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gut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5초

Detection of Heparin in the Salivary Gland and Midgut of Aedes togoi

  • Ha, Young-Ran;Oh, So-Ra;Seo, Eun-Seok;Kim, Bo-Heum;Lee, Dong-Kyu;Lee, Sang-J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83-188
    • /
    • 2014
  • Mosquitoes secrete saliva that contains biological substances, including anticoagulants that counteract a host's hemostatic response and prevent blood clotting during blood feeding. This study aimed to detect heparin, an anticoagulant in Aedes togoi using an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method, in the salivary canal, salivary gland, and midgut of male and female mosquitoes. Comparisons showed that female mosquitoes contained higher concentrations of heparin than male mosquitoes. On average, the level of heparin was higher in blood-fed female mosquitoes than in non-blood-fed female mosquitoes. Heparin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midgut than in the salivary gland. This indicates presence of heparin in tissues of A. togoi.

지렁이 중장에서 발현되는 Endo-$\beta$-1,4-glucanase의 동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beta$-1,4-glucanase from the Midgut of the Earthworm, Eisenia andrei)

  • 이명식;조성진;탁은식;허소영;이종애;박범준;조현주;신주옥;박순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7-12
    • /
    • 2003
  • 지렁이 (Eisenia andrei)의 중장에서 내생의 endoglucanase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을 동정하였다. ORF의 길이는 1,371 bp이며, 456개의 아미노산으로 번역된다. NCBI에 등록된 가재와 흰개미의 cellulase 및 endo-$\beta$-1, 4-glucanase와 50-51%의 유사성을 보이며, 활성 부위가 잘 보존되어 있었다. 계통수 분석에서는 다른 동물 분류군에서 밝혀진 GHF9 그룹의 cellulase와 근연관계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 PDF

가잠의 전염성 연화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 증식에 관한 연구 (Multiplication of Infectious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
    • /
    • 1984
  • 가잠에 있어서 피해가 많은 전염성 연화병(Flacherie Virus; FV)과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의 증식에 관한 연구를 행하기 위하여 서당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양바이러스의 정제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바이러스 감염잠의 중장과 체액에서의 핵산과 단백질의 변동 및 감염중장 피막세포의 전자현미경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 일연의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서당밀도구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FV 및 DNV를 분획한 결과, base line이 낮고 좌우상칭의 단일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바이러스 분획을 얻었으며, 또한 이들 바이러스의 negative 염색에 의한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FV는 27nm, DNV는 21nm의 균일한 구형입자임이 확인되었다. 2. 두 바이러스 감염잠의 체중은 바이러스 접종 6일 후부터, 중장중은 바이러스 접종 3일 후부터 건전잠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다. 3. D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공히 중장에서는 전기간을 통해 건전잠에서 보다 높았고, 체액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초ㆍ중기에는 큰 변화가 없고 바이러스 접종 7일 이후에는 건전잠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4. R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다같이 바이러스 접종 초기에 중장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높았고, 체액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바이러스 접종 말기에는 중장 및 체액의 경우 공히 건전잠에서 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그 정도는 DNV 감염잠에서 더 심했다. 5. FV 및 DNV 감염잠에서 중장과 체액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접종 중기까지는 건전잠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접종 말기에서는 건전잠에서 보다 월등히 낮았다. 6.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FV 및 DNV 감염잠 중장 RNA 전기영동상은 건전잠의 중장 RNA인 26S, 17S, 5S 및 4S의 4종 band와 동일했다. 7. FV 및 DNV 감염잠의 중장 단백질 전기영동상은 바이러스 접종 1일과 5일 후에는 건전잠의 것과 큰 차이가 없고, 접종 8일 후에는 건전잠에 존재하는 이동도가 낮은 L band가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공히 소실되는 반면, 건전잠에서 볼 수 없는 이동도가 중간인 M band가 새로이 나타났으며 비교적 이동도가 높은 건전잠의 N band는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한편 원통세포 내에서 봉입체 관찰되고, 변형소구화된 배상세포가 중장강으로 탈락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11. DNV감염 중장조직을 acridine orange 염색을 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DNV접종 5일 후에 본 바이러스 증식 장소인 원동세포핵의 비대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12. 전자현미경에 의해 DNV감염 중장조직세포를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원동세포 핵내의 인이 소형 과립으로 붕괴되어 산재되었고, 접종 8일후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virogenic stroma가 출현하였으며, 감염 말기로 추정되는 핵내의 전자밀도가 전자보다 낮고 더욱 확대되어 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irogenic stroma도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virogenic stroma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유사체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virogenic stroma는 바이러스 전구물질의 합성 및 바이러스 조립장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Evaluation of Thermo Tolerance of 'Nistari' an Indigenous Strain of Mult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Moorthy, S.M.;Das, S.K.;Mukhopadhyay, S.K.;Mandal, K.;Urs, S. Raj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5권1호
    • /
    • pp.17-21
    • /
    • 2007
  • An indigenous multivoltine silkworm, Nistari was evaluated for their thermo tolerance by exposing the larvae to various temperature regimes for eight hours. Among different temperature exposed, this strain has significant tolerance at $32^{\circ}C$. Analysis of heat shock protein revealed the expression of 70 kDa and 64 kDa polypeptides in fat body and midgut tissues. Interestingly esterase isozyme pattern in midgut showed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Est-1 and Est-3 at different temperatures signifying role in heat and cold shock.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에 대한 Bacillus thuringiensis 내독소단백질의 독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ity of $\delta$-endotoxin of Bacillus thuringiensis to the Several Tissues of Hyphantria cunea Drury)

  • 전향미;조자향;강석권;서숙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2-67
    • /
    • 1995
  • Bacillus thuringiensis(Bt) var, kurstaki의 내독소 단백질을 섭취한 미국천불나방(Hyphantria cunea)의 유충에서 중장과 지방체조직의 세포 미세구조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Bt 내독소 단백질은 중장 원주상피세포에 있어서 미세융모의 파괴, 소포체 구형화, 기저층 소실, 리보솜 탈락, 세포내 소기관의 파괴 등을 초래하였다. 또한, 지방체 세포에서도 역시 소포체의 구형화와 미토콘드리아의 변형 등 세포미세구조의 변화를 유발시켰다.

  • PDF

PCR-Based Detection of Densovirus Infection in Silkworm (Bombyx mori L.)

  • Hou Chengxiang;Li Muwang;Gui Zhongzheng;Xu Anying;Guo Xiji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1권2호
    • /
    • pp.135-138
    • /
    • 2005
  • Two pairs of DNA primers were designed for the detection of the Zhenjiang (China) strain of Bombyx mori densonucleosis virus (BmDNV-Z). These primers were design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of major structural protein gene (putative VD1-ORF2). PCR amplification was attempted from different issues (including silk gland, blood, skin and midgut) and feces of the silkworm which infected wit BmDNV-Z were amplified by PCR. Both of the primers gave expected size of in the DNA bands from midgut and feces, but not in the DNA of silk gland, blood and skin. The two bands were sequenced, and their sequence were same as the sequence designed for. BmDNV-Z could be successfully detected in single silkworm after it was infected for 12 hrs, and could not be detected before 9 hrs after inf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