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e area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2초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예측을 위한 퍼지추론기법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Fuzzy Reasoning Method for Prediction of Subsidence Occurrences in Abandoned Mine Area)

  • 최성웅;김재동;최광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5호
    • /
    • pp.463-472
    • /
    • 2009
  • 국내 광산에서 많이 적용되어 왔던 주방식 채굴법 및 위경사 중단붕락법은 그 특성상 지표, 특히 천부에서의 침하 발생 가능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이들 광산에 대한 갱내도 및 채굴작업에 대한 기록이 완전하지 않고, 또한 국부적인 지질학적 정보가 충분치 않아 지반침하, 특히 싱크홀 형태의 침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표준화하기가 매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퍼지추론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기법은 지반침하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그 과정의 단순함은 물론, 지반 및 광산에 대한 정밀한 자료가 부족하더라도 비교적 신뢰도 있는 예측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이미 지반침하가 발생한 경북 봉화지역의 금호광산 및 충주 이류지역의 충주본산광산에 대해 적용됨으로써, 퍼지추론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지반침하 발생가능성 예측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폐광산 지하 채굴갱도 기초형상 분석 및 개선된 광산 지하공동 측정·분석 기술 연구 (A Study on the Basic Geometry Analysis of Abandoned Underground Mine Tunnels in Korea and Advanced Measuring-Analysis Technology for Underground Mine Cavities)

  • 김수로;박성빈;최병희;윤중만;정교철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6권6호
    • /
    • pp.455-465
    • /
    • 2016
  • 광물자원 채굴을 위한 지하 채굴공동의 붕괴는 인간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의 지반침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거 광산지역에 대한 도면이나 사진 자료는 광해방지사업을 위하여 중요한 정보가 되고 있다. 광산지역의 조사, 광산 안정성 평가, 보강공사 등 일련의 과정은 통상적으로 과거 폐광산의 도면 및 사진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한국은 일제강점기 및 1960년대 광산 활황기에 수많은 광산이 무질서하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광산 관련 정보는 사용에 제한적인 상황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희소해질 것으로 본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은 현실적인 대안을 수립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광산개발 굴진에 관련한 대한 기초정보를 통계적으로 검토하고, 진보된 폐광산 지하공동 측정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1,784개 폐광산에 대한 4473개 갱도(갱구)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소규모 갱도(갱구) 평균 수치는 높이 1.982 m이며, 폭 1.959 m로 분석되었다. 또한 형상계수(shape factor, S)의 평균값은 0.485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폐광산 수치 자료는 한국의 폐광산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광산 지하공동 측정기술의 발전은 미래의 광산 지반침하방지사업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광해로 인한 지반침하의 효율적인 보강방안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Effective Countermeasure for Ground Subsidence due to Mining Hazard)

  • 홍원표;이재호;허세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7-13
    • /
    • 2007
  • 폐탄광 지역에 도로, 철도 등의 시설물이 건설되는 경우, 침하를 억지하기 위한 지반보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보강공법을 적용한 경우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적용공법별 지반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채굴적 상부지반만을 보강하는 경우에는 보강효과가 작았으며, 채굴적을 충전하는 공법이 지반침하를 억지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굴적을 충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경우, 지반침하는 채굴적의 충전율에 따라 쌍곡선형태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굴적 충전율과 침하저감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 PDF

폐석탄광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 평가 - 강릉탄전 임곡천 일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Geochemical Environment around the Abandoned Coal Mine - With special reference to geochemical environment around the Imgok Creek in the Gangreung Coal Field -)

  • 전효택;김주용;최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6호
    • /
    • pp.499-508
    • /
    • 1998
  • The Imgok Creek is located in the Gangreung coal field, which has been known that sulfides are more abundant than other coal fields in Korea, and it has been severly contaminated by acid mine drainage (AMD) discharging from the abandoned coal mines, such as the Youngdong, the Dongduk and the Waryong coal min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ynthetically assess the contamination of natural water, stream sediment and cultivated soil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MD treatment. Geochemical samples were collected in December, 1996 (dry season) and April, 1997 (after three day's rainfall). TDS of the Youngdong mine water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mine waters. In the Imgok Creek, concentrations of most elements, except Fe decreased with distance by dilution caused by the inflow of uncontaminated tributaries. From the results of NAMDI and $I_{geo}$ calculation, the Youngdong coal mine was the main contamination source of the study area. Groundwater pollution was not yet confirmed in this study and the paddy and farm land soils were also not yet contaminated by mining activity based on the pollution index ranging from 0.27 to 0.47.

  • PDF

석탄광의 산성갱내배수 처리.이용.제어에 관한 연구 -한국형 특수갱배수 정화장치 시작품 현지적용실험- (Study on the Treatment, Utilization and Control of the Acid Mine Drainage for Colliery - An on-site test on the Applicability of a Korean-type Prototype for Mine Drainage Purification-)

  • 이춘택
    • 기술사
    • /
    • 제19권4호
    • /
    • pp.11-21
    • /
    • 1986
  • Mine drainage from coal mines is mostly acidic, polluted and/or contaminated, even if its quantity has increased substantially during recent days. This causes two kinds of problems arising at mining districts; one is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and the other is insufficient water supply for living, employee's bathing and industrial purposes. In order to mitigat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 specific equipment of Korea type for mine drainage purification has been developed and its prototype manufactured, followed by its applicability tests implemented at mine site. The results of the tests indicates that the new equipment developed is much lower than and economical compared to, other existing neutralization facilities at home and abroad in capital investment at installation stage, the consumption of neutralizing chemicals at operation stage and the requirements of installation site. Whangji area where the prototype water treatment equipment is installed has been sustaining a short supply of usable water, especially in dry seasons and supplementing about 40㎥ of water brought from a location farther than 4km in distance to meet water requirements. The prototype water treatment equipment is however considered capable of providing compressor cooling water in sufficient amount from winter season In the future.

  • PDF

제이연화광산(第二蓮花鑛山)의 지질광상(地質鑛床)에 대(對)하여 (Geologic Report of the Second Yeonhwa Mine, Kangwon Province, Korea)

  • 한갑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권4호
    • /
    • pp.211-217
    • /
    • 1972
  • The Second Yeon Hwa Mine which belongs to a so called Lead-Zines Belt Area in the central east Korea is located at about 10 km northeast of the Seogpo railway station on Yeongdong Line. The exploitation of the mine started in June, 1969 and furnished the machinary ore dressing plant in November, 1971. The current monthly production of rude ore is 15,000 meteric ton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lead-zinc-copper deposits of the Second Yeonhwa mine are summerized as follows: (1) main ore deposits of the mine are localized in the Pungchon Limestion formation of Cambrian age, (2) related ingneous rock with ore deposits is granite porphyry, which distributed in NS and $N50^{\circ}W$ trend, (3) ore solution ascended along the $N50^{\circ}W$ trend which represents folding axis and fault plane and mineralized selectively in the limestone formation. (4) high grade ore deposits are localized in concave and convex boundaries of granite porphyry, and hanging walls of shale bed ($P_2S$ shale bed) i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and (5) skarn minerals are consisted of garnet, hedenbergite, diopside, and sulfide minerals are composed of zincblenede, galena, phyrhotite, pyrite and some amount of chalcopyrite and arsenopyrite.

  • PDF

달성폐광산 주변 식물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n Heavy Metal Pollution of Plants at Dalseong Abandoned Mine)

  • 이재영;이인호;김석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3호
    • /
    • pp.223-233
    • /
    • 1998
  • The environments in the vicinity of the Dalseong mine has been much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related to CuW ore deposit, which is of hydrothermal pipe type mineralized by quartz monzonite in the andesitic rocks. Chalcopyrite and wolframite are major ore minerals and sphalerite, galena and others are associat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plants, samples of plants and soils were analysed by ICP for Fe, Mn, Cu, Pb, Zn, Ni, Co, Cd and Cr. Most of ore-related heavy metals are anomalously high in plants and soils, which were contaminated by the development of Taehan Tungsten Mining Company. The mine produced 48,704 tons (M/T) of 4 wt.% Cu and 1,620 tons (S/T) of 70 wt.% of $WO_3$ during active mining activity from 1961 to 1971 but was closed in 1975. Wild plants growing at the mine area may be used to remove heavy metals form soils, which cause contaminations of plants, stream waters and groundwaters in the vicinity of the mine.

  • PDF

휴폐광산 지역에서 폐석의 중금속 존재 형태와 지화학적농축계수 평가 (Fraction and Geoaccumulation Asses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Abandoned Mines wastes)

  • 김휘중;박병길;공성호;이재영;옥용식;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6호
    • /
    • pp.75-80
    • /
    • 2005
  • 남한강 상류지역의 금속광산인 거도, 만정, 조일광산은 1988년 석탄광산합리화 사업과 더불어 폐광되었으며, 휴$\cdot$폐광된 이후 다량의 광산 폐기물을 방치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광미, 폐석 등의 이동에 의한 주변의 토양오염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없기 때문에 이들 광산폐기물에 의한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폐광된 거도, 만정, 조일 광산의 광산 폐석에 의한 수질 오염 가능성 평가를 위해 각 광산에서 폐석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HCl 처리 농도에 따라 지화학적 농축 계수(Index of geoaccumulation), 중금속 존재 형태와 이동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카드뮴, 납, 아연, 구리, 니켈 그리고 크롬의 지화학적 농축 계수는 각각 6, $4\~6,\;0\~6,\;4\~5$, 2, 0을 나타냈다. 광산 폐석에서 카드미뮴, 납, 아연, 구리의 지화학적 농축계수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지역이 상당한 오염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광산 폐석에서 중금속의 존재 형태는 구리의 경우 유기물 형태, 납은 탄산염 형태, 니켈과 아연은 잔류상 형태로 나타났다.

옥성(玉城) 동(銅)-아연(亞鉛) 광산(鑛山) 주변(周邊) 토양중(土壤中) 중금속(重金屬)의 형태별(形態別) 함량(含量) (Sequential Extraction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Oksung Cu-Zn Mine)

  • 조재영;김은혁;한강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46-452
    • /
    • 2000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소재 옥성 동-아연 주변 농경지 토양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식물흡수도와 이동도를 예측하기 위해 연속추출법을 이용한 화학적 형태조사 및 폐광산 유출수가 주변 농업용수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중 각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별 함량 분포는 Cd의 경우 organically bound > exchangeable > carbonate > residual > sulfide form, Zn 의 경우 residual > sulfide > exchangeable > organically bound > carbonate > water soluble form, Cu와 Pb의 경우 carbonate > residual > organically form > sulfide > exchangeable form, Cr은 residual > organically bound > sulfide > carbonate > exchangeable form, 그리고 Ni는 residual > exchangeable > sulfide > carbonate > organically bound form의 순서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별 함량 분석 결과 치환태 중금속의 함량은 각각 Cd 30.2%, Zn 11.3%, Cu 2.0%, Pb 4.6%, Cr 0.6%, Ni 3.9%로 나타나, 중금속의 이동성과 식물체의 가급성은 Cr > Cu > Ni > Pb > Zn > Cd의 순서로 나타났다. 폐광 갱내수중 중금속의 평균 함량은 Cd 0.01, Zn 27.35, Cu 4.86, Pb 1.04, Cr 0.03, Ni $0.08mg\;L^{-1}$, 폐광 유출수의 경우 Zn 16.67, Cu 0.59, Pb 049, Cr 0.05, Ni $0.06mg\;L^{-1}$, 주변 농업용수의 경우 Zn 1.26, Cu 0.05, Pb 0.05, Ni $0.02mg\;L^{-1}$로 나타났으며, Cd, Cr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석회석 광산 갱내수 유입원 예측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redicting and Analyzing Inflow Sources of Underground Water in a Limestone Mine)

  • 이민규;박승현;고휘철;정용식;허선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5호
    • /
    • pp.388-398
    • /
    • 2023
  • 광산개발에 따른 지하수 유동의 변화는 지반의 소성 변화 및 강도 저하, 붕락과 같은 주요 문제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한다. 지속적인 채광 작업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계절적인 갱내수 유입량의 변화와 단전이나 펌프의 파손 및 돌발적인 유입량의 증대에 대처할 수 있도록 갱내수 유입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지와 인근에 있는 석회석 광산과의 수리적 연결성 확인을 통한 갱내 누수의 원인 규명을 목적으로 지하 매질의 연결성 확인을 위한 추적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염료계, 이온계 등 다양한 추적자를 적용한 실내실험을 통해 추적자 물질을 선정하였고, 현장 시험을 통해 대상지역의 수리지질 모델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광산 외부 계곡과 갱내수에 대한 수리적 연결성과 갱내 누수의 원인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