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use housing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19초

Dose-dependent effects of a microbial phytase on phosphorus digestibility of common feedstuffs in pigs

  • Almeida, Ferdinando N.;Vazquez-Anon, Mercedes;Escobar, Jeffer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85-993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creasing doses of a novel microbial phytase (Cibenza Phytaverse, Novus International, St. Charles, MO, USA) on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 in canola meal (CM), corn, corn-derived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rice bran (RB), sorghum, soybean meal (SBM), sunflower meal (SFM), and wheat. Methods: Two cohorts of 36 pigs each (initial body weight = $78.5{\pm}3.7kg$) were randomly assigned to 2 rooms, each housing 36 pigs, and then allotted to 6 diets with 6 replicates per die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est ingredient was the only dietary source of P and diets contained 6 concentrations of phytase (0, 125, 250, 500, 1,000, or 2,000 phytase units [FTU]/kg) with 0.4% of $TiO_2$ as a digestibility marker. Feeding schedule for each ingredient was 5 d acclimation, 5 d fecal collection, and 4 d washout. The STTD of P increased (linear or exponential $p{\leq}0.001$) with the inclusion of phytase for all ingredients. Results: Basal STTD of P was 37.6% for CM, 37.6% for corn, 68.6% for DDGS, 10.3% for RB, 41.2% for sorghum, 36.7% for SBM, 26.2% for SFM, and 55.1% for wheat. The efficiency of this novel phytase to hydrolyze phytate is best described with a broken-line model for corn, an exponential model for CM, RB, SBM, SFM, and wheat, and a linear model for DDGS and sorghum. Based on best-fit model the phytase dose (FTU/kg) needed for highest STTD of P (%), respectively, was 735 for 64.3% in CM, 550 for 69.4% in corn, 160 for 55.5% in SBM, 1,219 for 57.8% in SFM, and 881 for 64.0% in wheat, whereas a maximum response was not obtained for sorghum, DDGS and RB within the evaluated phytase range of 0 to 2,000 FTU/kg. These differences in the phytase concentration needed to maximize the STTD of P clearly indicate that the enzyme does not have the same hydrolysis efficiency among the evaluated ingredients. Conclusion: Variations in enzyme efficacy to release P from phytate in various feedstuff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termining the matrix value for phytase in a mixed diet, which likely depends on the type and inclusion concentration of ingredients used in mixed diets for pigs. The use of a fixed P matrix value across different diet types for a given phytase concentration is discouraged as it may result in inaccurate diet formulation.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을 고려한 Wayfinding 개선 연구 (An Improvement on Wayfinding which considers Universal Design Concept)

  • 이경아;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23-432
    • /
    • 2016
  • 서울 지하철 노선망의 확충은 환승역이 증가하고 복합화 지상건물과의 연계로 지하공간은 복잡해졌고 이용자의 길찾기 동선(Wayfinding)을 유도하는 사인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기능이 필요에 따라 중첩, 적용해옴에 따라 피로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하철 역사공간을 대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UD) 원칙에 따른 사인시스템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유니버설사인시스템을 분석하여 접근성, 안전성, 공평성, 인지성, 심미성 등을 도출하였다. 현장조사결과 천장형 방향유도 표지판류, 벽체형 보조안내판류, 종합안내도류가 정보위계가 높은 사인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응답자의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에 대한 인식정도는 매우 낮았으나 공공시설 설계시 그 원리적용은 매우 중요시한다고 나타났다. IPA 분석결과, 접근성 측면에서 사인의 간격 및 일관된 배치, 위치 등에 대한 사항이 중점개선사항으로 도출되었고 사인의 통일성 확보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심미성이 추가로 개선요망사항으로 제시되었다. 종합안내도의 경우 외부시설물 위치에 대한 적절한 안내 및 사인의 영역화 사항이 가장 시급한 개선사항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모든 역에 해당하는 공통사항과 각 역에 따른 특성을 함께 반영한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을 적용한 지침수립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대중교통 이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TOD 계획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주요 지하철·전철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OD Planning Elements Affecting the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 Focused on the Subway and Railway Station in Incheon -)

  • 김기형;이주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647-6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의 주요 대중교통위주의 개발방식(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계획요소인 복합용도수준, 직주근접수준, 밀도와 순 밀도 비교 등을 통한 66개자치 시군구의 TOD계획요소 달성도, 지표를 선정하였다. 변수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을 도출하였다. 인천광역시 역세권 회귀분석결과, 대중교통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사자 수, 인구수, 역세권 내 버스정류장 수, 버스정류장-지하철 역 출입구 간의 거리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세권내 종사자 수, 거주인구가 많을수록 대중교통 통행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스정류장이 많을수록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역사간 거리가 짧을수록 대중교통 이용객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천시 지역의 29개 지하철 및 11개 경인전철역 주변의 역세권은 이미 중요한 TOD 계획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각 지하철과 전철 역세권은 TOD가 상당부분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