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cytotoxicity tes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Vinblastine과 Vincristine이 1차(次) 및 2차(次) 세포성(細胞性)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Vinblastine and Vincristine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Cell-mediated Immunity)

  • 표명윤
    • 생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8-254
    • /
    • 1986
  • Effects of vinblastine(VLB) and vincristine(VCR) on cell-mediated immunity(CMI) were studied with the microcytotoxicity test(MCT) after normal or pre-sensitized Balb/c mice had been treated in vivo with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doses of VLB or VCR(single dose of 20% and 60% $LD_{50}$, i.p.) at different times (from day -6 to day +4) plus allo-transplantation antigen(allo-TA, cells from C3H mice at day 0). The results were that $LD_{50}$ of VLB for female Balb/c mouse was 7.3mg/kg body weight (i.p.) and $LD_{50}$ of VCR was 4.3mg/kg body weight and that VLB and VCR acted as immunosuppressive agents on the primary CMI when administered after allo-TA(antigen-drug-phase), but showed no effect when administered prior to allo-TA(drug-antigen-phase). Change of doses of VLB and VCR(20% $LD_{50}$, 60% $LD_{50}$) caused quantitative or qualitative variations in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ese two drugs. Neither VLB nor VCR had any immunomodulating effect on the secondary CMI. Lastly,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four parameters (type of drug, sensitization status, time of drug treatment in relation to antigen injection, and drug dosis) are significant for the effects of the VLB and VCR on the CMI, and that VLB and VCR may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antigen-stimulated T effector lymphocytes but not memory-cytotoxic T lymphocytes.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사람백혈구항원 분석 (Analysis of HL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상학;김치홍;안중현;강지호;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최희백;김태규;최영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98-305
    • /
    • 2005
  •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주된 위험요소로는 비만과 좁은 상기도, 비정상적인 머리-얼굴 구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유전적 요인 또한 가족내 집단적 발생하였다는 보고들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HLA검사를 통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에서 유전학적인 배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철야 수면다원검사로 진단한 25명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여자 1명과 남자 24명, 연령 30-66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200명의 건강한 한국인으로 하였다. HLA-A와 -B 대립유전자의 검사는 미세세포독성검사로 시행하였고 HLA-DRB1 유전자의 두번째 엑손의 다형성에 대한 분석은 PCRSSOP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 HLA-A11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HLA-B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LA-DRB1 유전자의 다형태 분석에서는 DRB1*09의 빈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 <0.05). 환자군을 무호흡지수 45를 기준으로 경-중등증군과 중증군으로 나누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중증군에서 HLA-DRB1*08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 <0.05). 결 론 : 한국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HLAA11과 DRB1*09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과 관련되어 있고, HLA-DRB1*08이 이 질환의 중증도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발생뿐 아니라 경중도 여부에도 유전적인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