-hoc Wireless Sensor Networks)

  • 안병구;최진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5-24
    • /
    • 2008
  • 본 논문은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력 절약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Cross-Layer 전송 구조(CLTA)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주요한 목적은 모바일 ad-hoc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경로들의 생존시간(lifetime)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노드들의 이동성 기반위에서 경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방법과 전송전력을 절약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계층 기술과 물리계층 기술의 융합과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인해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Cross-Layer 구조 전략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고정된 노드들로 구성된 센서 필드 환경에서 연구가 진행된 반면에, 본 논문은 센서 필드에서 고정된 노드들뿐만 아니라 이동 센서노드들도 함께 고려한 좀 더 실제적인 환경에서 연구가 진행된다. 제안된 구조(CLTA)의 성능평가는 시뮬레이션과 이론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PDF

A Hybrid Routing Protocol Based on Bio-Inspired Methods in a Mobile Ad Hoc Network

  • Alattas, Khalid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호
    • /
    • pp.207-213
    • /
    • 2021
  • Networks in Mobile ad hoc contain distribution and do not have a predefined structure which practically means that network modes can play the role of being clients or servers. The routing protocols used in mobile Ad-hoc networks (MANETs) are characterized by limited bandwidth, mobility, limited power supply, and routing protocols. Hybrid routing protocols solve the delay problem of reactive routing protocols and the routing overhead of proactive routing protocols. The Ant Colony Optimization (ACO) algorithm is used to solve other real-life problems such as the travelling salesman problem, capacity planning, and the vehicle routing challenge. Bio-inspired methods have probed lethal in helping to solve the problem domains in these networks. Hybrid routing protocols combine the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DVRP) and the link-state routing protocol (LSRP) to solve the routing problem.

Mobile Ad Hoc Networks(MANET)에서의 고정셀을 이용한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 Using Fixed Cell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

  • 정종광;김재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583-585
    • /
    • 2002
  • Mobile Ad Hoc Network에서는 무선으로 연결된 호스트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미리 설치된 유선망을 이용하는 셀롤러망과 달리 이동 호스트 사이의 통신만으로 이루어진 망이다. Mobile Ad Hoc Network에서는 각각의 노드들의 이동성이 높기 때문에 이 각각의 노드들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Mobile Ad Hoc Network를 위한 많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CBRP)극 변형하여 마치 셀롤러망에서의 셀과 같이 고정된 위치를 하나의 셀로 정의하고 그 하나의 셀이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라우팅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Ring-Oriented Multicast Architecture over Mobile Ad Hoc Sensor networks

  • Yang, Yubai;Hong, Choong Seon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59-1262
    • /
    • 2004
  • Detecting environmental hazards and monitoring remote terrain are among many sensor network applications. In case of fire detection, it is significantly valuable to monitor fire-spot's shape and trend in time. Mobile ad hoc sensor nodes right round are responsible for sensoring, processing and networking packets, or even launching extinguish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ring-oriented Multicast architecture based on "Fisheye State Routing" (MFSR) to organize a group of mobile ad hoc sensor nodes in a multicast way. It is familiar with traditional mesh-based multicast protocol [1] in mobile ad hoc network, trying to concentrates on efficiency and robustness simultaneously. Certain applications-based solution for hazards is proposed, quantitative results including architecture and recovery algorithms of MFSR are also investigated in this paper.

  • PDF

A Tree-Based Approach for the Internet Connectivity of Mobile Ad Hoc Networks

  • Oh, Ro-A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1권3호
    • /
    • pp.261-270
    • /
    • 2009
  • We propose a tree-based integration of infrastructure networks and MANETs (TUM) to efficiently extend the scope of mobile Internet protocol to mobile ad hoc networks and devise a tree-based routing protocol (TBRP) that is suitable for the TUM architecture. Infrastructure networks have a number of fixed Internet Gateways that connect two heterogeneous networks. Mobile nodes form a number of small trees named pMANETs, each of them growing from anchor node which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an Internet Gateway. A new node registers with foreign agent and home agent along the tree path without resorting to an inefficient flooding. Furthermore, the TBRP sets up a routing path efficiently by exploiting the tree information without relying on flooding. We show by resorting to simulation that our approach is competitive against the conventional AODV based approach.

차량 간 통신 환경에 적합한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상태관리 MAC Protocol (A State Management MAC Protocol for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Antenna)

  • 박상욱;정성대;정종인;이상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5A호
    • /
    • pp.526-535
    • /
    • 2008
  • 최근 Mobile Ad-hoc 네트워크의 다양한 연구범위 중에서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throughput을 증대시키는 MAC 프로토콜들이 연구 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안된 방향성 안테나용 MAC 프로토콜은 일반적인 Mobile Ad-hoc환경에서 spatial reuse의 향상과 통신 대역폭 종가 등의 장점을 가졌다. 하지만 이러한 Mobile Ad-hoc 네트워크에서 연구되었던 방향성 안테나 프로토콜들이 실제 차량환경에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점인 Deafness 현상도 차량환경에 Mobile Ad-hoc 네트워크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 안테나 MAC 프로토콜들이 차량주행 환경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기존에 제안되었던 방향성 안테나용 MAC 프로토콜(D-MAC)들을 차량 주행 환경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차량 간 통신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 안테나용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 전송 (Transmission of Multimedia Traffic over Mobile Ad-hoc Networks)

  • 김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5-10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전송특성을 시뮬레이션으로 연구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멀티미디어 트래픽으로 MPEG 비디오 형식의 합성 스트리밍 비디오를 사용하였으며, 합성 스트리밍 비디오는 비디오 스티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비디오 합성 알고리즘은 I(intra-coded), P(predicted-coded), B(bidirectional-coded) 프레임 열로 구성되는 특정 GOP(group of pictures) 패턴을 사용하여 MPEG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VBR 트래픽을 생성한다. 이 합성 VBR 스트림을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상에서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하였으며, 라우팅 프로토콜로는 AODV와 DSR을 사용하였다.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의 비디오 스트림 전송성능으로서 패킷지연, 패킷전달율 및 수율을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트래픽과 비디오 트래픽의 전송수율을 비교하여 보았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안정 경로 선택 알고리즘 (A Reliable Route Selection Algorithm in Mobile Ad-hoc Networks)

  • 김원익;서영주;안성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3호
    • /
    • pp.314-323
    • /
    • 2002
  • 유선 네트워크 환경을 위해 설계된 경로 설정 프로토콜들은 대역폭의 제한성과 예측할 수 없는 위상의 변화로 인해 이동 애드혹 (ad-hoc)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최근 들어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경로 설정 프로토콜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위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타 전송과 같이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기에는 이러한 애드혹 경로 설정 프로토콜로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위상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활용한 가상 지역 (안정 지역, 경고 지역) 개념을 제안하고 있고 AODV의 경로 설립 과정 시 이러한 가상 지역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이동성에 의한 위상의 변화에도 잘 적응할 수 있는 안정된 경로의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트래픽 상태와 단말들의 이동성 형태에 따른 중요 변수들을 설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안하는 경로 설정 프로토콜들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