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eorogical condition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해가림 피복물의 색상이 고려인삼의 생육 및 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Net Colors on the Growth and Saponin Content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목성균;천성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82-186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effects of color of polyethylene (P.E.) net shading on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under the shading growth status, photosynthesis and saponin contents of ginseng plant. Red and blue polyethylene net shading (4 fold) showed a good light intensity of ginseng growth, but red one not only increased air temperature but also resulted in early defoliation. Photosynthetic rate of ginseng leaves was increased in order of red, blue and black shade, Root yield and sapon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red and blue net as compared with those of common straw shading. Blue color appeared to be most recommendable.

  • PDF

전남지역의 기상요인이 과맥의 생육 및 수량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Some Weather Factors in Chon-nam District on Plant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Naked Barley)

  • 이돈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100-131
    • /
    • 1975
  •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naked barley production.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yield or yield components and some meteorogical factors for yield prediction we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basic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carried out for 16 years from 1958 to 1974 at the Chon-nam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The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among the yield or yield components and meteorogical factors were calculated for the study. Days to emergence ranged from 8 to 26 days were reduced under conditions of mean minimum air temperature were high. The early emergence contributed to increasing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s as well as to earlier maximum tillering and heading date. The plant height before winter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hours of sunshine. On the other hand, plant height measured on march 1st and March 20t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ours of sunshine during the wintering or regrowth stage. Kernel weights were affected by the hours of sunshine and rainfall after heading, and kernel weights were less variable when the hours of sunshine were relatively long and rainfalls in May were around 80 to 10mm. It seemed that grain yields were mostly affected by the climatic condition in March. showing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yield and mean air temperature, minimum air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In the other hand, the yield was show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hours of sunshine. Some yield prediction equations were obtained from the data of mean air temperature, mean minimum temperature and accumulated air temperature in March. Yield prediction was also possible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hich were derived from yield data and the number of spikes and plant height as observed at May 20th.

  • PDF

기상요인이 대두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gical Factors and Soybean Seed Yield)

  • 원종락;최용호;송희섭;권신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1-357
    • /
    • 1983
  • 예상요인이 대두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76년부터 1981년까지의 강우량, 강수일수, 온도등의 기상요인과 동 기간에 재배한 봉의 품종의 수량을 비롯한 중요 농경형질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얻어진 경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요형질의 년차에 따른 변이계수는 등숙율이 37.9%, 수량 및 주당협수는 30%, 100립중은 5.5%였다. 2. 대두 재배기간 동안의 강우량, 강수일수, 온도 등을 월별로 보면 7, 8월의 기상요인이 생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온도조건이 가장 문제가 되었다. 3. 7월의 최고, 최저 및 평균온도와 수량 및 립중, 8월의 최고온도와 수량 및 립중, 8월의 최고, 최저 및 평균온도와 등숙율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4. 예상요인과 수량과의 관계를 회귀직선식으로 나타내면 7월의 평균온도와 수량은 y=-42.46X +1200.86, 8월의 최고온도와 수량은 y=-37.95X +1210.42였다. 5. 중부지방의 맥전작재배지역에서는 개화기에 해당하는 7월 21일부터 7월 31일까지의 고온이 특히 대두의 수량감소를 가져온다.

  • PDF

토지이용도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서울기후분석(CAS)지도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 Analysis Seoul(CAS) Maps Based on Landuse and Meteorogical Model)

  • 이채연;엄정희;최영진;김규랑;;;김근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5
    • /
    • 2011
  • 도시 및 환경계획에서는 국지적 기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시킬 수 있는 계획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시 및 환경계획 수립을 위해 국지 기온과 바람의 흐름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기후분석지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기후분석(Climate Analysis Seoul, CAS) 지도는 서울의 도시환경 구조 변화 양상을 적시에 반영하기 위하여 도시기후 분석 및 기후지도 프로세스를 갖춘 전자지도(digital map)이다. 지면의 피복과 기복에 대한 분석자료와 중규모 기상모델인 MetPhoMod의 모의수행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 이동 정체, 바람흐름, 열적 환경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가 CAS 지도에 담겨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AS를 이용함으로써 도시 개발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및 평가가 용이하게 되었다. 도시기후분석지도를 통해 도시 및 환경 분야의 계획 과정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후요소의 활용이 더욱 편리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수도이기작재배 가능성에 대한 기상적 조사연구 - 적산온도를 중심으로 - (Agronomical Studies on the Thermal Conditions for Double Cropping of Rice)

  • 이강세;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53-64
    • /
    • 1973
  • 우리나라 남부 도작지대에 있어서 수도 2기작 재배의 가능성과 이에 대한 지역간 차이를 알고자 이리외 9개지역에서 30년간의 기상자료를 조사하고 생육한계기온 및 적산온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 1 기작 재배에 있어서 1. 여수, 부산, 제주지방은 파종시 서리에 대한 염려가 없으나 이리, 전주, 광주에서는 30-40일간, 대구, 울산은 18-28일간, 목포, 포항은 4-14일간의 상해 위험기간을 각각 보였다. 2. 이앙한계기는 대개 4월 중하순경으로 물못자리묘에 비하여 보온절충묘는 5일, 밭못자리묘는 10일 정도 더 빨라서 2기작재배에 유리하였다. 3. 출수한계기에는 6월하순경이며, 유수형성기의 냉해위험기간은 지역에 따라 8-25일 간이었다. 4. 등숙한계기는 (제2기작의 이앙한계기)는 7월하순-8월상순경이며, 등숙기간은 32-39일로서 SS${\fallingdotseq}$SL${\fallingdotseq}$LL의 관계기 있었다. 제2기작 재배에 있어서 1. 등숙안전출수기($H_{LC}$)는 이리, 전주, 광주, 대구가 9월 상순경이고 기타지역에서는 9월 17일경으로 등숙최적출수기($H_{SC}$)는 이보다 4일정도 더 빨랐다. 2. 등숙종기를 규정하는 평균기온 $15^{\circ}C$의 출현기(${\theta}$15)와 최저기온 $10^{\circ}C$의 출현기(${\theta}$10)의 상호간에는 ${\theta}$15>${\theta}$10형과 ${\theta}$15<${\theta}$10형의 두 지역으로 나눌수 있었다. 3. 등숙한계기는 이리, 전주, 광주, 대구가 10월 9일 경이고, 목포, 여수, 부산, 제주는 10월 28일 경이었다. 등숙이 완전하려면 실용적 등숙을 목표로 할 때보다 등숙기간이 3-4일 더 필요하였다. 4. 이앙후 $1,550^{\circ}C$의 제1기작과 제2기작의 재배기간중 13-42일이 서로 중복되었다. 따라서 수도 2기작재배가 가능하려면 이앙후 1,000-$1,200^{\circ}C$의 적산온도에서도 출수가 되는 품종의 육성과"중복 2기작 재배기술"이 재 검토되어야 할것이다.토되어야 할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