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omes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7초

Gender Differences in Activity and Induction of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 by 1-Bromopropane in Sprague-Dawley Rats

  • Kim, Ki-Woong;Kim, Hyeon-Yong;Park, Sang-Shin;Jeong, Hyo-Seok;Park, Sang-Hoi;Lee, Jun-Yeon;Jeong, Jae-Hwang;Moon, Young-Hahn
    • BMB Reports
    • /
    • 제32권3호
    • /
    • pp.232-238
    • /
    • 1999
  • Sex differences in the induction of microsomal cytochrome P-450 (CYP) and the activities of several related enzymes of Sprague-Dawley rats treated with 1-bromopropane (1-BrP) were investigated. Male and female rats were exposed to 50, 300, and 1800 ppm of 1-BrP per kg body weight (6 h a day,S days a week, 8 weeks) by inhalation. The mean body weight of 1-BrP treated groups increased according to the day elapsed, but four and five weeks respectively after the start of the exposure, the mean body weight of male and female rats had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treated with 1800 ppm 1-Br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1). While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increased in both sexe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sexes was found only in the group receiving 1800 ppm/kg of 1-BrP (p<0.01). The total contents of CYP, $b_5$, NADPH-P-450 reductase, NADH $b_5$ reductase, 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pentoxyresorufin-O-dealkylase (PROD), and p-nitrophenol hydroxylase (pNPH) activities were examined for the possible effects of 1-BrP.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YP and $b_5$ contents, NADPH-P-450 reuctase, NADH $b_5$ reductase, 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and pentoxyresorufin- O-dealkylase (PROD)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The activity of pNPH increased steadily with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1-BrP in both sexes, 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1800 ppm-treated group of male rats (p<0.05). When Western blottings were carried out with three monoclonal antibodies (MAb 1-7-1, MAb 2-66-3, and MAb 1-98-1) which were specific against CYP1A1/2, CYP2B1/2, and CYP2E1, respectively, a strong signal corresponding to CYP2E1 was observed in microsomes obtained from rats treated with 1-BrP.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and the content of lipid peroxid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1-BrP can primarily induce CYP2E1 as the major form and that GST phase II enzymes play important roles in 1-BrP metabolism, showing sex-dependence in the metabolic mechanism of 1-BrP in the rat liver.

  • PDF

쌀겨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 안희영;최다정;김보경;이재홍;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14-1020
    • /
    • 2015
  • ㈜한국바이오솔루션에서 제공받은 쌀겨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Bran, FRB)과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Soybean, FRS)을 대조군으로 in vitro상에서의 이 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고,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e/Cu 환원력,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flavonoids 함량은 각각 19.92 mg/g과 11.56 mg/g으로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에서도 69.8%로 상당히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또한, 처리농도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쌀겨발효 추출물이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쌀겨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 유발 흰쥐에 미치는 간 기능 개선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Bacillus subtilis-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Extract on an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김태훈;안희영;김영완;심소연;서권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7-707
    • /
    • 2018
  • 본 연구는 누에 분말을 단백질 분해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균주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누에 추출물(BSP)을 식이 중에 각각 1%, 2.5%, 5% 수준으로 첨가하여 알코올 투여와 함께 4주 동안 흰쥐에 급여한 후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알코올 급여로 인해 증가된 혈중 AST, ALT, ALP 및 LDH 활성은 BSP5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누에 추출물은 간 조직 및 혈중 중성 지질 농도를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켜주고, 간 조직 내 ADH, ALDH 활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내 과산화지질 함량을 측정해본 결과 BSP5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알코올 투여 대조군은 간세포 내 지방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였으나 BSP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은 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미치는 현호색의 효과 및 그 기전 (Mechanism and Effect of Corydalis ternata on th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 서인옥;정춘식;정기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6-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호색의 methanol추출물에 대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보호효과를 확인한 후 이를 hexane, chloroform, butanol 및 물로 계통분획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보호효과를 검색하였다. 이 결과 현호색 물분획물이 유의성 있는 간 보호효과를 보임으로써 간손상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혈액중의 ALT활성 및 cholesterol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간조직의 TG와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지방의 축적이나 세포막의 손상은 억제된 것으로 보인다. 기전연구를 위하여 측정한 CYP함량과 calcium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GST활성도는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항산화 효소의 유도로 인하여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 SOD, GPX, GST활성도는 모든 처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간손상 보호 효과는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보다는 CYP함량의 감소와 CCB로서의 작용 및 GST활성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측백나무 잎.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 안희영;허수진;강민정;이재홍;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2
    • /
    • 2011
  • 측백나무 잎 및 열매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총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지방산 조성)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 과산화지질)을 측정하였다.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12.90%), 폴리페놀 화합물(16.02%) 및 플라보노이드(0.25%) 함량이 가장 높았다. 측백나무 잎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Ca, K, 및 Mg이었다. 측백나무 잎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및 lauric acid였으며, 열매는 palmitic acid 및 dec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측백나무 열매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La^{3+}$에 의한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 $H^+-ATPase$ 활성저해 (Lanthanum-induced Inhibitions of Microsomal $H^+-ATPase$ in the Roots of Tomato)

  • 조광현;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84-89
    • /
    • 2003
  • $H^+-ATPase$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하여 토마토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고 $La^{3+}$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원형질막 및 액포막에 위치하는 $H^+-ATPase$의 활성은 각각의 선택적 저해제인 vanadate와 $NO_3-$의 처리시 감소하여, $La^{3+}$이 원형질막 및 액포막 $H^+-ATPase$ 활성을 모두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원형질막과 액포막 $H^+-ATPase$ 활성을 50% 저해하는 $La^{3+}$ 농도인 Ki 값은 각각 57, $78\;{\mu}M$이었다. $La^{3+}$에 의한 저해효과는 Triton X-100을 처리한 leaky 마이크로솜에서도 얻어져, $La^{3+}$이 이온채널의 존재와 관계없이 $H^+-ATPase$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Lak의 활성저해 효과는 ATP 농도 증가로 감소하였고, ATP의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7 mM ATP 의해 $La^{3+}$에 의한 $H^+-ATPase$ 활성 저해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La^{3+}$은 원형질막과 액포막의 $H^+-ATPase$들에 결합하여 ATP 결합친화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활성을 저해하며, 뿌리조직 $H^+-ATPase$의 활성조절제로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Benzoyl peroxide가 흰쥐의 지질과산화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oyl Peroxide on the Activity of Drug-metabolizing Enzym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s)

  • 이향우;이규순;홍사오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1982
  • Lipid peroxidation is the reaction of oxidative deterioration of polyunsaturated lipids and this peroxidation involves the direct reaction of oxygen and lipid to form free radical intermediates, which can lead to autocatalysis. As results of the extensive studies on the lipid peroxidation by many autho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peroxidation and the drug metabolizing system as well as the actions of free radicals on the peroxidation was reasonably well known. For a long time, the mechanism of hepatotoxicity of $CCl_4$ was not clearly understood. However, it is now quite well established that $CCl_4$ is activated in vivo to a free radical which is a highly reactive molecule. Therefore, lipid peroxidation which induces the reduction of cytochrome P-450 and aminopyrine demethylase activity is known as decisive event of $CCl_4$ hepatotoxicity.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reported that singlet molecular oxygen produces lipid peroxidation in liver microsom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enzoyl peroxide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drug-metabolizing enzyme were examined. Benzoyl peroxide mixed with starch and phosphates etc. is usually used as a food additive for flour bleaching and maturing purpose because of its oxidative property. Albino rat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Benzoyl peroxide was suspended in soybean oil and sesame oil and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r orally. TBA value and aminopyrine demethylase activity were determined in liver microsomal fraction and serum.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ing. 1) Body weights of animals administered benzoyl peroxide suspension were decreased while that of oil administered group were increased. 2) The activity of aminopyrine demethylase was generally decreased in animals administered oil suspension of benzoyl peroxide. Furthermore, the marked reduction of the enzyme activity was observed in animals administered benzoyl peroxide intraperitoneally. 3) Generally, microsomal TBA values as well as serum TBA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benzoyl peroxide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more remarkable increase of serum TBA than microsomal TBA was observed in animals administered orally for 6 days. 4) Specifically, the changing pattern of TBA value was notable in serum rather than in liver microsome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benzoyl peroxide.

  • PDF

Indole, Indole-3-calbinol 및 Benzofuran이 간장 microsome과 cytosol의 약물대사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Indole, Indole-3-carbinol and Benzofuran on Several Microsomal and Cytosolic Enzyme Activities in Mouse Liver)

  • 차영남;;;정진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1985
  • 이물질(xenobiotics) 대사에 관여하는 간장 microsome과 cytosol 효소 활성에 indole, indole-3-carbinol 및 benzofuran이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위하여 마우스에 이들 약물을 각각 5 mmole/kg씩 10일간 투여하여 다음 몇 가지의 성적을 얻었다. Benzofuran은 microsome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 7-ethoxycoumarin O-deethylase, p-nitrophenol UDPGA-transferase, epoxide hydrolase와 cytosol 효소인 glutathione S-tranferase, NADH : quinone reductase, UDP-glucos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benzofuran과는 구조적으로 furan ring내의 N원소가 O원소로 치환되었을 뿐 주된 구조가 유사한 indole과 indole-3-carbinol 투여로는 UDPGA-transferase와 NADH: quinone reductase의 활성도 증가를 볼 수 없었으며, 특히 indole은 NADPH : cytochrome C reductase만을 증가시킨데 비하여 구조상 indole에 carbinol (methanol)기가 붙은 indole-3-carbinol은 수종의 mixed function oxidase와 아울러 특히 epoxide hydrolase의 활성도 역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benzofuran과 indole-3-carbinol에 의한 epoxide hydrolase 활성도 증가의 기전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음이온에 의한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 $H^+-ATPase$ 활성 저해 (Inhibition of Microsomal $H^+\;-\;ATPase$ Prepared from Tomato Roots by Various Anions)

  • 신대섭;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67-72
    • /
    • 2001
  • 식물 뿌리세포의 원형질막 및 액포막에 위치하는 $H^+-ATPase$들은 세포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H^+-ATPase$의 생리활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마토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고, $H^+-ATPase$의 활성에 미치는 음이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음이온들이 $H^+-ATPase$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특히 효소의 저해정도가 다른 citrate와 인산을 선택하여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Citrate에 의한 ATPase활성저해는 3 mM 이상에서 나타났고, 20 mM citrate는 활성을 50-60% 저해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저해효과는 $Mg^{2+}$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여, citrate에 의해 저해된 ATPase 활성은 $Mg^{2+}$에 의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 mM $Mg^{2+}$을 첨가하였을 때, citrate에 의한 활성저해는 관측되지 않았고 ATPase활성은 대조활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citrate는 Mg^{2+}을 chelation함으로써$H^+-ATPase$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인산에 의한 ATPase활성저해는 3 mM 이상의 농도에서 나타났고, 30 mM 인산은 ATPase의 활성을 50% 저해하였다. 인산에 의해서 저해된 ATPase의 활성은 $Mg^{2+}$니 농도증가에 의해 회복되지 않아, 인산에 의한 저해효과는 $Mg^{2+}$과 무관하였다.

  • PDF

$Hg^{2+}$에 의한 토마토 뿌리조직 마이크로솜 $H^+-ATPase$의 가역적 저해 ([$Hg^{2+} $-induced Reversible Inhibitions of Microsomal $H^+-ATPase$ Prepared from Tomato Roots)

  • 신대섭;조광현;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298-303
    • /
    • 1999
  • 토마토 뿌리조직의 마이크로솜 ATPpase활성에 대한 중금속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뿌리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솜을 분리하였고, enzyme-coupled assay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솜 이온펌프(ATP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여러 가지 중금속 이온들 중 $Hg^{2+}$은 마이크로솜 ATPp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Gd^{3+}$$Fe^{3+}$, $La^{3+}$, $Zn^{2+}$, $Pb^{2+}$ 등은 마이크로솜 ATPpase의 활성을 저해하면서 동시에 assay에 사용된 효소를 저해하였다. 그러나, $Cs^+$$Ba^{2+}$은 마이크로솜 ATPpase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Hg^{2+}$은 원형질막과 액포막에 위치하는 $H^+-ATPase$들의 활성을 $10\;{\mu}M$ 이상의 농도에서 현저히 저해하였고, 1 mM 이상의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하였으며, 두 효소들에 대한 활성저해의 Ki 값은 각각 $80\;{\mu}M$, $58\;{\mu}M$로 나타났다. $Hg^{2+}$에 의해 저해된 ATPpase의 활성은 DTT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회복되어, $Hg^{2+}$에 의한 ATPpase 활성저해는 가역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Hg^{2+}$이 원형질막과 액포막에 위치한 $H^+-ATPase$들을 비선택적이고 가역적으로 저해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