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ng plan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설비 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발전성능평가 시스템 구성방안 연구 (Development of Powe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sing Modeling Technology)

  • 이지훈;이인태;정남준;배중석;안영모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4권2호
    • /
    • pp.81-88
    • /
    • 2018
  • 발전소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기 위한 발전소 성능평가는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하지만 기존의 성능평가 방식은 엑셀 기반의 수작업 방식이다 보니 준비절차가 복잡하고,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성능평가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설비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하고 누락된 물성치를 계산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동 지표계산을 수행하는 설비 모델러를 통해 성능평가의 범용성,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광량 및 광질이 고려인삼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I. 광량이 인삼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ens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Ginseng Plants)

  • 천성기;목성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21-30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elects of light intensity of polyethylene net shading on the growth status, photosynthesis and root yield of ginseng plants. Polyethylene net shading of loft transmittance was the best one among light intensities of polyethylene net used in view of photosynthesis and decreasing of early leaf defoliation. According to increase of light intensity under the shading chlorophyll contents of ginseng leaves were decreased. As it was increased over 2 mg/g Photosynthesis and total saponin of leaves showed on the decrease remarkably. The rate of alternaria blight of ginseng plant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ght intensity and leaking rate. The shading of 10% transmittance in root yield was increased by 40% in 6-year-old ginseng plant as compared with common straw shading, due to decreased missing plant and increased root weight.

  • PDF

Plant Cells on Earth and in Space

  • Braun, Markus;Sievers, Andreas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3호
    • /
    • pp.201-214
    • /
    • 2000
  • Two quite different types of plant cells are analysed with regard to transduction of the gravity stimulus: (i) Unicellular rhizoids and protonemata of characean green algae; these are tube-like, tip-growing cells which respond to the direction of gravity. (ii) Columella cell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ot cap of higher plants; these cells (statocytes) perceive gravity. The two cell types contain heavy particles or organelles (sataoliths) which sediment in the field of gravity, thereby inducing the graviresponse. Both cell types were studied under microgravity conditions ($10^{-4}$/ g) in sounding rockets or spacelabs. From video microscopy of living Chara cells and different experiments with both cell types it was concluded that the position of statoliths depends on the balance of two forces, i.e. the gravitational force and the counteracting force mediated by actin microfilaments. The actomyosin system may be the missing link between the gravity-dependent movement of statoliths and the gravity receptor(s); it may also function as an amplifier.

  • PDF

종자처리 양파(Allium cepa L.)의 포장직파재래 생육 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Treatment Onion (Allium cepa L.)Seed in Direct Sowing Cultivation)

  • 이성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4-101
    • /
    • 2001
  • 종자처리 한 종자를 실제 포장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포장환경과 양파의 생육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양파 직파재배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파종기별 포장출아율, 포장출아소요시간, 생육특성, 잡초발생, 수량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1.종자처리 종자의 포장출아율은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고, 출아소요시간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2. 종자처리 종자의 직파재배 파종기는 9월 10일이 적기로 출아율과 출아소요시간은 각각 87과 192시간이었으며, 늦어 도 9월 20일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 3. 이삭재배와 직파재배의 월동 전 유묘생장은 9월20일 파종까지는 직파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뿌리수가 직파재배묘에서 월등하게 많았다. 4. 월동 후 3월 8일 조사한 유묘생장은 전체 파종기에서 직파재배가 이식재배보다 양호하였는데 이후 조사에서는 생장의 차이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5월 8일 조사에서는 9월 20일 직파묘와 이식묘의 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5. 결주율은 이식재배 3%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는 13∼18%로 훨씬 높았으며, 그 정도는 파종이 지연 될수록 심하였다. 6. 평균 구중은 직파재 배에서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직파재배와 이식재배에서 각각 230과 217g으로 직파재배에서 무거웠다. 7. 추대율은 직파재배가 이식재배 보다 높았으며, 파종이 지연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8. 수량은 직파재배와 이식 재배가 각각 5,134와 5,300kg으로 이식재 배가 높았는데, 직파재배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감소가 뚜렷하였다. 9. 품종간 평균 수량은 조생종과 중만생종에서 각각 3,750과 4,908kg으로 중만생종이 훨씬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소닉 품종이, 중만생종에서는 농우대고가 가장 높았다. 10. 흑색유공비닐 직파재배에서 발생 잡초는 흑쐐기풀 외 9종으로 흑쐐기풀, 민바랭이 및 개여뀌가 우점종이었으며,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발생잡초량은 감소하였다.

  • PDF

남부 도서지역에서 황칠나부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멀칭재료의 효과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Agronomic Chracteristics of Dendropanox morbifera LEB. In Southern Area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1
    • /
    • 1996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sim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 PDF

연근별 토양이화학성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Panax ginseng Affected by the Annual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Cultivated Soil)

  • 이일호;박찬수;송기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84-91
    • /
    • 1989
  • 인삼재배산지에서 연근별 토양이화학성과 이삼생육변화를 조사하여 토성별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6년근 수량과 결주율에 미치는 토양이화학성의 영향을 구명코저하였다. 1. 산지 6년근 수량은 토성별고 사양토 1.44, 양토 2.13, 식양토 2.46kg/3.3$m^2$이었다. 2. 6년근 결주율은 사양토 51.6%, 식양토 33.6%이었고 묘직경은 3년근부터 사양토가 식양토보다 적었다. 3. 토양입단율과 공극율은 2년근 때보다 6년근에서 증가하였다. 4. 토양무기태질소는 2, 3년근에서 100-120ppm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가 4년근 75ppm, 5년근 34ppm, 6년근 25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사양토에서 감소폭이 컸다. 5. 본 포에서 $P_2O_5$, K, Ca, Mg는 연차간변화가 적었고 토성별로는 사양토가 N, P 함량은 높았고 양이온 함량은 낮았다. 6. 6년근 수량은 점토, 공극율, 수분과 유의성있는 정상관이었고 결주율은 모래, N 함량과 정상관이었다.

  • PDF

물질수지 방법을 고려한 액화천연가스 발전소에서의 온실기체 배출량 산정 방법 비교 (Comparison of the CO2 Emission Estimation Methods in a LNG Power Plant Based on the Mass Balance Approach)

  • 김희진;여민주;김용표;장건우;신원근;이명훈;최형욱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35-244
    • /
    • 2013
  •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법은 IPCC 지침에 따라 4가지 산정등급(Tier)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기체 화력발전소에서의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Tier 3과 4의 방법에 따라 산정하여 그 결과를 물질 수지식에 따른 이론적 배출량과 비교하였다. Tier 3과 이론적 배출량의 결과는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Tier 4의 경우 이론적 배출량에 비해 최대 17% 가량 높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결과는 연속 측정 장비에서의 결측, 비정상, 무효 자료 대체로 인한 오차 가능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정상적인 자료만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결과 차이를 볼 경우에도 차이는 다소 경감하나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는 Tier 4에 해당하는 연속측정 기기 자체, 특히, 유량측정기의 오류 및 정확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Sll0396 regulates transcription of the phycocyanin genes in Synechocystis sp. PCC 6803

  • Oh, In-Hye;Kim, Ho-San;Chung, Young-Ho;Kim, Young-Hye;Park, Young-Mok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3호
    • /
    • pp.193-199
    • /
    • 2010
  • An olive-green mutant was generated in Synechocystis sp. strain PCC 6803 by inactivation of the sll0396 gene. Whole-cell absorption spectra of the mutant revealed the missing of phycocyanin peak. An investigation of the low-temperature fluorescence emission spectra revealed that the $sll0396{\Omega}$ mutant has a reduced amount of phycocyanin.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mutant contained less phycocyanin ${\beta}$- and ${\alpha}$-subunits and lacked the 30- and 32-kDa linker polypeptides, and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cription of the 1.4-kb cpcBA gene encoding the phycocyanin ${\beta}$- and ${\alpha}$-subunits was lower in the mutant. The Sll0396 protein has a DNA-binding motif and shares homology with known response regulators. Our results indicate that Sll0396 plays a regulatory role in the transcription of the phycocyanin genes during phycobilisome synthesis.

유묘 뿌리썩음병 진전에 따른 이산재배 토양의 유별 (Grouping the Ginseng Field Soil Based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s)

  • 박규진;박은우;정후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5
    • /
    • 1997
  • Disease incidence (DI), pre-emergence damping-off (PDO), days until the first symptom appeared (DUS), disease progress curve (DPC), and area under disease progress curve (AUDPC) were investigated in vivo after sowing ginseng seeds in each of 37 ginseng-cultivated soils which were sampled from 4 regions in Korea. Non linear fitting parameters, A, B, K and M, were estimated from the Richards' function, one of the disease progress models, by using the DI at each day from the bioassay. Inter- and intra-relationships between disease variables and stand-missing rate (SMR) in field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Disease variables of the root ro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incidence, e.g., DI, AUDPC and A parameter, and variables related to disease progress, e.g., B, K and M parameters. DI, AUDPC, and DU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MR in ginseng fields, and then it showed that the disease development in vivo corresponded with that in fields. Soil samples could be separated into 3 and 4 group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principal component 1 (PC1) and the principal component 2 (PC2), which were derived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Richards' parameters, A, B, K and M. PC1 accounted for B, K and M parameters, and PC2 accounted for A parameter.

  • PDF

인삼 유묘 뿌리썩음병 진전에 따른 토양군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 Groups Basd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s)

  • 박규진;정후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56
    • /
    • 1997
  •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Richards' parameter estimates, ginseng field soils were grouped as the principal component 1 (PC1) and the principal component 2 (PC2). The microflora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oil group were compared to elucidate soi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sease development of root rot of ginseng seedling. Among 3 soil groups by PC1,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s of total fungi (TF) and Cylindrocarpon plus Fusarium (C+F), and the population ratio of Cylindrocarpon plus Fusarium to total fungi or total bacteria (C+F/TF, C+F/TB) in rhizoplane of ginseng seedlings, the population of total actinomycetes (TA) and the population ratio of total Fusarium to total actinomycetes (Fus/TA) in soi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EC, NO3-N, K, Mn, ect.). Among 4 soil groups by PC2, there were differences in TF, C+F, TB, C+F/TF and C+F/TB in the rhizoplane, Trichoderma plus Gliocladium (T+G) in soil, and P2O5 content in soil. Especially, EC, NO3-N, K, K/Mg and M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C1, and TA was negatively to PC1; however, TF, C+F, TB, C+F/TF and C+F/TB in the rhizopla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PC2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microbes in the rhizoplan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tand-missing rate (SMR), although TA and Fe/M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pH and Ca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SM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