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tic cancer cell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34초

BRAF(V600E) 돌연변이 갑상선 역형성암에서 BRAF(V600E) 억제에 의한 EGFR 발현 증가가 표적치료에 대한 저항성발현과 상피-간질세포이행과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Mechanism of Resistance and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of BRAF(V600E) Mutation Thyroid Anaplastic Cancer to BRAF(V600E) Inhibition Through Feedback Activation of EGFR)

  • 변형권;나휘정;양연주;박재홍;권형주;장재원;반명진;김원식;신동엽;이은직;고윤우;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3-61
    • /
    • 201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naplastic thyroid carcinoma(ATC) is a rare but highly aggressive thyroid malignancy that is associated with an extremely poor survival despite the best multidisciplinary care. BRAF(V600E) mutation is detected in about a quarter of ATC, but unlike its high treatment response to selective BRAF inhibitor (PLX4032) in metastatic melanoma, the treatment response of ATC is reported to be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nate resistanc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is low treatment response to BRAF inhibitor and its effect o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EMT). Materials and Methods : Two ATP cell lines, 8505C and FRO were selected and treated with PLX4032 and its drug sensitivity and effects on cell migration and EMT were examined and compared.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changes in signals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 treatment response to PLX4032 was carried out and the sam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both orthotopic and ectopic xenograft mouse models. Results : FRO cell line was more sensitive to PLX4032 treatment compared to 8505C cell line. The resistance to BRAF inhibition in 8505C was due to increased expression of EGFR. Effective inhibition of both EGFR and p-AKT was achieved after dual treatment with BRAF inhibitor(PLX4032) and EGFR inhibitor(Erlotinib). Similar results were confirmed on in vivo study. Conclusion : EGFR-mediated re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 and MAPK pathway contributes to the relative insensitivity of BRAF(V600E) mutant ATC cells to PLX4032. Dual inhibition of BRAF and EGFR leads to sustained treatment response including cell invasiveness.

폐암 치험 73례: Alveolar cell carcinoma 를 중심으로 (Primary Carcinoma of the Lung with Emphasis on Alveolar Cell Carcinoma)

  • 손광현;이남수;고일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4호
    • /
    • pp.324-335
    • /
    • 1979
  • During the period of 4 years from August 1975 to August 1979 one hundred and forty seven cases of lung cancer were seen at Paik Foundation Hospital in Seoul, Korea. Among these 147 cases, 104 patients had primary carcinoma of the lung and the remainder was metastatic carcinoma to the lung. Among these 104 primary carcinoma patients, 73 cases were proven histologically as primary carcinoma of the lung. There were three cases of alveolar cell carcinoma [Table 1 ]. This clinical observation is based on those 73 cases including three case reports of the alveolar cell carcinoma. 1. Peak incidence was observed in the 5th decade of life. Male to female ratio was 2 to 1 [Fig. 1]. 2. Pathological classifications were as follows: epidermoid carcinoma, 24 cases [32.9%]; undifferentiated carcinoma, 20 cases [27.4%]; adenocarcinoma, 15 cases [20.5%];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5.5%] and positive cytology, 10 cases [13.7%] [Fig. 2]. 3. Evidence of inoperability was observed in 55 patients [75% of the 73 cases] [Table 3]. 4. Among those 73 cases, operability was evaluated in 18 patients or 25%. One patient refused operation and 17 patients [23.6%] were explored. In 11 [15%] out of 17 patients, thoracotomies were performed. Six cases were pneumonectomies and 5 cases were lobectomies or bilobectomies [Fig. 3]. 5. First case of alveolar cell carcinoma was a 46 year-old housewife complaining of cough and hemoptysis for one year. The plain chest X-ray and bronchogram showed characteristic pictures as Figures 4 and 5. A pneumonectomy was carried out. Histologically, a beautiful alveolar carcinoma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 tall columnar epithelial cells, which were lining the alveolar spaces as seen in Figures 6, 7, 8, and 20. 6. In the second case of 41 year old male, predominant clinical feature was single, well defined mass in the right lower lobe [Fig. 10 and 11] on chest X-ray. Bilobectomized specimen showed fragile, soft and hard tissue containing mucoid secretions and focal yellowish necrosis with pigmentation on cut surface [Fig. 12]. Slides showed tumor cells lined up along the alveolar septa with papillary projections [Fig. 13 and 14]. 7. Third case of alveolar cell carcinoma was a 50-year-old housewife with hemoptysis. An outstanding clinical picture was a round to lobulated mass in the right upper lobe [Fig. 16]. She is living now, 2 years and 1 month post-operatively, but has arrived at terminal stage with military nodular disseminations to the contralateral lung [Fig. 19].

  • PDF

이온화 방사선에 의한 TIMP1, TIMP2 유전자 발현 측정 (Expression of TIMP1, TIMP2 Genes by Ionizing Radiation)

  • 박건구;진정선;박기영;이연희;김상윤;노영주;안승도;김종훈;최은경;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71-180
    • /
    • 2001
  • 목적 :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에 작용하여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고 염증, angiogenesis, fibrosi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IMP 유전자는 여러 cytokine 및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전자이므로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을 측정하고 전사 조절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두경부암 환자의 병변에서 유도하여 확립한 두경부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의한 TIMP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를 측정하고 transwell을 이용한 invasion assay로 전이성을 측정하였다. TIMP1, TIMP2 발현은 conditioned medium을 취해 ELISA assay로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는 2 Gy, 10 Gy 군으로 나누어 관찰했고 조사 후 시간 간격은 24, 48시간이었다. MTT assay로 생존세포 수를 측정하여 방사선 세포치사로 인한 발현 변화를 보정하였다. hTIMP1 promoter region을 PCR하여 pGL2-basic luciferase reporter vector에 cloning하여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이입하여 functional TIMP1 발현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였고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인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와 Ras에 의한 TIMP1 발현이 유도되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 HN-1, HN-2, HN-3, HN-5, HN골 세포주의 $D_0$는 각각 1.55 Gy, 1.8 Gy, 1.5 Gy, 1.55 Gy, 2.45 Gy 이었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조사 후 MTT assay에 의한 cell viability는 24, 48시간에서 2 Gy인 경우 모두 $94\%$ 이상 그리고 10 Gy에서는 $73\%$ 이상의 생존 세포를 확인하였다. TIMP1, TIMP2 단백의 basal 농도는 24시간 48시간에서 점점 증가하여 세포에서 계속 합성되어 분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Gy 조사 후 24시간에서 TIMP2는 HN-1, HN-9 세포주에서 감소하였으나, 10 Gy 조사 후에는 두 세포주에서 모두 증가하여 방사선량에 따라 반응이 달랐고, 방사선조사 후 48시간에는 HN-9 세포주에서는 증가하나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여 세포주에 따라 반응이 달랐다. 그러나 방사선에 의한 TIMP1 발현 변화는 미미하였다. TIMP1 reporter gene을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transfection하고 PMA (100 ng/ml)을 가한 경우 HN-1세포주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고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였다. Ras 발현 벡터와 co-transfection한 경우 TIMP1 promoter가 활성화 되었다. 결론 : 모두 두경부 암에서 유래된 세포주 이지만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 및 전사조절 기전은 세포주 마다 차이가 있었고 이온화 방사선의 용량에 따라서, 방사선조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TIMP 발현에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TIMP의 전사 및 발현이 여러 종류의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이 signal molecule들이 각 세포주 마다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기관세지폐포암의 장기결과분석 (Long-term Survival Analysis of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

  • 이승현;김용희;문혜원;김동관;김종욱;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06-110
    • /
    • 2006
  • 배경: 기관세지페포암종은 흔치않은 폐암으로 $2{\~}14\%$의 유병률을 보인다. WHO의 분류에 따르면 일종의 선암으로 분류되며 최근의 정의에 의하면 흉강내 일차 원발성 선암병변이 없어야 하며, 중심기관지내의 원발병변이 없고, 말초기관에 국한되어야 하며 폐간질의 침범이 없고 암종의 실장이 폐포격막을 따라서 성장해야 한다. 또한 동일병기의 다른 비소세포폐암보다 술 후 생존율이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기관세지폐포암의 장기결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199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술 후 기관세지폐포암으로 병리 진단을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발생부위, 조직학적 병기, 술 후 부작용, 술 후 재발여부, 술 후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여부와 술 후 생존여부를 의무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61.09$\pm$10.63세($31{\~}79$세)이고 남녀의 성비는 12 : 19였다. 발병부위는 우상엽 7예, 우중엽 1예, 우하엽 4예, 좌상엽 8예, 좌하엽 11예였다. 수술은 엽절제술 28예, 전폐절제술 2예였고, 술 후 병리학적병기는 TIN0M0 (stage Ia) 12예($38.70\%$), T2N0M0 (stage Ib) 15예($48.38\%$), T1N1M0 (stageIIa) 1예($3.22\%$), T1N1M0 (stageIIb) 1예($3.22\%$), T2N2M0 (stage IIIa) 1예 ($3.22\%$), T1N0M1 (stage IV) 1예($3.22\%$)였다. 술 후 경과 추적 중에 사망은 4예($12.90\%$)였다. 한 명(T1N0M0, stage Ib)은 술 후 퇴원하였다가 2개월 후에 재발 없이 전신상태 악화에 의한 사망이었고, 한 명(T2N2M0, stage IIIa)은 술 후 29개월째에 우측 늑골 전이로 항암화학요법 중에 사망하였다. 한 명(T1N1M0, stage IIa)은 술후 항암화학요법 중 34개월에 뇌전이가 있었으나 치료거부 후 퇴원하였다가 사망하였다. 한 명(T1N0M0, stage Ib)은 술 후 방사선요법 중에 21개월 째에 양측폐에 다발성 결절을 보이는 전이로 치료 중 사망하였다. 술 후 평균 추적기간은 50.87$\pm$24.77개월이었다. 전체 생존율을 분석해보면 3년에 $97.1\%$, 5년에 $83.7\%$였다. 병기1기 환자의 경우 2년에 $96.3\%$, 5년에 $96.3\%$로 나왔다. 전체 환자의 재발 없는 생존율을 분석해보면 1년에 $100\%$, 2년에 $90\%$, 5년에 $76\%$이고 병기 1기의 경우 2년에 $96.4\%$, 5년에 $90.6\%$였다. 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7명으로 $22.58\%$이고, 술 후 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1명으로 $3.22\%$, 2가지 모두 시행한 환자는 2명으로 $6.45\%$였다. 재발부위는 폐전이 3예, 골전이가 1예, 뇌전이가 1예였다. 결론: 기관세지폐포암은 동일병기의 다른 비소세포암보다 수술 절제 후에 비교적 재발률이 적고 병기가 초기인 경우 생존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ytokeratin의 RT-PCR 및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이용한 구강편평세포암종의 임파절 미세전이 진단과 예후인자 효용성 평가 (DIAGNOSIS OF MICROMETASTASIS IN LYMPH NODE AND CLINICAL EVALUATION OF PROGNOSTIC FACTOR OF ORAL SCC USING 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CYTOKERATIN)

  • 박성진;이원덕;임구영;강진한;명훈;이종호;김명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2호
    • /
    • pp.105-115
    • /
    • 2005
  • Purpose: The lymph node status assessed by conventional histological exam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he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has a strong adverse impact on patient survival even after extended radical resection. Despite these findings, tumour recurrence is not rare after surgery, even when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s no lymph node metastasis. Recently, molecular-genet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demonstrated micrometastasis to the lymph nodes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adverse influence on survival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and histologically negative nodes.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clarif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molecular-genet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demonstrated nodal micrometastases and to correlate these data with the stage of oral cancer. Methods: Lymph nodes systematically removed from 71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between 1998 and 2003 with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examined molecular-genetically to detect cytokeratin 5 mRNA with RT-PCR and immunohistochemically to detect cells that stained positively for cytokeratins with the monoclonal antibody cocktail AE1/AE3. The postoperative course and survival rates were compared among patients with and without micrometastases, after numerical classification of overt metastatic nodes. Results: micrometastases were detected in 43(60%) of 71 patients by RT-PCR and 26(36%) of 71 patients by immunohistochemistry. By RT-PCR analysis, patients exhibiting a positive band for CK 5 mRNA had a significantly worse prognosis than those were RT-PCR negative. By immunohistochemistry, the presence of micrometastasis did not predict patient outcome. Conclusion: Micrometastases detected by RT-PCR may be of clinical value in identifying patients who may be at high risk for recurrence and who are therefore likely to benefit from systemic adjuvant therapy.

다발성 폐 양성 전이성 평활근종 (Multiple Pulmonary Benign Metastasizing Leiomyoma)

  • 사영조;심성보;윤형규;유창영;문영규;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77-781
    • /
    • 2008
  • 양성 전이성 평활근종은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소견을 보이나 임상적으로 폐나 다른 장기로 전이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2개월간 지속된 기침을 주소로 입윈한 53세의 여자환자에서 좌우 다발성으로 퍼져 있는 폐결절들을 가진 전이성 평활근종 1예를 경험하였다. 증례는 과거력상 13년전 자궁근종으로 전자궁적출술을 받았으며, 자궁근종은 병리조직 검사상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었다. 환자는 전이성 폐암 의심 하에 흉강경 폐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폐 결절들은 낮은 세포 분열을 보이는 양성 종양의 소견을 보이며, 평활근 세포의 다발성 결절들로 이루어져 병리학적으로 양성 전이성 평활근종과 일치하는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현재 별다른 치료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다발 전이성 농양을 일으킨 편평상피세포암성 농양 1예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tous Lung Abscess with Multiple Metastatic Abscesses)

  • 임주은;김은영;장지은;손지영;정지예;박병훈;이경종;윤여운;변민광;이사라;강영애;문진욱;박무석;김영삼;장준;박영년;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5호
    • /
    • pp.390-395
    • /
    • 2009
  • 기관지폐쇄에 의한 폐농양 혹은 공동성 병변에 발생한 암성 농양은 임상 양상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흡인성 폐농양과 흡사하여 감별이 어려워서 폐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기 쉽다. 따라서 항생제에 대한 반응이 뚜렷하지 않거나 선행 요인이 없고 비전형적인 위치에 발생한 폐농양의 경우 악성 병변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발열, 기침, 혈담,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폐농양 의심하에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병변이 악화된 67세 남자 환자에서 간세침흡인생검을 통해 다발 전이성 농양을 일으킨 편평상피세포암성 농양으로 진단된 예가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측경부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갑상선 유두상암의 임상 양상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yroid Papillary Cancer with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 이선욱;진성민;이상혁;손진희;채승완;김동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5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Papillary thyroid carcinoma(PTC) frequently metastasize to the regional neck, however,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is less comm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of PTC with lateral LN metastasis, and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lateral LN metastases. Material and Methods : We undertook a retrospective study of 83 patients treated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09 for PTC by thyroidectomy with or without lateral neck dissection. The following criteria were used to study the clinical predictive value of lateral LN. metastases : sex, age, tumor size, multifocality, extracapsular spread(ECS) and lymphovascular emboli.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VEGF-A, VEGF-C, Bax, Bcl-2, Cyclin D1, Cyclin E, $p27^{kip1}$ and $p57^{kip2}$ was performed, and quantified blindly by three pathologists who had no clin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s.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was scored as high(>50% of cells stained) or low(0-49%). Results : With use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tumor size(>2cm) and ECS were independent correlates of lateral LN metastasis in PTC. Expression of VEGF-C, Bax, and Cyclin D1 in the PTC with lateral LN metastasis was scored higher than in PTC without lateral LN metastasis(p<0.05). Conclusion :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lateral LN metastasis in PTC are primary tumor size and the presence of ECS. And expression of VEGF-C, Bax and cyclin D1 may be considered of lateral LN metastatic potential in PTC.

PMA로 자극된 HT-1080 세포에서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의 MAPK 경로를 통한 MMP-2, MMP-9 발현 억제 효과 (Production of PMA-induced MMP-2 and MMP-9 in the HT-1080 Fibrosarcoma Cell Line is Inhibited by Corydalis heterocarpa via the MAPK-related Pathway)

  • 유가현;카라데니즈 파티;오정환;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55
    • /
    • 2022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는 세포의 기저막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과발현된 MMPs는 암세포 침윤과 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활성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이용하여 PMA로 유도된 인간 섬유육종세포 HT-1080 세포에서 MMP-2, MMP-9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은 TIMP-1 및 TIMP-2를 증가시키면서 MMP-2 및 MMP-9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수준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은 MAPKs 신호 전달 경로 조절에 영향을 줌으로써 MMPs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염주괴불주머니를 이용한 암 전이 억제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wis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Interleukin-12가 E-selectin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leukin-12 on the Expression of E-selectin in Mouse Model of Lewis Lung Carcinoma)

  • 이상학;신윤;윤형규;이숙영;김석찬;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61-171
    • /
    • 1999
  • 연구배경: Interleukin-12 (IL-12) 는 자연살해세포와 T 림프구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증식을 촉진시키고 mterferon-$\gamma$와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그리고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의 생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러 동물실험에서 악성종양의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런 결과는 종양내 염증세포의 침윤이 증가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혀져 있지만 이들 염증세포가 종양내로 이동하는 단계에 IL-12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IL-12가 종양의 성장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활성화된 내피세포에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E-select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고 또한 E-selectin의 발현이 IL-12에 의해 생산이 증가되고 여러 유착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TNF-$\alpha$와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Lewis 폐암세포주를 피하주사하여 암세포를 이식한 후 각 군마다 각각 IL-12 또는 TNF-$\alpha$ 생리식염수를 복강내 투여하였다. 암세포이식 28일째 마우스를 도살하여 폐전이 결절의 수를 측정하였으며 피하종양에 대해 CD4, CD8, CD16, E-selectin에 대한 면역화학조직염색을 시행 하였다. 결과: IL-12를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암세포 이식부위의 종양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폐전이 결절의 수도 감소하였다. IL-12를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CD4+ 및 CD8+ 그리고 CD16+ 세포의 종양내 침윤이 증가하였다. IL-12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E-selectin은 발현되지 않았으나 IL-12 투여군에서 종양내 혈관내피세포에서의 E-selectin 발현이 증가되었다. TNF-$\alpha$ 투여시 종양내 혈관내피세포에서의 E-selectin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또한 종양내 CD4+ 및 CD8+ 그리고 CD16+ 세포의 침윤이 증가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IL-12는 Lewis 폐암모델에서 종양내 염증세포의 침윤을 일으켜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염증세포의 침윤에는 E-selectin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E-selectin의 발현증가에는 IL-12 에 의해 생성이 유도되는 TNF-$\alpha$가 작용할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겠다.

  • PDF