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tletoe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산(韓國産) 겨우살이류(類)의 당류(糖類)와 triterpenoids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분석(分析) - II. 동백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암활성 성분 검색 - (Analysi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Saccharides and Triterpenoids in the Korean Native Mistletoes - II. Screening the Extractives of Korean Camellia Mistletoe (Pseudixus japonicus) for Cytotoxicity -)

  • 김평수;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87-94
    • /
    • 1996
  • 한국산 동백나무겨우살이(Pseudixus japonicus) 추출물의 암치료를 위한 생약으로서 활성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메탄올, 석유에테르, 클로로포름, 초산 에틸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겨우살이 추출물의 다섯 가지 분획을 얻어, 이에 대하여 in vitro로 1차와 2차 검색 시스템을 사용해 항암활성 성분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였다. 다섯 가지 분획 중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이 1차 검색 세포인 $P388D_1$에 대해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어 MSB1, NIH/3T3, SNU-1, SNU-C2A 등 2차 검색 시스템에 대해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의 항암활성을 다양한 농도하에서 비교 검색하였다. 혈액암 세포중 특히 $P388D_1$의 생장이 클로로포름 추출물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었으며, 형질전환된 생쥐의 태아 섬유아세포와 사람의 대장암, 위암세포들도 어느 정도의 생육저해를 나타내었다. 이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의 주성분은 원소분석, 발색시약과의 반응, IR, GC-MS, $^{13}C$-NMR의 스펙트럼의 결과로 세 종류의 알칼로이드 화합물로 확인되었고, 부성분으로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와 프탈라이드 화합물이 MS 스펙트럼을 통해 동정되었다.

  • PDF

Bleeding Time Prolongation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 Yang, Hyun-Ok;Park, Shin-Young;Hong, Kyung-Hee;Kang, Lin-Woo;Choe, Kwang-Hoon;Kim, Young-Ky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52-154
    • /
    • 2002
  • The methanol extract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rean mistletoe, showed potent prolongation effects on the bleeding time in rats in vivo, and whole blood clotting time and plasma recalcification time in rats ex vivo. The prolongation effect on the bleeding time of Korean mistletoe is comparable to that of Viscum album L., European mistletoe, 185.6% and 176.5%, respectively. However, the water extracts of the both plants did not show any prolongation effects. 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receptor binding assa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s of the extracts, and both of the methanol extracts did not show any inhibitory activity. The $LD_{50}$ of the methanol extracts of both mistletoes are more than 2 g/k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htanol extract of Korean mistletoe might be a potential candidate to develop new drug to improve microcirculation.

한국산(韓國産) 겨우살이류(類)의 당류(糖類)와 Triterpenoids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III) -한국산 참나무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Sieb.)의 수용성 다당류의 구조적 특성 - (Chemical Constituents of Saccharides and Triterpenoids in the Korean Native Mistletoes (III) - Structural Featur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Korean Oak Mistletoe(Loranthus yadoriki Sieb.) -)

  • 이수희;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28-36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sugar composition of polysaccharides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WSP) isolated from Korean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Sieb. The 48-hours ball-milled meals of extractive-free dried mistletoe sawdust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for $24hrs{\times}2$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s poured into 95% ethyl alcohol to precipitate. The separated precipitate of WSP, in form of yellowish white powder by lyophilization, was fractionated into four subfractions of WSP-1, WSP-2, WSP-3 and WSP-4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column. The sugar composition of WSPs was analyzed by GLC in form of their glycitol acetates, and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s in Fractions WSP-1 and WSP-2 was determined by FT-IR and GC-MS after methylation through and acetylation. The sugars of WSPs from Korean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are majorly arabinose and galactose in stem, galactose in leaves very high in content and showed difference in composition and monomeric units between stems and leaves. D-galactose, D-glucose and L-arabinose are the simple sugars consisting of polysaccharides in WSP-1. ($1{\rightarrow}3$)-Linked galactan is the bakcbone with side chain of ($1{\rightarrow}5$)- -L-arabinofuranosyl residues and ($1{\rightarrow}6$)- -D-galactopyranosyl residues, and ($1{\rightarrow}4$)-linked glucan also presents. ($1{\rightarrow}4$)-Linked rhamnogalacturonan and ($1{\rightarrow}4$)- and ($1{\rightarrow}3$)-linked galactan present in WSP-2.

  • PDF

한국산 겨우살이류(Viscum, Korthalsella, Loranthus and Taxillus)의 분류 및 생태학적 특성 고찰 (A review of the taxonom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types (Viscum, Korthalsella, Loranthus and Taxillus))

  • 김찬수;김수영;선병윤;이재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1-89
    • /
    • 2013
  • 일반적으로 겨우살이라고 하는 공중기생식물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생태학적 측면과 농업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약용자원 측면에서 관심이 높아져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겨우살이에 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겨우살이를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것에 대비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겨우살이를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분류학 및 생태학 분야의 연구내용을 고찰하고자 수행했다. 겨우살이는 교목이나 관목의 가지에 기생하는 단향목에 속하는 현화식물로서 우리나라에는 단향과의 겨우살이 [Viscum coloratum (Komarov) Nakai f. coloratum], 붉은겨우살이[Viscum coloratum (Komarov) Nakai f. rubroaurantiacum (Makino) Kitagawa],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등 3분류군과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 et Sav.)와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 ex Maxim.) Danser] 등 2분류군을 합하여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그런데 이 종들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아직까지는 미진하였으며, 분포범위 또한 광범위하기 때문에 종 내의 형태변이에 대한 관찰도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겨우살이의 분포는 숙주 특이성과 숙주간의 거리, 환경조건, 그리고 숙주식물의 형태, 전파 매개자 섭식특성과 서식지 선택 특성에 따라 결정되었다.

마우스 Macrophage의 IL-1 및 TNF-${\alpha}$의 분비유도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s on the Induction of IL-1 and TNF-${\alpha}$ from Mouse Macrophages)

  • 윤택준;유영춘;홍은경;조영호;이석원;;유보림;김종배
    • 생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2-139
    • /
    • 199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on stimulation of macrophage, the activity to induce interleukine-1(IL-1) and tumor necrosis factors-${\alpha}(TNF-{\alpha})$ from murine peritoneal macrophage by its extracts originated from oak was examined. From in vitro analysis of the cytokines using the culture supernatants of macrophages stimulated with its extracts for 1hr, it was found that Korean mistletoe induces IL-1 and $TNF-{\alpha}$ from murine macrophage. Furthermore, both extracts of Korean mistletoes that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2% acetic acid exhibited a significant activity to induce two cytokines. In the stimulation for 30 min, Korean mistletoe at concentration of $1{\sim}100\;\mu/ml$ showed a significant induction of IL-1 from macrophage until 24 hrs after stimulation, showing maximal activity on $5{\sim}10\;hrs\;at\;10{\sim}100\;\mu/ml$. On the other hand, $TNF-{\alpha}$ was induced on the early period, 2 hrs, after stimulation at a wide range of concentration, $1{\sim}500\;\mu/ml$. In addition, the fraction of Korean mistletoe from 80% saturated ammonium sulphate precipitation showed a significant activity to induce both cytokines from macrophag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Korean mistletoe contains immunoregulatory factors responsible for stimulating murine macrophage to secrete IL-1 and $TNF-{\alpha}$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immune responses, and suggests that the activity of Korean mistletoe to induce two cytokines is functioned by a possible independent stimulation manner.

  • PDF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용매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 강다희;박은미;김지혜;양정우;김정현;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74-10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용매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hydrogen peroxide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환원력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이를 EC50 및 EC0.5로 나타낸 결과 모든 실험에서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깊은 관련성을 예상해볼 수 있었고 이를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0.01 및 0.0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잠재적 항산화제로서의 제주산 동백 겨우살이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Helixor A는 시험관 내에서 thrombospondin-1의 상승조절을 통해 신혈관생성을 억제한다. (Helixor A Inhibits Angiogenesis in vitro Via Upregutation of Thrombospondin-1)

  • 염동훈;홍경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5-903
    • /
    • 2005
  • Thrombospondin-1은 암성장과 신혈관생성 억제조절인자로 병리학적 조건과 세포외에서의 자극에 의해 세포 특이적으로 조절되어지고 이 TSP-1 유전자 발현조절은 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중요하다. Mistletoe는 기생식물로 면역조절과 항암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Helixor A는 mistletoe 추출물의 수용액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Helixor A를 투여하면 간암세포주 (Hep3B)와 혈관내피세포주 (BAE)에서 TSP-1의 mRWA와 단백질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TSP-1 promoter 활성분석으로 TSP-1유전자의 발현이 Helixor A에 의해 전사단계에서 조절되어 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침윤 분석에서 Helixor A를 처리한 배지를 두 세포주에 처리함으로 침윤된 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관찰하였고, Matrigel에서 혈관 내피 세포 (BAE)의 모세관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 침윤과 모세관 형성에서 Helixor A를 처리했던 배지의 억제 효과가 TSP-1 중화 항체에 의해 그 효과가 상실되었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TSP-1이 Helixor A에 의해 유도되어진 혈관신생 억제 효과에 연관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 하였을 때 Helixor A가 TSP-1의 상승조절을 통해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국산 겨우살이 분획물의 면역세포의 생육증진 및 세포독성 (Growth enhancement and cytotoxicity of Korean mistletoe fractions on human cell lines)

  • 이소진;이미경;최근표;유창연;노성규;김종대;이현용;이진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2-70
    • /
    • 2003
  • 기주목(상수리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별 겨우살이 ethanol 추출물의 5가지 분획물(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butanol fr., aqueous fr.)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사람 면역세포주에 대한 생육활성, 사람 정상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사람의 각종 암 세포주에 대한 생육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4종의 한국산 겨우살이 분획물들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밤나무 겨우살이 chloroform fr.(28%)을 제외한 모든 겨우살이 분획물 0.5mg/ml이하의 농도로 투여시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20%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암세포 생육 저해능의 경우, 폐암 세포주 A549와 위암세포주 AGS에 대하여 상수리나무, 밤나무, 버드나무 겨우살이 분획물에서 80%이상의 생육억제 효과를 보였다. Human B 세포주와 T 세포주에 대한 생육촉진 실험에서, B 세포주에 대하여 상수리나무 겨우살이 hexane fr. buthanol fr., 밤나무 겨우살이 hexane fr., 자작나무 겨우살이 ethyl acetate fr., 버드나무 겨우살이 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은 배양 3일에서 5일 사이 control에 비하여 약 $1.5{\sim}3$배의 세포 생육촉진을 보였다. T 세포주에 대하여 상수리나무 겨우살이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밤나무 겨우살이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자작나무 겨우살이 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버드나무 겨우살이 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은 배양 3일에서 5일 사이 control에 비하여 약 $1.5{\sim}2.3$배의 세포 생육촉진을 보였다. 한국산 겨우살이 분획물들은 정상세포 대한 독성이 약하고, 면역세포의 생육을 촉진하며, 암세포 생육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결과로부터 겨우살이는 신체질병에 대한 효과가 기대되며, 앞으로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