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stletoe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암활성)

  • Heo, Jeong Won;Yoo, Su Jung;Kim, Soo Hyun;Park, Cheol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5-85
    • /
    • 2018
  • 인공재배한 매실나무 겨우살이(PM)의 동결건조시료와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QM)의 열풍건조시료의 80% 에탄올 및 물 초음파추출물을 4종의 세포주(HEK 293, HepG2, AGS, MCF-7)배지에 첨가하여 MTT assay로 농도에 따른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HEK 293(인간신장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100{\mu}g/ml$에서 PM의 80% 에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 처리군의 생존율은 각각 $86.30{\pm}2.87%$, $89.27{\pm}0.86%$, QM의 80% 에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의 생존율은 각각 $80.76{\pm}1.67%$, $78.07{\pm}0.67%$이었다. HepG2(인간 간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 PM과 QM 모두 8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비교적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0{\mu}g/ml$에서 QM 80% 에탄올 추출물이 $57.33{\pm}1.30%$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암활성이 가장 높았고, PM 물 추출물이 $76.45{\pm}2.62%$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암활성이 가장 낮았다. AGS(인간 위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겨우살이에서 80% 에탄올추출물이 더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100{\mu}g/ml$에서 QM 80% 에탄올 추출물의 생존률이 $60.94{\pm}2.44%$로 비교적 항암활성이 높았고, PM 물 추출물이 $80.10{\pm}1.96%$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암활성이 낮았다. MCF-7(인간 유방암세포)는 $100{\mu}g/ml$에서 QM 80% 에탄올 추출물이 $69.44{\pm}1.56$의 생존율로 비교적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M 80% 에탄올 추출물이 $88.30{\pm}4.12%$로 낮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PM 물 추출물이 $73.23{\pm}3.16$으로 PM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비교적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HepG2(인간 간암세포)와 AGS(인간 위암세포)에 대해서 굴참나무겨우살이 80% 에탄올 추출물의 $100{\mu}g/ml$ 농도가 적합하였고, 매실나무겨우살이는 물 추출물 $100{\mu}g/ml$ 농도에서 MCF-7(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항암소재로 적합하였다.

  • PDF

Process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Using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막걸리의 제조 및 항산화활성)

  • Heo, Jeong Won;Kwon, You Jin;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6-86
    • /
    • 2018
  •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를 이용한 기능성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겨우살이, 기장과 쌀을 활용하여 원료의 배합비율 및 발효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최적의 배합비율을 찾기 위해 백미 100%, 백미와 기장 7:3, 5:5, 3:7 및 기장 100%의 비율로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발효방법은 Shaking incubator($30{\sim}35^{\circ}C$, 100 rpm, 19 days), Hand Shaking($21^{\circ}C$, per 12hr, 19days)하였고, 발효가 끝난 막걸리는 80 mesh 망으로 여과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Machine shaking과 Hand shaking 모두 쌀과 기장의 비율 7:3에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리가 각각 $795.83{\mu}g/ml$, $757.87{\mu}g/ml$로 가장 높았고, 기장 100% 막걸리가 각각 $503.73{\mu}g/ml$, $435.3{\mu}g/ml$로 가장 낮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achine shaking, Hand shaking 모두 쌀과 기장의 비율이 7:3에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리가 $93.48{\mu}g/ml$, $84.56{\mu}g/ml$로 가장 높았고, 기장 100% 막걸리가 각각 $37.75{\mu}g/ml$, $21.86{\mu}g/ml$로 가장 낮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 리가 가장 높았는데 Machine shaking은 평균 92.08%, Hand shaking은 평균 91.63%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achine shaking은 쌀과 기장의 비율이 7:3일 때, 73.37%, Hand shaking은 기장 100% 막걸리가 64.03%로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기장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첨가한 모든 막걸리에서 비교적 높았다. 발효방법은 Machine shaking이 Hand shaking 보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비교적 높아 발효방법으로 더 적합하였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Makgeolli Using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막걸리의 발효기간 및 겨우살이 함량 차이에 따른 항산화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 Heo, Jeong Won;Kwon, You Jin;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7-87
    • /
    • 2018
  • 매실나무겨우살이 막걸리의 생리적 효능을 검정하여 의약 화장품의 소재화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발효기간과 겨우살이 함량에 따른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tyrosinase 저해활성은 5분 간격으로 65분간 측정하였다. 막걸리는 백미와 기장을 7:3의 비율로, 겨우살이의 함량을 0%, 5%, 10%로 달리하여 10일 간격으로 최대 30일까지 Shaking incubator($30{\sim}35^{\circ}C$, 100 rpm)에서 발효하였고, 발효가 끝난 막걸리는 80 mesh 망으로 여과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일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0%는 $633.53{\mu}g/ml$, 5%는 $759.67{\mu}g/ml$, 10%는 $752.2{\mu}g/ml$을 나타내었다.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30일에 0%는 $507.57{\mu}g/ml$, 5%는 $570.13{\mu}g/ml$, 10%는 $551{\mu}g/ml$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10일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0%는 $16.18{\mu}g/ml$, 5%는 $63.87{\mu}g/ml$, 10%는 $62.99{\mu}g/ml$였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어 30일에 0%는 $0.59{\mu}g/ml$, 5%는 $10.98{\mu}g/ml$, 10%는 $1.18{\mu}g/ml$를 함유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0%의 경우 10일에 72.34%로 최대치가 나타났고, 30일에 58.61%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여주어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겨우살이 첨가군인 5%(10일:91.13%, 20일:91.09%)와 10%(10일:91%, 20일:90.8%)는 비교적 차이가 없었고, 발효기간이 30일이 경과한 후 5%는 93.46%, 10%는 92.3%로 최대값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좋은 30일 발효 막걸리를 측정하였다. 모든 겨우살이 첨가군에서 5분이 경과하였을 때, 0%는 82.68%, 5%는 69.29%, 10%는 79.5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에 유의적으로 저해활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겨우살이 막걸리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5% 첨가 막걸리에서 가장 낮았으며, 겨우살이를 첨가하지 않은 0%에서 가장 저해활성이 높고 오랜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lisma canaliculatum (Alismatis Rhizoma) and Viscum album (Mistletoe)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Broiler Chickens (택사와 겨우살이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성에 미치는 영향)

  • Kim, Ki-Soo;Kim, Gwi-Man;Ji, Hoon;Park, Sung-Uk;Yang, Chul-Ju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8 no.1
    • /
    • pp.21-2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of Alisma canaliculatum and Viscum album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 chickens. One hundred and forty Ross broiler chicks (1 day old) were assigned to 4 treatments in 5 replications with 7 birds per replicatio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NC group (without antibiotics), PC group (basal + 50 ppm Oxytetracycline), AC group (basal + Alisma canaliculatum 0.5%), and VA group (basal + Viscum album 0.5%). The results revealed that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ddition of AC to the die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eed conversion ratios than the VA addition diet and other treatments (p<0.05). The concentration of linolenic acid, ${\alpha}$-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in the AC and VA treatment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the antibiotic treatmen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SFA, USFA, and USFA/SFA. The serum IgG concentration in chickens tended to increase in the AC and VA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NC group. The IL2 concentration in AC and VA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 (p<0.05). IL6 was not detected, however. GOT, GPT, and T-billirubin in the V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p<0.05). Thus, the VA additives can result in the damage of liver and kidney. In conclusion, the dietary supplement of a 0.5% of AC and VA showed a similar growth performance and increased immunity response comparable to supplementing a 50 ppm Oxytetracyclin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C and VA are possible alternates of anti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