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8초

황련해독탕 추출액의 각막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Hwangryunhaedok-tang Extract against Keratitis)

  • 김인수;서진종;김광곤;하동룡;신민구;김의수;전상윤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8-297
    • /
    • 2014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measure th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of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and its constituents. All of the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the final product were prepared using high-pressure sterilization for use as medicinal eye drops. The varying forms of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were used to trea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Enterococcus faecalis which are found in keratitis. Methods: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measured by obser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timicrobial activity when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Hwangryunhaedok-tang extract.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dosage of $70{\mu}l$ dosages of 100%, 50%, 10% and 1% the extracted solution by the minimum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 measurement.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dosage strength and bacterial activity from $70{\mu}l$ to $10{\mu}l$ at the same concentration. Results: 1.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Phellodendri Cortex, and gardenia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S. epidermidis, or E. faecalis. 2. Barberry root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S. epidermidis depending on the levels of concentration but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E. faecalis. 3. Skullcap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S. epidermidis when a dosage of 100% extract $70{\mu}l$ was used. However, did no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t all against E. faecalis. Conclusions: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and its constituents such as barberry root, phellodendri cortex, skullcap, and gardenia,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medicinal eye drops to treat keratitis. However, further research on effective uses of and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re needed.

상산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Orixa japonica Thunb. Leaf Extract)

  • 최수빈;강성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9-43
    • /
    • 2014
  • 상산나무 잎의 항미생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산나무 잎을 메탄올, 70% 에탄올, $65^{\circ}C$ 열수로 추출하였고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13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paper disc diffusion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개 균주 S. mutans, B. cereus, S. aureus, P. aeruginosa가 메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clear zone을 형성하여 추출물에 의하여 생육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methanol 추출물이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에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여러 용매로 분획추출하고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dichloromethane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다른 분획물인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 water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활성이 크게 나타났던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보인 4개의 균에 대하여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S. aureus, P. aeruginosa는 추출물의 농도가 49.22 mg/mL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B. cereus의 경우 24.61 mg/mL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mutans, B. cereu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3.31, 0.21, 1.7, 1.7 mg/mL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pH에 대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H 3, 7, 11로 조절하여 1-3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항균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80, $100^{\circ}C$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120^{\circ}C$ 처리한 경우 항균활성이 약간 저하되었으나 항균활성이 완전히 실활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상산나무 잎 methanol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여 식품의 가공 처리에도 적합한 천연 식품첨가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fungal Activity of Silver Salts of Keggin-Type Heteropolyacids Against Sporothrix spp.

  • Mathias, Luciana Da Silva;Almeida, Joao Carlos De Aquino;Passoni, Luis Cesar;Gossani, Cristiani Miranda David;Taveira, Gabriel Bonan;Gomes, Valdirene Moreira;Vieira-Da-Motta, Olne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540-551
    • /
    • 2020
  • Sporotrichosis is a chronic and subacute mycosis causing epidemiological outbreaks involving sick cats and humans in southeastern Brazil. The systemic disease prevails in cats and in humans, with the symptoms restricted to the skin of immunocompetent individuals. Under these conditions, the prolonged treatment of animals and cases of recurrence justify the discovery of new treatments for sporotrichosis. This work addresses the antifungal activity of silver salts of Keggin-type heteropolyacid salts (Ag-HPA salts) such as Ag3[PW12O40], Ag6[SiW10V2O40], Ag4[SiW12O40] and Ag3[PMo12O40] and interactions with the antifungal drugs itraconazole (ITC), terbinafine (TBF) and amphotericin B (AMB) on the yeast and mycelia forms of Sporothrix spp. Sporothrix spp. yeast cells were susceptible to Ag-HPA salts a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ranging from 8 to 128 ㎍/ml. Interactions between Ag3[PW12O40] and Ag3[PMo12O40] with itraconazole and amphotericin B resulted in higher antifungal activity with a reduction in growth and melanization. Treated cells showed changes in cell membrane integrity, vacuolization, cytoplasm disorder, and membrane detachment. Promising antifungal activity for treating sporotrichosis was observed for the Ag-HPA salts Ag3[PMo12O40] and Ag3[PW12O40], which have a low cost, high yield and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s. However, further evaluation of in vivo tests is still required.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gallinarum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gallinarum.)

  • 최일;장형수;윤영민;엄주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7-183
    • /
    • 2002
  • 40여종의 한약재추출물을 제조하여 가금질병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오미자, 천련자, 소목 및 오배자 추출물은 Salmonella gallinarum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향유, 육두구, 초두구, 지실, 하고초, 소목 및 오배자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천련자, 소목 및 오배자 추출물의 S. gallinarum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1.2 ㎎/ml이며 오배자 추출물의 S. aureu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6 mg/ml로 가장 낮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열에 의한 항균활성 변화에 있어서 오미자와 오배자 추출물은 S. gallinarum에 대한 항균럭이 감소하였고 초두구와 소목 추출물은 S. aureus 에 대해 항균력이 안정하였다. pH에 의한 항균활성의 변화에서 S. gallinarum에서 오미자가, S. aureus에서는 향유, 지실 및 오배자는 산성역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알칼리역에서 불안정하였으며 소목은 산성과 알칼리역에서 안정하였다.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오배자와 소목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 및 500 ppm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양후 24시간에 무첨가구에 비해 100 ppm이상의 오배자 추출물 첨가시 시험 균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소목 추출물에서도 무첨가구보다 300 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시 시험 균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가금 질병을 유발하는 S. gallinarum과 S. aureus를 예방 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Enterococcus의 분리와 항생제 내성특성 (Antibiotic Resistances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Salad and Sprout)

  • 강태미;조선경;박종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2-148
    • /
    • 2008
  •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한 Enterococcus의 항생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샐러드 47개와 새싹채소 37개에서 Enterococcus를 분리하여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95균주, 샐러드에서 41균주 새싹채소에서 54균주의 Enterococcus를 분리하였으며 대부분이 E. gallinarium, E. faecalis, E. faecium, E. hirae, E. casselifla편, E. avium으로 동정되었다. Vancomycin의 최소 생육 저해 농도는 $4{\mu}g/mL$ 이하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된 Enterococcus에서는 vancomycin내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Enterococcus에서 streptomycin과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보였으며, 22% Enterococcus는 penicillin에서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거의 모든 Enterococcus에서 tetracycline에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모든 E. faecium과 E. faecalis에서도 ampicillin 저농고 내성을 보였으며, 7균주의 E. faecium과 5균주의 E. faecalis에서 rifampin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분리된 Enterococcus는 vancomvcin과 다른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과 낮은 내성을 각각 보였으며 다른 식품 분리균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의 분리된 Enteroccocus는 vancomycin과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이 낮아 특별히 항생제 위해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A periodontitis-associated multispecies model of an oral biofilm

  • Park, Jong Hwa;Lee, Jae-Kwan;Um, Heung-Sik;Chang, Beom-Seok;Lee, Si-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2호
    • /
    • pp.79-84
    • /
    • 2014
  • Purpose: While single-species biofilm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we know notably little regarding multispecies biofilms and their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 vitro multispecies dental biofilm model that aimed to mimic the environment of chronic periodontitis. Methods: Streptococcus gordonii KN1, Fusobacterium nucleatum ATCC23726,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TCC33384,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33277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biofilms were grown on 12-well plates with a round glass slip (12 mm in diameter) with a supply of fresh medium. Four different single-species biofilms and multispecies biofilms with the four bacterial strains listed above were prepared. The biofilms were examined with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four different planktonic single-species and multispecies bacteria were determined. The MICs of doxycycline and chlorhexidine for four different single-species biofilms and a multispecies biofilm were also determined. Results: The CLSM and SEM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growth pattern of the multispecies biofilm was similar to those of single-species biofilms. However, the multispecies biofilm became thicker than the single-species biofilms, and networks between bacteria were formed. The MICs of doxycycline and chlorhexidine were higher in the biofilm state than in the planktonic bacteria. The MIC of doxycycline for the multispecies biofilm was higher than were those for the single-species biofilms of P. gingivalis, F. nucleatum, or A. actinomycetemcomitans. The MIC of chlorhexidine for the multispecies biofilm was higher than were those for the single-species biofilms of P. gingivalis or F. nucleatum. Conclusions: To mimic the natural dental biofilm, a multispecies biofilm composed of four bacterial species was grown. The 24-hour multispecies biofilm may be useful as a laboratory dental biofilm model system.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 장형수;최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3-300
    • /
    • 2007
  • 10종의 한약재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의 E.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소목과 오배자의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은 5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목단피와 황금등은 10 mg/ml 이상에서 항균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MeOH 추출물에서는 $1.4{\sim}8mg/ml$, EtOH 추출물에서는 $1.2{\sim}12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분획층 중 EtOAc층에서 성장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소목과 오배자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0, 100, 300 및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을 조사 한 결과 배양 후 24시간에 소목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6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1$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오배자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5인 반면 5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2$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질병을 일으키는 E. coli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메티실린-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EDTA 및 Sodium Azide 병용에 의한 우스닌산 약효증대 (Potentiating Activity of (+)-Usnic Acid on EDTA and Sodium Azid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영섭;김혜성;이재원;이대영;김금숙;김현욱;노건민;이승은;이순애;송옥희;권동렬
    • 생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2-127
    • /
    • 2016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is a multidrug-resistant(MDR) strain. (+)-Usnic acid(UA) is uniquely found in lichens, and is especially abundant in genera such as Usnea and Cladonia. UA ha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uman and plant pathogens. Therefore, UA may be a good antibacterial drug candidate for clinical development. In search of a natural products capable of inhibiting this multidrug-resistant bacteria,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UA against 17 different strains of the bacterium.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UA and permeable agents against MRSA were investigated. For the measurement of cell wall permeability, UA with concentration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was used. In the other hand, Sodium azide($NaN_3$) was used as inhibitors of ATPase. Against the 17 strain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MICs) of UA were in the range of $7.81-31.25{\mu}g/ml$. EDTA or $NaN_3$ cooperation against MRSA showed synergistic activity on cell wall. UA and in combination with EDTA and $NaN_3$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ombination antibiotics against MRSA infection.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epsin에 의한 Zein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Zein Hydrolysate with Pepsin)

  • 강윤정;이상덕;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7-131
    • /
    • 2006
  • 효소에 의한 옥수수 단백가수분해물의 천연항균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zein 단백질에 단백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얻어진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membrane filter로 한외 여과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HPLC로 분취한 후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MIC, 각종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Zein 단백질에 6종의 단백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pepsin으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가장높았다. Membrane filter에 의하여 여과한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은 M.W. $10,000\~30,000$에서 가장 높았으며 $121^{\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여도 항균활성에 변화가 없는 열안정성이 매우 높았고 MIC는 2.5 mg/mL이었다. HPLC로 분리한 항균성 peptide의 N-말단 아미노산 조성은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phenylalanine, aspartic acid, argenine 순이었다. 분자량 $10,000\~30,000$의 가수분해 동결건조물을 3 mg/mL 농도로 nutrient broth 배지에 첨가하고 $37^{\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크게 생육이 저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