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3초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적용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자아존중감의 개선효과 (Th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in Stroke)

  • 김영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76-548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으로 개발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임상 실험으로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개발제품의 임상적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24명(뇌출혈 13명, 뇌경색 11명)에게 제공하였다. 실험군(13명)에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위주의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11명)에는 재활치료의 유형인 보편적 기능훈련으로 일상생활활동 훈련, 지필물과 테이블 탑 위주의 인지재활 훈련, 운동조절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주 3회 하루 2회씩 총 8주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기능적 독립 측정(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자아존중감척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제공한 집단과 보편적 재활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상생활활동, 기초인지, 자아존중감척도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중재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제공한 집단이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일상생활활동, 기초인지, 자아존중감에서 모두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P<.05). 산학공동으로 개발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과 기초 인지능력을 회복시키고, 삶의 만족과 인간행동의 원인이 되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을 뇌손상 환자와 치매 환자의 다양한 기능 회복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치매 환자에게 적용된 비약물적 인지중재방법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Application Nonpharmacological Cognitive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 곽호성;박지혁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3-26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된 비약물적 인지중재방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임상영역에서 치매 환자 중재 시 기초자료를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국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KISS, PubMed와 Sciencedirect을 통하여 검색하였으며, 주요검색 용어로는 '치매 OR dementia', '인지 자극 OR cognitive stimulation', '인지재활 OR cognitive rehabilitation', '인지 훈련 OR cognitive training'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7편에서 중재 후 인지기능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3편의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뇌파의 활성화, 간병인과 환자와의 관계 및 간병인의 삶의 질 향상, 시각적 운동 기술 향상이 나타났다.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확인을 위한 평가도구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가 가장 많았으며, 4편의 논문에서는 치매환자의 삶의 질을 중재 효과로 측정하였다. 인지중재의 주 대상자는 경도에서 중등도 사이의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토대로 임상에서 치료사들이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할 때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라 중재방법, 기간, 평가도구 등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omen Suspected Of Dementia.)

  • 장우혁;손효성;서예지;윤수정;김현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6
    • /
    • 2018
  • 목적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 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 치매 의심 노인으로 실험군 7명, 대조군 7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기간 동안 동일하게 20분간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였고, 실험군은 추가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를 적용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 치료는 5주간, 주 2회, 1회당 4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 도구로 인지기능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한국판(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 MMSE-K), 우울 지수는 벡 우울증 척도 한국판(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 K-BDI), 삶의 질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중재 후 집단 내에서 인지기능, 우울 지수,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에서는 인지 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지기능 저하와 체내 중금속 10종 간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Decline and Ten Heavy Metals)

  • 임채린;이승호;서상민;박경원;김권민;최병무;김병권;임현주;홍영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06-314
    • /
    • 2022
  • Background: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dementia are increasing.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dementia i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ag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en heavy metals in the body: arsenic, aluminum, chromium, manganese, cobalt, nickel, iron, copper, zinc, and lead. Methods: From 2018 to 2019, a total of 120 participants who suffered from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heavy metal concentrations us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Demographic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face-to-fac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a trained investigator.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e Waiting Test. The associ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 score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120 participants was 72.7 years, and 69.2% were female. The mean of the MMSE-K and K-BNT scores were 22.9 and 37.9,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of aluminum (Al) was 8.42 ㎍/L. MMSE-K was associated with iron (Fe), but the significance was removed in the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24 points. K-B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uminum and the odds ratio for K-BNT above 38 decreased by 45% as the aluminum concentration increased. Conclusions: The association between aluminum and the K-BNT score indicated that aluminum is associated with language-related cognitive decline. Based on this result,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by considering co-exposure effects of heavy metals including aluminum.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on the Elderly)

  • 이미진;최정기;김소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93-104
    • /
    • 2023
  • 고령화로 인해 기대수명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노인성 질병 등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문헌을 분석하여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 수집을 위해 국내는 RISS, KISS, Korea Med, Science On, 국외는 PubMed, Cochrane central, MDPI, Google Scholar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문헌의 방법론적인 질적 평가를 위해 코크란 그룹의 RoB2와 RoBANS를 이용하여 비뚤림 평가를 진행하였다. 2000년부터 2022년 1월 사이에 게재된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여 총 1,856편에서 최종 21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60세 이상이며, 선정된 문헌의 참가자는 최소 7명에서 최대88명으로 총 750명이 참가하였다. 분석결과, 각 지표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검사는 심리지표에서 우울 7편, 인지지표에서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편, 생리지표에서 혈압 4편, 생화학지표에서 멜라토닌 2편, 신체지표에서 체지방과 근력 3편으로 나타났다. 총21편의 연구 중 19편의 연구가 2가지 이상의 검사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지표를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향후 노인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인지기능 예방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산림치유 활동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후속연구는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치매 환자의 매선 요법 치료에 관한 치험 3예 (The Case Report of 3 Dementia Patients Treated by Needle-Embedding Therapy)

  • 배달빛;박장호;유윤선;이고은;정현국;강형원;유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9-116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eedle-Embedding Therapy on dementia patients. Methods : We recruited 3 dementia patients who have been experiencing memory disorder and orientation disorder. The patients had been evaluated with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an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ation (Sunghyangjunggi-san) and acupuncture. After 15 days, the patients were added to Needle-Embedding Therapy. We measured MMSE-K, GDS and CDR for every 15 days. The effects of additional Needle-Embedding Therapy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Results : After Needle-Embedding Therapy was added, Patients' memory and orientation have been improved and the score of MMSE-K ascended. The grade of GDS and CDR were maintained or decrease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Needle-Embedding Therap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Dementia patients.

안구 운동이 노인의 인지능력 변화에 미치는 융합적 분석 (Convergent Analysis of Old People Eye Movement Training on Change of Cognitive Ability)

  • 배세현;김경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1-127
    • /
    • 2018
  • 본 연구는 55명의 노인 대상자를 무작위로 급속안구운동(saccadic eye movement, SEM)군과 원활추종눈운동(smooth pursuit eye movement, SPEM) 두 군으로 구분하여 4주 동안 안구운동을 실시한 후 사건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s)중 P300의 전위값과 잠복기 그리고 MMSE-DS를 사용하여 안구운동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SEM과 SPEM 군의 P300 전위값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P300의 잠복기는 유의하게 짧아졌다. MMSE-DS 결과 두 군 모두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군간 비교 시 SEM군은 지남력, SPEM군은 주의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EM과 SPEM은 노인의 인지능력을 향상 및 유지를 시킬 수 있으며 치매예방과 경도 치매에 대한 치료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년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남성 치매환자의 운동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e Year Exercise Program on Exercise Capacity & Cognitive Function in Male Patients with Dementia)

  • 곽이섭;엄상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0-224
    • /
    • 2005
  • 1년간의 운동이 남성 치매환자의 운동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운동군의 경우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및 MMSE는 운동전에 비해 운동중과 운동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평형성과 민철성은 운동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연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통제군은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1년간의 운동은 남성 치매환자의 운동능력과 인지기능을 향상시켜 환자들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나아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Balance and Cognition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 Cheol-Jin Kang;Sung-Min Son;Se-Hee Par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6권2호
    • /
    • pp.61-66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OT) on the balance and cogni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2 participants each). The 5-week intervention involved 45 minutes sessions, three times a week. Both groups did 30 minutes of general physical exercises, follow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atching a 5 minutes video featuring functional movements and imitating them for 10 minutes. The control group watched a scenic video and did functional training for 10 minutes, mimicking the experimental group.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Functional Reaching Test (FRT), Berg's Balance Scale (BBS), and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ithin-group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05 for all variabl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within-group changes in the TUG test, FRT, BBS, and K-MMSE (p<0.05).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FRT and K-MMSE (p<0.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change in the TUG test, BBS, and K-MMSE after the interventions (p<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OT and repetition of actual movements, led to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alance and cognitive abil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observed scenic landscapes.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에 대한 자가보고 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및 효율성 검증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ain Self-report Scale in Elderly with Dementia)

  • 류언나;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122
    • /
    • 2011
  • Purpose: The aim on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a Pain Self-Report Scale for elderly with dementia and compare these results with an observational pain rating scale.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36 elderly with dementia who were residents in a nursing home, geriatric hospital, or day care center. The subject's pain was measured by five self-report scales and observational scale. DS-DAT (discomfort scale-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was used for pain behavior observational measure. Cognitive state was assessed using the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Results: Observational rating correlated moderately with self-report (r=.225~.585, p<.05) and tended to underestimate pain intensity. Test-retest reliability was high for all five self-report scal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scales was very strong (r=.735~.856, p<.05). Comprehension rate of VDS (verbal descriptor scale) was 88.3%, and NRS (numeric rating scale) 69.9%, FPS (face pain scale) 66.9%, HVAS (horizontal visual analog scale) and VVAS (vertical visual analog scale) 65.4%. Conclusion: Nurses should not apply observational scales routinely in demented patients as many of these are capable of reporting their own pain. Self-report, the highest standard of pain measurement can be reliably performed in a large proportion of demented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