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morphological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호남통(湖南統)에 대(對)한 토양(土壤) 미세형태학적연구(微細形態學的硏究) - B층(層)의 점토피막(粘土皮膜)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 (Micromorphological Observation of Honam Series -Some characteristics of clay films in B horizon-)

  • 신제성;엄기태;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5-70
    • /
    • 1974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내륙평탄지(內陸平坦地)에 분포(分布)하고 배수(排水)가 야간불량(若干不良)한 식질(埴質) 답토양(畓土壤)인 호남통(湖南統)에 대(對)하여 B층(層)의 토양생성학적(土壤生成學的) 특성(特性)을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 입장(立場)에서 구명(究明)해보고자 수행(遂行)하였다. 토양미세형태(土壤微細形態)에 관(關)한 분석(分析)은 토양(土壤)을 원상시료(原狀試料)(Undisturbed sample)로 채취(採取) 부편(溥片)을 제작(製作)한 후편광현미경(後偏光顯微鏡)을 이용(利用)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호남통(湖南統)의 B층(層)에서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가 (Oriented clay)가 확인(確認)되어 B층(層)은 Bt층(層)(Argillic Horizon)으로 간주(看做)된다. 2. B21t 층(層)에서 토양기질외(土壤基質外)의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주(主)로 비대칭면상공극(非對稱面狀孔隙)(Skew plane) 및 관상공극(管狀孔隙)(Channel) 벽(壁)에 형성(形成)된 층상점토(層狀粘土)(Argillans)가 대부분(大部分)이나 토양기질내(土壤基質內)에 있는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응력(應力)에 의(依)하여 토양기질내(土壤基質內)로 이동(移動)되고 있어 토양원질(土壤原質)(Plasma)의 분리현상(分離現象)이 뚜렷하다(Masepic). 3. B22t 및 B23t 층(層)에서의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균일(均一)하지 않은 조점토(粗粘土)(Coarse, dirty clay)로 구성(構成)되여있으며 배열정도(排列程度)가 약(弱)하다(less oriented). 4. B24t 에서의 특징적(特徵的)인 정방위점토(定方位粘土)는 응력성점토피막(應力性粘土皮膜)(Stress cutans)이며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높은 토양기질(土壤基質)이 오랜 기간(期間) 외부(外部)로부터 물리적(物理的)인 작용(作用)을 받아 일정(一定)한 방향(方向)으로 배열형성(排列形成)되었다.

  • PDF

한국산 Alsineae (석죽과) 종자의 형태비교 및 분류학적 유용성 (Comparative seed morphology of the tribe Alsineae (Caryophyllaceae) in Korea and its taxonomic implications)

  • 송준호;김주미;옥민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69-379
    • /
    • 2015
  • 한국산 Alsineae (Alsinoideae, 석죽과) 8속 25분류군 종자의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식별형질로서의 가치와 분류학적 의미를 평가하기 위해 해부현미경(S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관찰하고 자세히 기재하였다. 종자의 외형은 원형, 쉼표형, 타원형, 난형, 양배형, 신장형, 아원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크기는 길이 0.28-4.10 mm, 너비 0.33-3.10 mm로 개미자리(Sagina japonica)가 가장 작게 나타났고, 갯별꽃(Honkenya peploides var. major)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점나도나물속(Cerastium), 갯별꽃속(Honkenya), 개벼룩속(Moehringia)에서 제 부위에 부속지가 관찰되었고, 개벼룩속(Moehringia)에서만 strophiole이 관찰되어 구별되었다. 종자표면무늬에 따라 4가지 유형, 구릉상-유두형, 구릉상-기둥형, 구릉상-단순형, 평활상으로 구별하였으며, 종피세포의 형태, 주변부, 수층벽 높이의 정도, 병층세포벽의 형태 등의 형질을 기재하였다. 또한, 이전에 제시된 분류체계와의 비교를 통해 종자 미세형태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긴병꽃풀속(Glechoma L., 꿀풀과)의 잎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urcture in Glechoma L. (Nepetinae, Lamiaceae))

  • 장태수;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9-254
    • /
    • 2007
  • 개박하아족(subtribe Nepetinae)에 포함되는 긴병꽃풀속(Glechoma L.) 5분류군과 근연분류군(Agastache속, Dracocephalum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 Glechomanthe절)의 잎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Marmoritis속, Nepeta속 Glechomanthe절,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Korea)에서는 기공이 잎의 양면에 모두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이나, 나머지 분류군들은 배축면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으로 밝혀졌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2.50-28.75{\times}9.17-21.25{\mu}m$로 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Marmoritis pharicus ($12.50-15.83{\times}9.17-11.25{\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갖고 있고, G. hederacea var. longituba (Korea: $28.75-28.88{\times}21.25-21.38{\mu}m$)가 가장 큰 공변세포를 가졌다. 기공 복합체의 경우는 대부분 불규칙형 (anomocytic)과 불균등형(anisocytic)이나, Agastache속, Dracocephalum속에서 교차형(diacytic)이 나타났다. 표피세포는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판 모양(platelet)으로 잘 발달 되지 않은 표면을 보이는 분류군과 발달된 표면(stripe)을 보이는 분류군으로 구분된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잎의 향축면과 배축면, 그리고 주맥에 분포하는 모용은 5가지의 종류가 나타났다. 모용은 비선모와 선모로 나뉘는데, 그 중에서 선모의 경우 방패형선모(subsessile gland), 긴 두상선모(long stalk capitates glandular trichome), 짧은 두상 선모(short stalk capitates glandular trichome)는 모양과 밀도, 분포위치에서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나 분류학적인 유연관계에 유용한 형질임을 제시해 주었다.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연구(生成硏究) -제(第) 4 보(報) : 토양미세형태학적(土壤微細形態學的)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Terrace Soils in Yeongnam Area -IV: Soil micromorphological features)

  • 정연태;신제성;노영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5-210
    • /
    • 1986
  •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미세형태각적(微細形態覺的) 특징(特徵)을 토양생성(土壤生成)과 모재층구분(母材層區分)을 중심(中心)으로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 1. 단구토양(段丘土壤)의 원질배열(原質配列)은 Porphyroskelic 상(狀)이고 토양조직(土壤組織)(Soil fabric)은 Vosepic, Mosepic, Insepic, Masepic 등(等)이 대부분(大部分)이었으나 영일지역(迎日地域)의 극락통(極樂統)과 우평통(牛坪統)에서는 Asepic fabric도 있었다. 2. 단구토양(段丘土壤)의 B층(層)에는 ferriargillans, manganiferrous concretions과 papules 등(等)의 토양생성학적(土壤生成學的) 특징(特徵)이 현저(顯著)하게 발달(發達)된 Argillic B층(層)이 있었다. 3. 모재(母材)의 불연속성(不連續性)이 예상(豫想)되는 영천(永川)의 반천통(盤泉統)과 영일(迎日)의 우평통(牛坪統) 기층(基層)은 Plasmic fabric이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과 판이(判異)하였으므로 bisequum profile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토층(土層)에도 유리입자상(遊離粒子狀) 점토피막(粘土皮膜)(Free grain cutans)이 생성(生成)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의 퇴적전(堆積前)에 일정기간(一定期間) 동안 토양생성작용(土壤生成作用)을 받을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推測)되었다.

  • PDF

모의 강우와 유입수에 의해 급경사면에서 발달한 세류의 미세지형 변화 (Micromorphological Changes of Rill Development under Simulated Rainfall and Inflow on Steep Slopes)

  • 신승숙;심영주;손상진;박상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1호
    • /
    • pp.21-32
    • /
    • 2023
  • 산림지역은 세류간침식이 지배적인 반면, 지표 교란지역은 세류의 발달과 확장에 의한 침식이 두드러지게 증가한다. 본 연구는 급경사에서 세류 발달과 미세지형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강우와 유입수 모의에 따른 토양침식 실험을 수행한 것이다. 세류의 단면과 체적, 세류밀도, 세류차수, 세류예도와 같은 미세지형의 특성인자들은 사면의 경사와 위치(상부 또는 하부)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졌다. 강우모의에 의해 동시다발적으로 절개된 세류들의 두부침식은 빠른 속도로 상류로 이동하였고, 무작위으로 발달한 세류들은 서로 연결되면서 깊고 넓게 확장하였다. 세류가 하류방향으로 진화함에 따라 횡단면적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세류 체적은 유출토사 체적의 약 78 %를 차지하여, 세류침식이 세류간침식보다 토사유출량 기여도가 큼을 확인하였다. 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세류차수의 증가는 둔화되지만, 세류의 총길이와 밀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경사 15°에서 20°로 증가하면서 세류의 측벽확장보다 하상절개가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세류예도가 1.6배로 증가하였다. 하사면의 유출계수는 상사면보다 12.3 % 적었으며, 이는 세류 확장에 의한 형상 변화와 심토의 노출이 침투를 증가시켰던 것으로 평가된다. 세류가 수반된 토사유출은 경사가 급할수록 전반적으로 증가하지만, 세류진화 과정에서 국부적인 합류와 확장으로 강화된 세류의 수리학적 유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일회용침 끝의 미세 형태에 대한 관찰(2) (Investigation of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Needle Tip Using SEM in Korea(2))

  • 장인수;박종배;송범용;이창현;김현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151-158
    • /
    • 2003
  • Objective: There have not been so many study about the quality of acupuncture needle tip. In order to ensure safe acupuncture treatment, the quality of needle tip is essential.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tip of the acupuncture needles in Korea. Methods: We have selected the needles that made by 8 companies in Korea, and selected 50 pieces from 1000 pieces each company by randomized methods. and observed the tip of each needle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times}800$ magnification. Results & Discussion: We found that needles had several defects such as scratch marks on the surface, metallic scuff, lumps and irregularities of the needle tips, stubbed or malformed tips, tips of point off-center, peeled off coated tips. There was much difference on the quality of needle among the manufacturer, and some needles seem to need to do- thorough quality control.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quality management and a concentrated control on manufacturing process of acupuncture needles.

  • PDF

해양에서 열화된 완도선 수침고목재의 화학적.미시형태적 변화 (Chemical and micromorphological changes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 degraded in marine situations.)

  • 김익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1호
    • /
    • pp.87-105
    • /
    • 1990
  • Chemical and micro morphological changes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s from shipwrecked materials in marine situations were investigated which were submerged in seabed for over 900 years. Tested Wood species were Pinusdensiflora, Zelkova serrata, Quercus acutissima and Camellia japonica.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lignin content was increased, whereas the amout of holocellulose was heavily decreased in the degraded archaeological lwoods(DAW), when compared to the recent woods. The amount of alkalineextractives in the DAW was extremley high. IR spectra showed that disappearance of absortion band at $1,730㎝^-1$ intensity increase at 1,600, 1,500 and $1,270㎝^-1$ and the emergence of single band around $1,050㎝^-1$.Microscopic investigation showed that cell wall of latewood tracheids and fiber in the DAW were severely degraded while, early wood tracheids less degraded. Degradation in the cell wall was mainley occurred in $S_2$layer, while the middle lamella was the least degraded. The micr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W were separation of secondary wall from middle lamella, cavities aligned with micro fibril angle in $S_2$layer and granular appearance of secondary wall by the bacterial attack.

  • PDF

Taxonomic implications of multivariate analyses of Egyptian Ononis L. (Fabaceae) based on morphological traits

  • FAYED, Abdel Aziz A.;EL-HADIDY, Azza M.H.;FARIED, Ahmed M.;OLWEY, Asmaa 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3-27
    • /
    • 2019
  • Numerical taxonomy is employed to determine the phenetic proximity of the Egyptian taxa belonging to the genus Ononis L. A classical clustering analysi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ere used to separate 57 macro-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in order to circumscribe 11 taxa of Ononis. A clustering analysis using the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the arithmetic means (UPGMA) method gives the highest co-phenetic correlation. Results from clustering and PCA revealed the segregation of five groups. Our results are in line, to some certain degree, with the traditional sub-sectional concept, as can be seen in the grouping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of the subsections Diffusae and Mittisimae together and the representative members of the subsections Viscosae and Natrix. The phenetic uniqueness of Ononis variegata and O. reclinata subsp. mollis was formally established. However, our findings contradict the classic sectional concept; this opinion was suggested earlier in previous phylogenetic circumscriptions of the genus. The most useful characters that provide taxonomic clarity were discussed.

Characterization of Newly Recorded Talaromyces veerkampii Isolated from Field Soil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Multigene Sequence Analysis

  • Mahesh Adhikari;Hyun Seung Kim;Hyo Bin Park;Ki Young Kim;In Kyu Lee;Eun Jeong Byeon;Ji Min Woo;Hyang Burm Lee;Youn Su Lee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47-355
    • /
    • 2022
  • A fungal isolate belonging to the phylum Ascomycota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Talaromyces veerkampii in 2017 during a survey of fungal diversity in field soils in Korea. This fungal isolate was identified and described based on macro- and micro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The identification was also based on partial 18S-ITS1-5.8S-ITS2-28S rDNA and calmodulin (CaM)-encoding gene sequencing data. Talaromyces veerkampii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Thus, we report here a newly discovered species from soil in Korea along with it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