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gut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8초

개불(Urechis unicinctus) 전장 섬모 상피세포의 미세구조와 여과기능 (Ultrastructure and Filtrating Function of the Ciliated Epithelial Cells of Foregut in Urechis unicinctus)

  • 신길상;이순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435-446
    • /
    • 1998
  • It is suggested that Urechis unicinctus is a filler feeder as like many tide and watery invertebrates which filtrate food materials by ciliary movement.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lter is not yet known in U. unicinctus, nor the filtering mechanism is not well understood. This study reveals ciliated epithelial cells in the foregut and the features of the cilia are good accord with that of known filtrating apparatus of other tide animals. This may implies that the foregut is in function of filtration and the food materials are filtrated by the ciliary movement. With the observation of the filtrating apparatus in the foregut, the intestine of U. unicinctus can be functionally compartmented into 3 parts. These are already known midgut and hindgut in function of digestion and respiration respectively, and the foregut in function of filtrating apparatus for foods. The filtrating apparatus of U. unicinctus is composed of the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al cells with numerous cilia. The cilia are well differentiated kinocilia with the typical microtubule pattern, kinetosome and cilia roots. There are two kinds of striated cilia roots, the main root and the accessory root. The main root is extended perpendicularly from the cell surface to basement membrane and the short accessory root is branched with an acute angle of about $80^{\circ}$ from the main root at level of basal plate of the kinetosome. The spacial approaches of the main root with the large fused form of mitochondria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which might be in structural consideration an intimate association between energy source and energy mass consuming cell organelles.

  • PDF

Cloning and mRNA Expression of an Actin cDNA from the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 Gui, Zhongzheng;Lee, Kwang Sik;Wei, Yadong;Yoon, Hyung Joo;Kim, Iksoo;Guo, Xijie;Sohn, Hung Dae;Jin, Byung 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187-191
    • /
    • 2004
  • Actin is a ubiquitous and highly conserved protein found in eukaryotic organisms.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cDNA cloning and mRNA expression of an actin gene from the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The A. germari actin cDNA is 1524 bp containing a complete 1128 bp open reading frame that encodes a polypeptide of 376 amino acid residues with a predicted molecular weight of about 41.5 kD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A.germari actin cDNA showed 99% protein sequence identity to Homalodisca coagulata actin, differing at only two amino acid positions, and 92-98% protein sequence identity to known insect species actins. The predict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germari actin revealed the four residue hydrophobic pulg loop characteristic of the actin family.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A. germari actin is highly expressed in epidermis and muscle, and less strongly in midgut, but not in the fat body of A. germari larva.

Diversity of midgut microbiota in ticks collected from white-tailed deer (Odocoileus virginianus) from northern Mexico

  • Zinnia Judith Molina-Garza;Mariana Cuesy-Leon;Lidia Baylon-Pacheco;Jose Luis Rosales-Encina;Lucio Galaviz-Silv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117-130
    • /
    • 2024
  • Ticks host different pathogens as endosymbiont and non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productive fitness and nutrient provision. However, the bacterial microbiomes of white-tailed deer ticks have received minimal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bacterial microbiome of ticks collected from Odocoileus virginianus on the Mexico-United States border to assess differences in microbiome diversity in ticks of different species, sexes, and localities. Five different tick species were collected: Rhipicephalus microplus, Dermacentor nitens, Otobius megnini, Amblyomma cajennense, and A. maculatum. The tick microbiomes were analyzed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mong all tick species, the most predominant phylum was Proteobacteria, followed by Actinobacteria and Firmicutes. The ticks from Tamaulipas and Nuevo León presented the highest bacterial species diversity. Acinetobacter johnsonii and A. lwoffii were the common bacterial species in the microbiome of all ticks, Coxiella were present in R. microplus, and Dermacentor nitens also exhibited a Francisella-like endosymbiont. The microbiome of most females in D. nitens was less diverse than that of males, whereas R. microplus occurs in females, suggesting that microbiome diversity is influenced by sex. In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A. maculatum and O. megnini, Candidatus Midichloria massiliensis, and Candidatus Endoecteinascidia fumentensis were the most predominant endosymbionts. These results constitute the initial report on these bacteria, and this is also the first study to characterize the microbiome of O. megnini.

가잠의 인공사료자원과 섭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ile Resources for the Artificial Diet and Feeding Respons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6
    • /
    • 1982
  • 본 연구는 누에의 인공사료를 개선함에 있어서 사료자원을 저렴한 가격으로 손쉽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49종의 식물과 5종의 Cellulose원에 대하여 사료자원으로서의 적부를 검정하고 한편으로는 82종의 보존잠품종에 대한 계통별 섭식상황을 조사하고 또한 사육조건에 따른 섭식성의 차이와 잠체내의 효소활성과의 관계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할 49종의 식물중에서 대조구(기본인공사료)보다 모진율, 2령기잠률 및 기잠체중이 더 높은 것은 동부, 오리나무, 결명차, 고구마, 토끼풀, 벚나무, 콩등이었다. 2. 모진율과 2령기잠률이 우수한 동부, 고구마. 방동산이, 오리나무 결명차, 망초구를 선발하여 전령사육을 행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최성잠체중과 견중이 무겁고 화통비율도 더 높았으므로 이들 식물은 인공사료자원으로 이용할만한 충분한 가치가 인정되었다. 3. 인공사료조성에 첨가할 Celluloso원은 뽕나무 Cellulose가 잠체중과 견층비율이 높고 감잠비율은 낮으며 과과일수가 짧아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Cellulose조제방법은 NaOH처리법이 가장 간편하고 가공비도 절약되었다. 4. 우리나라 보존잠품종 82종의 인공사료에 대한 섭식성은 잠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고 계통간에도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대체로 일본종계가 양호한 편이고 중국종계, 구주종계의 순이다. 5. 사료조건이 상이한 경우 즉 인공사료육에서 상엽육으로 또는 상엽육에서 인공사료육으로 전환하는 시기는 다같이 4령초기가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며 3령기도 무방할 것 같다. 6. 인공사료육에 적당한 온도범위는 1~3령기는 3$0^{\circ}C$, 4~5령기는 28$^{\circ}C$로 밝혀졌으며 전령 27$^{\circ}C$도 거의 비슷한 사육결과를 보여 주었다. 7. 잠품사별, 사육온도별 그리고 사료원별로 Esterase 및 Phosphatase의 Agarose gel 전기영동상을 비교해 보면 1) 상엽육과 인공사료육잠아의 중장 Esterase영동상은 잠령기별로 서로 다르고 상엽육잠아에는 인공사료육잠아에 비하여 1~2개의 활성대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2) 인공사료에 대한 섭식성이 양호한 중 15는 섭식성이 불량한 중 60희에 비하여 중장 Esterase활성대가 1~2개 더 많은 경향이 있었다. 3) 사육온도별로 3~4령잠의 중장 Esterase영동상을 비교하면 28$^{\circ}C$구는 3,4령 모두 5개활성대가 인정되었으며 35$^{\circ}C$구에서는 3령기에 4개활성대, 4령기에 6~7개의 활성대가 나타났다. 4) 중장 혈액 및 견사선의 Esterase영동상은 각기 상이하다. 즉 중장에는 5개활성대. 혈액에는 1개활성대, 견사선에는 3개활성대가 인정되며 발육 계제에 따라 활성대수에 변화가 있었다. 5) 중장 혈액 및 견사선의 Acid Phosphatase영동상을 보면 중장에는 3령잠에 1개, 4령잠에 2개, 5령잠에는 3개활성대가 인정되었으며 혈액에는 3,4령잠에 각1개, 5령잠에는 3개활성대가 인정되었다. 중잠과 혈액의 Acid phosphatase형은 잠품종간이나 사육온도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뚜렷하지는 않았다. 견사선에는 활성대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목질섭식곤충의 장내 세균 다양성 분석 및 섬유소 분해균 탐색 (Analysis of gut bacterial diversity and exploration of cellulose-degrading bacteria in xylophagous insects)

  • 최민영;안재형;송재경;김성현;배진우;원항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9-220
    • /
    • 2015
  • 목질 섭식 곤충에 관한 장내 세균 군집의 연구를 이용한 lignocellulose의 분해는 생명 공학적 응용에 있어 큰 잠재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목질 섭식 곤충의 장내 세균 군집은 16S rRNA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파이로시퀀싱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된 모든 곤충에서 중장보다 후장에서 OTU수, 종 풍부도, 다양성 지수가 높았다. 세균 문 또는 강 수준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흰개미를 제외한 곤충의 장내 군집에는 Firmicutes, Bacteroidetes, ${\gamma}-Proteobacteria$가 우점하였다.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이용하여 세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서식지보다는 곤충의 과별로 클러스터링 되는 경향이었다. CMC 분해 활성이 가장 높은 두 균주는 Bacillus toyonensis $BCT-7112^T$와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NCDO\;2181^T$과 유연관계가 높았다. 장 적출물의 섬유소 분해활성 실험 결과, 하늘소 후장에서 ${\beta}-1,4-glucosidase$, ${\beta}-1,4-endoglucanase$, ${\beta}-1,4-xylanase$의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 섭식 곤충의 장내에 다양하고 풍부한 세균이 서식하며, 섬유소를 분해하는 세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다양하고 유용한 섬유소 분해균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쌍별 귀뚜라미의 소화기관에서 기아에 의한 소화효소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Digestive Enzyme Genes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Two-spotted Cricket During Starvation)

  • 이누리;이은령;권기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2-87
    • /
    • 2020
  • 쌍별 귀뚜라미(G. bimaculatus)가 식량공급이 제한적이거나 starvation상태를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소화기관(전장, 중장, 후장)에서 소화작용의 가장 중요한 3대 효소인 amylase, trypsin, lipase의 유전자발현을 조사하였다. G. bimaculatus의 전장에서는 amylase, trypsin, lipase 유전자, 중장은 amylase 유전자, 후장은 amylase, trypsin 유전자의 발현이 먹이 의존적이지만, 중장의 trypsin, lipase 유전자와 후장의 lipase 유전자는 먹이 비의존적인 발현으로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결과는 곤충이 starvation과 같은 외부환경에 적응 및 생존하는지를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수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Morphometric and Histological Changes in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the Early Growth Period

  • Han, Hyoung Kyun;Lim, Sang Gu;Kang, Jung Ha;Choi, Jae Wook;Gil, Hyun Woo;Cho, Sung Hwoan;Lim, Sun-Young;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3호
    • /
    • pp.187-198
    • /
    • 2013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orphometric an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during the early period of growth. Eyes, yolk length, yolk height, and yolk volume of the larva decreased for 16 days post hatching (DPH) (P<0.05). During 60 DPH (P>0.05),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posterior end of the supraoccipital,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origin of the pectoral fin, the posterior end of the supraoccipital ${\times}$ the origin of the pelvic fin, and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ventral origin of the caudal fin gradually decreased, whereas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dorsal origin of the caudal fin,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origin of the anal fin,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origin of the pectoral fin, and the insertio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origin of the pelvic fin gradually increased (P<0.05). In the cyprinid loach, the retina is composed of six layers: the epithelial layer, ganglion cell layer, inner nuclear layer, inner plexiform layer, outer limiting membrane, and rod and cone layer (RCL). After hatching, part of the RCL gradually increased in density. The kidney and midgut epithelium were already formed in the cyprinid loach just after hatching and grew gradually in subsequent days.

스트레스 음파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 소화 및 면역 생리작용 저하와 살충제 감수성 제고 효과 (Sound Stress Alters Physiological Processes in Digestion and Immunity and Enhances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 박정아;석정균;;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연구는 상이한 음파 처리에 따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유충의 소화와 면역 생리반응에 대한 교란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주파수의 음파 처리가 파밤나방 산란에는 뚜렷한 효과를 주지 않았지만, 95 dB 소리세기에서 100-5,000 Hz 주파수의 음파 처리는 유충의 섭식량을 저하시키고, 중장의 소화효소 활성을 억제시켰다. 이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중장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으며, 무처리구와 상이한 단백질 패턴을 발견하였다. 또한 가장 스트레스 효과를 크게 주는 95 dB의 5,000 Hz 주파수 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곰팡이 감염에 대해서 혈구의 소낭형성이 억제되었다. 이 음파 처리 받은 유충의 혈구와 혈장에서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A_2$: $PLA_2$)의 활성은 현격하게 감소하였다.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파밤나방 유충은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했다. 이러한 상이한 주파수에 따른 생리교란 효과는 소리세기의 차이에 따라 뚜렷하게 차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파처리가 파밤나방의 생리과정에 스트레스를 주어 비화학적 해충 방제 관리 기술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본 연구는 제시한다.

Bacillus thuringiensis 결정성독소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l Caracterization of Entomocidal Parasporal Crystals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 이영근;강석권;김상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44
    • /
    • 1989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aizawai, dendrolimus, finitimus 그리고 israelensis의 결정성독소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들 균주들이 생산하는 결정성독소들을 alkali용액, SDS용액, 누에소화액 그리고 부분정제된 누에소화액 protease에 용해시켜 전기영동을 실시 이들 독소의 저분자화 현상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amino산 조성과 면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lkali 용액과 1% SDS-1% $\beta$-mercaptoethanol에 결정성독소들을 용해시킨 결과 subsp. kurstaki, dendrolimus, finitimus 그리고 aizawai로부터는 분자량 1.3$\times$105과 6.5$\times$104의 subunit가 주 band로 나타났고 subsp. israelensis에서는 분자량 4$\times$104과 1.4$\times$104의 subunit가 주 band로 나타났다. 2. 누에소화액에 의한 결정성독소의 분해상은 alkali용액이나 SDS-mercaptoethanol 처리때와 같은 pattern을 보여 주었다. 3. 부분정제된 누에소화액 protease로 결정성독소를 용해시켰을 경우 subsp. kurstaki, aizawai, finitimus에서는 분자량 1.3$\times$105의 subunit는 용해되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6.0-6.4$\times$104의 subunit가 주 band로 나타났으며 subsp. dendrolimus에서는 분해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고 subsp. israelensis에서는 alkali나 SDS 처리때와 비슷한 전기영동상을 나타냄으로써 누에소화액 protease에 의하여 용해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었다. 4. 결정성독소의 amino산 조성은 subsp. israelensis에서는 aspartic산이 14.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외 4개의 subsp.에서는 glutamic산이 13.9-14.6%로 가장 많았다. 5. 결정성독소의 면역학적 특성을 보면 subsp. israelensis의 항체는 그것의 항원과만 반응하고 그외 4개의 subsp.의 항체는 각각의 항원과 그리고 서로 다른 항원과 교호하여 반응하였다.

  • PDF

곤충의 난황형성에 대한 곤충성장조절제의 작용 (Effects of insect growth regulators(IGRs) on vitellogenesis in insect)

  • 이희권;이종진;김무기;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1-19
    • /
    • 2001
  • 곤충의 난황형성에는 각종호르몬들이 먹이 등과 함께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호르몬들 중에서는 신경분비호르몬, 유약호르몬 및 엑디스테로이드 등이 주작용을 한다. 본 총설에서는 곤충호르몬을 포함한 곤충성장조절제가 곤충의 난황형성에 작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종합적 해충관리 인자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곤충의 난황형성은 일반적으로 뇌에서 분비하는 신경분비호르몬의 작용과 난소에서 분비되는 엑디스테로이드 및 알라타체에서 분비되는 유약호르몬이 지방체를 자극하여 난황소전구물질을 합성하게 하며, 혈림프로 분비된 난황소 전구물질은 난모세포로 흡수되어 난발육이 이루어진다. 곤충호르몬을 포함한 곤충성장조절제는 이러한 난황형성과정 중에 각종 호르몬분비 기관(알라타체와 난소 등) 및 여러 가지 생리기관(지방체, 중장상피 그리고 침샘 등)에 작용하여 용해, 파괴 및 세포독성을 나타내 정상적인 생식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곤충의 종류에 따라서는 포유동물에 독성이 낮은 곤충호르몬을 포함한 곤충성장조절제를 종합적 해충관리의 일환으로 사용함으로서 효과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