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organism of Nuru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개량누룩에 의한 탁주양조중 미생물과 중요성분 변화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 이명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2
    • /
    • 1999
  •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and cultivation of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and hansenula sp. BC26 three different Takju mashes were made with modified Nuruk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and the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jor compon-ents of mashes were investigated uring brewing. The numbers of yeast kept higher in the mash of mod-ified Nuruk or rice koji.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high in mash of commercial Nuruk but those were not in mash of modified Nuruk or rice koji. all mashes showed stable pH in a day and the pH kept higher in mash of modified Nuruk than in that of commer-cial Nuruk or rice koji. Increase in the content of total acid was moderate in mash of modified Nuruk or rice koji but it was too much in that of commercial Nuruk. increase in the content of amino acid was much highr in mash of modified Nuruk or commercial Nuruk than in that of rice koji. Increase in the content of alcohol was more rapid in mash of modified nuruk or rice koji than in that of commercial Nur-uk.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kept highter in mash of commercial Nuruk or modified Nuruk than in that of rice koji. A small amount of modified Nuruk accomplished favorable fermentation showing nor-mal patterns in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brewing.

  • PDF

한국 전통 누룩 미생물의 문헌적 고찰(1945년 이후를 중심으로)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Since 1945))

  • 유대식;김정;김현수;현지숙;하현팔;박문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89-799
    • /
    • 1998
  • Literatures on microorganis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published since 1945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raditional Korean nuruk consists of raw barley and various grains. Traditional Korean nuruk consists of unbolied raw barely and various grains. They are ground to paste and moistened, and then naturally inoculated by airborne microorganisms. Therefore, many kinds of microorganisms such as fungi, yeast, and bacteria grwo in nuruk. Since 1945, new 14 species of Aspergillus and 9 species of Penicillium have been identifi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Total number of fungal species identified so far is now up to 38 species among 12 different genus. Among newly isolated fungal species, Aspergillus penicilloides and Penicillium, expansum showed not only high production rate of acid and amylase but also extreme stability of the enzyme at room temperature for 3 months. As examples of newly isolated yeast species, there are 5 species of Candida, 4 species of Hansenula, 1 species of Pichia and 1 species of Schizosaccharomyces. Total number of yeast species isolated so far is up to 18 species from different 8 genus. Newly isolated bacteria, were Bacillus pumilus, Lactobacillus casei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 PDF

밀의 배합비율과 수분첨가율에 따른 벼누룩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Byeo-Nuruk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Wheat and the Addition Rate of Moisture)

  • 김민성;전진아;정석태;최지호;최한석;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7-904
    • /
    • 2011
  • For set up the processing method of Byeo-Nuruk,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yeo-Nuruk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of rice and wheat, as well as the addition rate of moisture. After 12 hours of incubation, the temperature of Nuruk increased dramatically and reached a maxium temperature at 36 hours. After 36 hours, the temperature decreased gradually and was maintained at about $31{\sim}38^{\circ}C$. The ranges of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Byeo-Nuruk were 4.85 to 7.42 and 1.0 to 2.3, respectively. A higher content of wheat ratio in Byeo-Nuruk, was associated with higher enzyme activities of ${\alpha}$-amylase, glucoamylase, and acidic-protease. Further, at a 70% wheat ratio, a 25% addition rate of moisture showed the highest enzyme activity. In the mixture ratio between rice and wheat, the 50:50 and 30:70 treatments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microorganisms.

곰팡이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혼합 곡류 누룩의 품질특성 (Assessment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grain Nuruk Made with Different Fungal Strains)

  • 백성열;김주연;최지호;최정실;최한석;정석태;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3-108
    • /
    • 2012
  • 밀, 쌀 및 녹두를 분쇄 후 밀기울을 첨가하여 일정 비율(15:1:1:3)로 혼합한 곡물에 양조용 곰팡이의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누룩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발효 시기별 일반성분 및 효소활성과 유기산 분석을 하였다. 누룩의 pH는 발효 시기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산도와 아미노산도는 두균을 혼합하여 제조한 누룩(AO-AK)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두 균을 혼합한 누룩이 단일 균을 접종한 누룩보다 ${\alpha}$-amylase 및 acidic protease의 효소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누룩의 유기산은 acetic, citric, formic, fumaric, lactic, malic 및 oxalic acid 등이 확인되었다. 전체 유기산 총량은 혼용누룩(2,116.3 mg%), A. kawachii SC60 단용누룩(1,608.5 mg%), A. oryzae RIB1353 단용누룩(1,146.7 mg%) 순으로 혼용누룩의 유기산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두 균주를 혼용하여 제조한 누룩이 단일균주를 사용한 누룩보다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 등 품질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밀가루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 박창숙;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6-302
    • /
    • 2002
  • 통밀과 파쇄밀로 만든 누룩을 대조구로 하고, 밀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재래식의 밀가루 누룩, 밀가루와 쌀의 혼용 누룩 및 Aspergillus oryzae의 누룩으로 각각 탁주를 담금하여 발효 과정 중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14일에 $10.6{\sim}17.4%$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대조구, 밀가루 누룩구, Aspergillus oryzae 누룩구, 쌀 혼용구의 순으로 높았다. pH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은 재래식 밀가루 누룩구에서 높았다. 총당은 담금일에 $16.22{\sim}17.74%$로 가장 높았으나 14일에 $4.28{\sim}6.10%$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발효초기에 Aspergillus oryzae구에서 높았으나 이후는 총당의 차이가 없는 편이었다. 유리당중 glucose는 담금일에 $2,735{\sim}7,842\;mg%$로 월등히 높았으나 이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와 재래식 밀가루 누룩구에서 높았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에서 $690{\sim}2,241\;mg%$로, lactic acid+succinic acid는 쌀 혼용구에서 $183{\sim}1,293\;mg%$로 각각 높았고, 확인된 6종의 유기산중 lactic acid+succinic acid가 탁주에서 가장 함량이 많았다.

누룩 Yeast에서 유당분해효소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galactosidase$ from Nuruk Yeast)

  • 강미영;박상교;김동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4-139
    • /
    • 1990
  • 누룩으로부터 ${\beta}-galactosidase$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순수분리하여 분리된 균주(NY-15)의 ${\beta}-galactosidase$를 정제하였다. 다량배양하여 모은 균체를 8%(v/v) toluene 처리에 의한 추출액을 정제의 출발 물질로 하여 acetone 침전에 의해서 탈지처리를 한 후 40-60%포화의 ammonium sulfate 분획을 하고 DEAE-cellulose, DEAE-Sephadex A-50의 이온교환 chromatography를 한 후 Agarose-PAPT를 이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정제하였다. 이 정제법에 의해서 ${\beta}-galactosidase$는 조효소 추출액으로부터 40배 정제되었으며 회수율은 7.7%였나. 누룩 yeast의 ${\beta}-galactosidase$는 2개의 subunit로 되어 있으며, 각 subunit 분자량은 각각 96,000과 130,000이었다. 효소활성에의 최적 pH는 7.5이었고, 최적온도는 $40^{\circ}C$이었다.

  • PDF

누룩과 입국을 달리한 막걸리에서 항균활성을 가진 미생물의 분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n Makgeolli of Different Kinds Koji and Nuruk)

  • 이준기;조현주;윤진아;정강현;송병춘;김경임;안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77-583
    • /
    • 2014
  • 누룩군과 입국군을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고 발효 과정 중 항균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발효 3일째 pH 결과는 누룩군이 입국군에 비해서 낮았다. 그러나 산도와 알코올의 함량은 발효 15일째에서 누룩군이 입국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과 총균수는 입국으로 만든 막걸리가 누룩으로 만든 막걸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평가 결과, 색, 단맛, 향, 목넘김, 전반적 기호도는 입국군(DKB)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항균활성 결과 누룩 샘플 GND, ANF에서 Salmonella enterica,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에서 항균력이 나타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균주 ST-1은 GND에서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동정한 결과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RCP6과 99%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P. polymyxa ST-1은 항진균활성과 항세균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누룩 미생물의 문헌적 고찰 (1945년 이전을 중심으로)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Until 1945))

  • 유대식;김현수;홍진;하현팔;김태영;윤인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0-179
    • /
    • 1996
  • 누룩은 생소맥을 조분쇄하여 물로 혼합시켜 자연적으로 공지중의 여러 종류의 미생물을 배양시켜 만들었다. 그러므로 누룩에서는 많은 종류의 사상균, 호모와 세균이 증식하였다. 누룩의 당화력은 원료 생소맥의 당화력과 대부분의 사상균의 당화력과 알붕의 세균성 당화력에 기인하여, 발효력은 누룩효모와 극소수의 사상균애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1945년 이전까지 누룩으로부터 12속 59종의 사상균이, 8속 29종의 효모와 4속 16종의 세균이 분리 되었다. 누룩사상균은 Aspergillus 속이 주종을 이루었고 Rhizopus속, Absidia속, Nucor속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spergillus속과 Rhizopus속은 중요한 누룩 당화균으로 작용하였다. 누룩의 대표적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이며 , 이균이 알코올 발효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며, Saccharomyces cerevisiae도 전통 민속주의 탁주와 약주의 발효역에 깊이관여한다고 사료된다. 누룩 중에 증식하는 세균은 양조학상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지않지만 Bacillus 속 과 젖산세균이 많이 분리되었으며, 젖산세균은 담금초기에 pH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 PDF

A New Species of Hyphomycetes, Aspergillus coreanus sp.nov.,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 Yu, Tae-Shick;Yeo, Soo-Hwan;Kim, Hyu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82-187
    • /
    • 2004
  • Strain NR $15-1^T$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is described as a new species and named as Aspergillus coreanus NR $15-1^T$ sp. novo Strain NR $15-1^T$ grew rapidly to form yellow-green colonies whose surfaces were velvety on Czapek solution agar. Conidial heads were yellow to light and elliptical, whereas the conidiophore was colorless and typically long. In addition, vesicles were from flask-shaped to globose, and sterigmata are uniseriate. Conidia were spherical and deep yellow-green, and their surfaces were lightly roughened. The G+C content of strain NR $15-1^T$ was 51 mol% and strain NR $15-1^T$contained a dihydrogenated ubiquinone with Q9 (94.9%) as a major quinone.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train NR $15-1^T$ in the two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1 and 2) and 5.8S rDNA showed highest similarity when compared with that of A. tubingensis and A. phoenicis NRRL $365^T$. However, based on morpholog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this strain was different from A. tubingensis and A. phoenicis NRRL $365^T$. On the basis of the data presented, it is proposed that strain NR $15-1^T$ should be placed in the genus Aspergillus as a new species, Aspergillus coreanus sp. novo Therefore, the type strain of the new species is strain NR $15-1^T$ (=KCTC 18075P^T,=KCCM 80006^T$.

자색고구마-쌀누룩으로 제조된 막걸리 발효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 조현국;이주영;서원택;김명규;조계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28-735
    • /
    • 2012
  • 막걸리는 한국 전통주로 쌀로부터 알코올 함량 6-8%로 발효시킨 술이다. 누룩은 분쇄된 밀 혹은 쌀에 물을 가하고 성형하여 자연의 미생물로 번식시킨 발효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밝혀져 있는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 누룩을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자색고구마-쌀누룩(PSP-RN)은 PSP를 0-10%로 쌀에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막걸리 발효 과정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막걸리 발효 중 pH는 발효 초기 각각 4.27(0% PSP-RN), 4.59(2.5%), 4.50(5.0%), 4.46(7.5%) 및 4.43(10.0%)에서 발효 종기 4.12, 3.82, 3.67, 3.71 및 3.66로 감소하였다. 당도는 발효 초기 $0.4^{\circ}Bx$에서 $8.0-8.4^{\circ}Bx$로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기 13.0%(0% PSP-RN), 13.2% (2.5%) 및 12.8%(5.0-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수용성 anthocyanin과 phenolics 함량은 발효 초기 각각 0.001-0.121 g/L와 0.2-0.27 g/L에서 발효 종기 0.002-0.166 g/L와 1.65-1.87 g/L로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은 20-50%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